본문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5 (근현대)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5 (근현대)
저자 : 박성준
출판사 : 한겨레출판사
출판년 : 2017
ISBN : 9791160400472

책소개

역사적 흐름 안에서 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억지로 외울 필요도 없고 쉽사리 잊힐 일도 없습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는 한 사건이 왜 일어났으며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사건들의 교집합이 어떻게 시대를 변화시켰는지를 연속성 있게 보여줌으로써 한국사를 이해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이끌어줍니다. 조금 복잡하더라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최대한 꼼꼼하게 서술했으며, 우리 역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동아시아 세력들까지 자세하게 다뤘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재미있는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의 새 기준을 세우겠습니다!
역사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은 수많은 사건과 인물들, 그리고 낯선 역사 용어에 숨이 턱 막힙니다. 더욱이 수백수천 년 전 어느 시기에 벌어졌다는 역사적 사실은 인터넷 속 판타지게임보다 현실감이 떨어지고, 오늘을 살아가는 나와의 연관성을 전혀 실감할 수 없습니다. 마치 외계인과 외계어로 소통하는 것처럼 막막해지고 캄캄해집니다.

이처럼 역사를 낯설고 어렵게 여기는 어린이ㆍ청소년들에게, 역사책은 어떻게 해서 재미와 흥미를 가지도록 도울 수 있을까요? 역설적으로 역사가 어렵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합니다. 역사를 쉽게 소개한다는 핑계로 사건의 전후좌우를 잘라내고 단순화시켜서 보여주거나, 호흡이 길고 복잡한 사건은 축약해 버리고 뭔가 흥미를 끌 것 같은 사건을 위주로 서술하는 방식은 오히려 위험합니다. 역사 사건이 앙상하게 나열되거나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는 사건이 부풀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역사책은 어린이ㆍ청소년들로부터 역사를 더 멀리 떨어뜨려 놓게 됩니다.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은 기나긴 시공간의 흐름 속에서 역사적 사건들이 상호 연관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서술해 주어야 합니다. 또한 시대별 변화의 줄기를 제대로 짚어 주어야 합니다. 이것이 역사 공부의 기초를 다지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모든 공부가 그러하듯 기본이 튼튼해야 더 깊고 넓은 지식을 쌓아올릴 수 있습니다. 이때 비로소 역사는 생동감 있게 살아나 현실의 나에게 말을 건네고 지혜를 줍니다. 역사 공부가 정말로 재미있어지는 순간입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가 재미있는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의 기준을 새롭게 세우겠습니다.

시간 여행의 성실한 안내자가 되겠습니다
역사 공부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기나긴 여행입니다. 어린이ㆍ청소년 독자들이 이 기나긴 여정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어가기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자칫 어느 시기에 갇혀 길을 잃거나 주저앉기 십상입니다. 따라서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에서는 역사적 비중에 따라 시공간을 구분하고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선사시대는 시간차로 따지자면 인류 역사의 99.9%를 차지하며, 현대 문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지만 선사시대는 워낙 오래전 시기이고, 유적ㆍ유물이 지극히 드물어서 그 실체에 접근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 역사책에서는 선사시대 연대기는 빈칸으로 남겨진 곳이 많습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 1권(선사~삼국)에서는 선사시대를 최대한 자세하게 다루면서 독자들이 수백수십 만 년이라는 시간을 가늠하고, 더불어 연대기의 빈칸을 상상력으로 채워 넣을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또 2권(고려)에서는 고려시대 초기에 왕과 호족(귀족)이 어떻게 협력하고 대립했는지를 세세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두 세력 사이의 관계를 알아야 이후 고려 사회의 변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도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는 책의 모든 부분에서 황소걸음으로 독자들의 시간 여행을 안내합니다. 황소의 어깨에 앉아 바라보면 역사의 진면목과 마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꼼꼼하게 짚어 줍니다
역사 사건에는 반드시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여러 갈래의 결과를 낳습니다. 또한 한 사건의 파장은 다른 사건들의 직ㆍ간접적인 원인으로 작동하게 마련입니다. 이 유장한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역사 공부의 기본이자 출발점입니다.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은 한 사건이 왜 일어났으며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사건들의 교집합이 어떻게 시대를 변화시켰는지를 연속성 있게 보여주어야 합니다. 조금 복잡하더라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최대한 꼼꼼하게 서술해주어야 합니다.
역사적 흐름 안에서 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억지로 외울 필요도 없고 쉽사리 잊힐 일도 없습니다. 또한 거짓 근거와 억측으로 포장해서 과도하게 의미 부여하는 가십이나 음모론에 흔들리지 않게 됩니다. 무엇보다 역사를 유기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로 인식하게 됩니다. 어린이ㆍ청소년과 역사와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순간입니다.

