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고와 언어 (인간 의식의 본성을 다룬 심리학의 고전)
사고와 언어 (인간 의식의 본성을 다룬 심리학의 고전)
저자 : L. S. 비고츠키
출판사 : 연암서가
출판년 : 2021
ISBN : 9791160870770

책소개

인간 의식의 본성을 다룬 심리학의 고전

『사고와 언어』는 실험 심리학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인 사고와 언어의 발생적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두 개의 실험적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아동기 개념의 일반적 발달과정을 밝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동의 과학적 개념과 자연발생적 개념의 발달을 비교·연구하는 것이다. 이런 실험 결과에 기초해서 비고츠키는 생각과 말의 관계를 통해 언어적 사고 과정 전체를 상호 연관되고 일관된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의 이론적 지향성은 언어학이 오늘날 봉착한 근본적 한계, 즉 규정된 대상에 대한 객관적 지식 추구에 열중한 나머지 대상 자체의 고유한 기능적 속성을 도외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유효한 출발점을 제시해준다.

의미가 부여된 단어는 인간 의식의 소우주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서 사고의 문제보다 더 광범위하고 심오하며 거대한 문제, 즉 의식의 문제에 한층 밀접하게 접근하게 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시종일관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달의 이면과 같이 실험심리학에서 미개척지로 남아 있는 말의 다른 측면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우리는 대상, 현실에 대한 말의 관계를 연구하려고 했다. 우리는 감각에서 사고로 진행되는 변증법적 이행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하고, 사고 속의 현실은 감각 속의 현실과는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했다. 그리고 말의 기본적인 특징은 현실의 일반적인 반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으로 말의 본성이 지니고 있는 다음과 같은 측면, 즉 사고 자체의 경계를 넘어서 좀더 보편적 문제인 말과 의식의 영역에서만 완전히 이 문제를 연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만약 감각하는 의식과 사고하는 의식이 다른 방식으로 현실을 반영한다면, 그것은 다른 유형의 의식이다. 그러므로 사고와 언어는 인간 의식의 본성을 이해하는 열쇠다. -본문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간 의식의 본성을 다룬 심리학의 고전



<사고와 언어>는 실험 심리학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인 사고와 언어의 발생적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두 개의 실험적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아동기 개념의 일반적 발달과정을 밝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동의 과학적 개념과 자연발생적 개념의 발달을 비교·연구하는 것이다. 이런 실험 결과에 기초해서 비고츠키는 생각과 말의 관계를 통해 언어적 사고 과정 전체를 상호 연관되고 일관된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의 이론적 지향성은 언어학이 오늘날 봉착한 근본적 한계, 즉 규정된 대상에 대한 객관적 지식 추구에 열중한 나머지 대상 자체의 고유한 기능적 속성을 도외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유효한 출발점을 제시해준다.





의미가 부여된 단어는 인간 의식의 소우주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서 사고의 문제보다 더 광범위하고 심오하며 거대한 문제, 즉 의식의 문제에 한층 밀접하게 접근하게 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시종일관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달의 이면과 같이 실험심리학에서 미개척지로 남아 있는 말의 다른 측면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우리는 대상, 현실에 대한 말의 관계를 연구하려고 했다. 우리는 감각에서 사고로 진행되는 변증법적 이행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하고, 사고 속의 현실은 감각 속의 현실과는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했다. 그리고 말의 기본적인 특징은 현실의 일반적인 반영이라는 것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으로 말의 본성이 지니고 있는 다음과 같은 측면, 즉 사고 자체의 경계를 넘어서 좀더 보편적 문제인 말과 의식의 영역에서만 완전히 이 문제를 연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만약 감각하는 의식과 사고하는 의식이 다른 방식으로 현실을 반영한다면, 그것은 다른 유형의 의식이다. 그러므로 사고와 언어는 인간 의식의 본성을 이해하는 열쇠다. -본문 중에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해제: 비고츠키의 생애와 언어 심리학 이론·이병훈
저자 서문

제1장 문제와 연구 방법

제2장 피아제 이론에서 아동의 언어와 사고에 대한 문제: 비판적 연구
1. 피아제의 심리학 이론
2. 자폐적 사고
3. 아동의 자기중심성의 근거
4. 자기중심적 언어와 자기중심적 사고
5. 자기중심적 언어와 내적 언어의 발달
6. 피아제의 자기중심성 이론
7. 피아제의 철학 비판
8. 유물론인가, 관념론인가
9. 결론

제3장 스턴의 학설에서 언어발달 문제

제4장 사고와 언어의 발생적 근원
1. 유인원의 사고와 언어
2. 아동의 사고와 언어의 발달
3. 내적 언어의 발생
4. 결론

제5장 개념발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1. 과거의 개념연구 방법 비판
2. 실험의 개요
3. 개념형성 과정의 본질적 계기
4. 개념발달의 첫 번째 단계
5. 개념발달의 두 번째 단계
6. 수집적 복합(收集的 複合)
7. 연쇄적 복합
8. 확산적 복합
9. 의사(擬似) 개념적 복합
10. 의사개념의 의의
11. 실험적 분석의 총괄
12. 아동이 사용하는 단어의 의미 전이
13. 융즉과 복합적 사고
14. 언어학적 자료와의 비교
15. 농아 아동의 언어와 사고
16. 제3단계의 첫 번째 수준
17. 잠재적 개념
18. 개념의 발생

제6장 아동기의 과학적 개념발달 연구: 작업가설의 구성
1. 일상적 개념과 과학적 개념
2. 자각성의 발달
3. 발달과 교육의 관계
4. 과학적 개념과 일상적 개념의 비교 연구
5. 외국어의 학습과 모국어의 발달
6. 개념의 일반성과 일반화의 구조
7. 과학적 개념의 체계성과 일상적 개념의 비체계성
8. 결론

제7장 생각과 말
1. 사고와 언어에 관한 여러 학설의 방법론 비판
2. 언어의 의미적 측면과 음성적 측면의 모순적 통일
3. 내적 언어와 자기중심적 언어
4. 내적 언어의 구문법
5. 내적 언어의 구조적 특징
6. 생각과 말
7.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