정치를 중심으로 사회ㆍ경제ㆍ문화 분야의 균형감을 유지했습니다
역사는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다양한 분야가 한데 어우러져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따라서 역사 공부는 모든 분야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근 역사 교과서와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은 대부분 정치사를 중심에 두고, 그와 연관된 경제 문화의 변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서술합니다. 정치적 사건이 상대적으로 선명하고 변화가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서술 방식은 아주 정교하고 세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나라 안팎으로 여러 정치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는만큼 큰 폭으로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치적 사건이라는 것이 전쟁이나 분쟁 같은 상황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왕이 신하들을 등용하고, 제도와 법과 행정 기구를 만들고, 백성을 통치하는 과정도 중요한 정치적 사건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정치사적 장면에서 한 세력이나 나라의 입장만을 절대 선으로 규정하거나, 어떤 인물을 신화적인 영웅으로 묘사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런 이분법적인 구분과 편 가르기는 역사를 보는 시야를 협소하게 만듭니다. 특히 어린이ㆍ청소년 책에서 이런 균형성과 객관성은 아주 중요합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는 정치사 위주로 서술하되 여러 정치 세력의 이해관계를 균형감 있게 살피고, 이와 연관된 경제ㆍ문화 분야까지 꼼꼼하게 보여줍니다.

동아시아와 세계로 시야를 확장했습니다
한반도 역사는 동아시아의 주변 나라(중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만주와 몽골 초원 일대의 유목민족까지 포함)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형성합니다. 한반도와 주변 나라는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어느 시기에는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하는 주요인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은 우리 역사를 중심으로 서술하더라도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시야를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변 나라가 한반도를 침략해서 전쟁을 일으킨 사건을 서술할 때 그 나라가 전쟁을 일으키게 된 필연적인 이유를 분명히 밝혀 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나라는 아무런 이유 없이 싸움을 일삼는 전쟁광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습니다. 동아시아 세력들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움직임이 삭제되면, 그 안에 속한 우리 역사 또한 딱딱하게 굳어 버립니다. 역사책이 역사를 박제시켜 버리는 셈입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는 우리 역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동아시아 세력들까지 자세하게 다뤘습니다. 물론 5권(근현대)에서 다루는 개항 전후 시기에서는 세계사적인 시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료 선별, 역사 사실에 가깝게 재현한 삽화 수록!
역사책에서는 사진과 삽화 등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이미지 자료는 추상적인 역사 개념을 구체화시켜주기도 하고, 문자가 주는 피로감을 덜어 주기도 합니다. 그런데 어린이ㆍ청소년 역사책에서는 간혹 이미지 자료가 과도하게 사용되곤 합니다. 어떤 사진 자료가 보기에 좋다는 이유로 최대한 키워서 넣기도 하고, 삽화 또한 의도적으로 극적인 장면을 연출(왜곡)해서 보여주기도 합니다.
이런 이미지 자료가 역사적으로 그만큼 중요한지, 역사적 사실에 가깝게 재현되었는지 따져 볼 일입니다. 나아가 이미지 자료를 과도하게 남용하면 그 분량만큼 역사의 흐름을 서술해야 할 텍스트가 줄어듭니다. 당장은 그럴싸해 보일지 몰라도 역사를 이해하는 데 오히려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천천히 제대로 읽는 한국사》는 이미지 자료의 역사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선택하고, 본문 내용을 보조하는 선에서, 텍스트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배치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작가의 말 4

서양의 세계 진출과 조선의 개항
서양의 세계 진출 10
강화도조약과 개항 17
임오군란 29
갑신정변 35
[인물과 사건] 김옥균과 홍종우 42
[유물로 보는 역사] 외규장각 의궤 44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1차 동학농민운동 48
청일전쟁과 2차 동학농민운동 56
갑오개혁 61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63
[인물과 사건] 명성황후 72
[유물로 보는 역사] 약현성당 74

대한제국 수립과 국권 회복 운동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78
대한제국 81
러일전쟁과 을사늑약 92
국권 회복 운동 103
[인물과 사건] 어니스트 베설 112
[유물로 보는 역사] 서대문형무소 114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독립 운동
1910년대 무단통치 118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24
1920년대 문화통치 136
청산리전투와 6·10만세운동 141
연이은 전쟁과 민족말살정책 151
1930~40년대 독립 운동과 해방 155
[인물과 사건] 방정환 160
[유물로 보는 역사] 조선총독부 162

해방과 남북 분단
냉전과 남북 분할 166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분단 172
한국전쟁 176
이승만 정권과 4·19 혁명 184
5·16군사정변과 박정희 정권 192
5공화국과 민주화 운동 200
[인물과 사건] 해방둥이 김한국 씨 206
[유물로 보는 역사] 경찰청 남영동 인권센터 208

연표 210
찾아보기 212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