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통합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다)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통합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다)
저자 : 조지욱^조승연^정명섭^이효건^송훈섭
출판사 : 사계절
출판년 : 2018
ISBN : 9791160943412

책소개

2015년 교육과정 개정으로 올해부터 고등학교에서는 〈통합사회〉가, 중학교에서는 탐구 활동형으로 꾸려진 〈사회〉 교과서가 적용되고 있다. 중고교 사회 교과가 학생 참여를 지향한다는 점은 공통된 방향이다. 고교 〈통합 사회〉 교과서는 계통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관행을 넘어서서 삶과 사회 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초 소양과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곧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 사회,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일상생활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삶을 통합적으로 성찰하고 설계하는 능력’(『2015 사회과 교육과정』) 등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8년부터 사용되는 새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인 일반 사회, 지리, 윤리 과목의 교육 내용이 통합되어 제시되고 있다. 새 교과서의 방향이 교육적으로 옳다는 것은 공통된 목소리이지만 교육 방법이 급작스럽게 바뀌는 것에 대해서 우려가 많았고, 통합적 형태의 주제를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들이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 역시 기초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탐구와 토론 등의 활동, 그리고 평가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고교 〈통합 사회〉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방대한 세 교과 범위의 지식이 필요하다. 교사들의 경우 지리 교사는 일반사회와 윤리가, 일반사회 교사는 지리, 윤리 지식이 필요해졌다. 기존처럼 각 분야 교사들이 단원을 쪼개서 가르치는 것도 통합주제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학생들의 경우도 각 단원 교육 목표에 해당하는 일반사회, 지리, 윤리 지식과 개념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가 없다.
이에 『통합 사회를 잡아라1,2』는 〈통합 사회〉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개념과 주제를 선정하고 풀어썼다. 교과 기초 역량과 통합적 사고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통합 사회) 새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탐구 주제들로 구성했다
이 책은 교육과정에서 한정하고 있는 내용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탐구 주제들을 사례 중심으로 흥미롭게 서술했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탐구활동을 위한 쟁점과 핵심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개개 글의 주제는 곧 학생들이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의 목록이다. 그 질문들에 대해 스스로 조사, 탐구,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 확장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만한 것들로 구성하였다.
각 장은 〈통합 사회〉의 9가지 핵심 개념 곧, 행복, 자연환경, 생활공간, 인권, 경제, 정의, 문화, 세계화, 지속가능한 삶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개념을 세부주제로 나누어 다층적으로 다루었다.
1권 1장에서는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관점과 함께 그것이 인간의 행복이라는 삶의 목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인간의 삶과 문화가 형성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를 담으며 환경문제가 비롯된 원인들을 성찰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생활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진 과정을 살피며 산업화, 도시화,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서 비롯되는 지역 공간의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4장에서는 인권의 문제와 헌법의 관계를 기본으로, 정치와 정치 참여의 문제와 함께 세계의 인권 문제에 대해 살펴본다.
5장에서는 시장 경제의 의미와 한계, 가계, 기업, 정부의 역할을 총체적으로 살피며, 개인의 생애 설계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조명한다.
2권 6장에서는 정의의 여러 측면을 살펴보며,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성이 더해지는 분배적 정의에 대한 여러 관점들, 그리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정의관을 통해 정의 실현에 대해 성찰한다.
7장에서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살펴보고 문화 상대주의의 의미와 한계, 보편 윤리에 대해 살펴보며 다문화 사회로 향해가는 우리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을 되돌아본다.
8장에서는 세계화의 뜻과 세계화 시대의 문제점, 국제사회의 갈등과 협력을 살피고 분단된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에 대해 성찰하며 나아갈 바를 모색해 본다.
9장에서는 인구문제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자원의 불균형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살피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우리의 준비를 살펴본다.

교과서 집필 교사들이 새 교육과정에 맞추어 최근의 사회 현상까지 사례로 들어 풀어냈다
『통합 사회를 잡아라1,2』는 지학사, 비상교육 등에서 고등학교 〈통합 사회〉 교과서를 집필한 교사들이 참여했다. (통합 사회) 교과서 집필은 윤리, 일반사회, 지리 교사들이 머리를 맞대어 수많은 협의를 거치는 새로운 작업이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교과에 대한 이해 과정에서 관점이 다른 부분들이 드러나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른 교과에 대한 이해 속에서 시야가 더욱 확장되는 경험을 얻었다고 한다.
저자들은 2년여에 걸친 교과서 집필 기간에서 얻은 고민과 역량을 이 책의 집필에 집중하였다. 그래서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개념과 주제를 선정하고 최근의 사회 현상까지 사례로 들어 명쾌하게 풀어낼 수 있었다. 물론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도 수많은 회의와 논의를 거친 끝에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18년에 새로 시작되는 〈통합 사회〉는 시행 초기인 만큼 학습 과정과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과도기적 현상을 겪으리라 예상된다. 그 과정에서 『통합 사회를 잡아라1,2』가 교사들과 학생들이 균형을 잡으며 학습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I. 행복한 삶은 좋은 사회에서 14
- 인간, 사회, 환경과 행복

1. 관점이란 무엇일까? 16
2.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을 지녀야 할까? 17
3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① - 시간적 관점과 공간적 관점 19
4.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② - 사회적 관점과 윤리적 관점 22
5. 통합적 관점이란 무엇일까? - 인간의 삶과 사회 제대로 이해하기 25
6. 행복이란 무엇일까? 28
7.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31
8. 지역에 따라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다를까? 34
9.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아갈까? - 성찰하는 삶 38
10. 행복한 삶이란 어떤 삶일까? 40
11.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정주 환경과 행복한 삶 42
12. 왜 생태 도시를 만들려고 할까? - 생태 환경과 행복한 삶 44
13. 행복한 집은 어디에 있을까? - 주거 공간과 행복 47
14. 소득과 행복은 항상 비례할까? 49
15. 돈은 행복을 위한 충분조건일까? 52
16.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 54
17. 민주주의의 발전이 나의 행복과 관계가 있을까? 57
18. 선한 삶과 행복한 삶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 도덕과 행복 60

II. 자연 속에서 가꾸는 삶과 사회 62
- 자연환경과 인간
19. 기후란 무엇인가? 19
20. 기후는 인간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을까? 20
21. 지형이란 무엇인가? 70
22. 세계 최대의 지형에는 무엇이 있을까? 72
23. 지형은 인간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74
24. 인간은 자연환경을 어떻게 극복해 왔을까? 77
25.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자연재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80
26.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시민의 권리, 어떻게 찾을까? 83
27. 인간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87
28. 생태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90
29. 자연관은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93
30.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는 어떤 것일까? 96
31.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할까? 99
32.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은 어떤 노력을 할까? 102
33.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104
34.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들은 무엇을 실천할까? 108

III. 산업, 교통·통신, 정보화가 바꿔 놓은 세상과 미래 110
- 생활공간과 사회

35. 산업 혁명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112
36. 도시화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115
37.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공간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119
38.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양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123
39.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은 어떻게 해결할까? 127
40.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생태 환경의 악화는 어떻게 해결할까? 130
41. 교통수단은 어떻게 발달했을까? - 교통 발달의 역사 133
42.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 137
43.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양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40
44. 교통 발달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143
45. 통신 수단과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147
46. 정보화에 따라 생활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151
47. 정보화에 따라 생활양식은 어떻게 변화할까? 154
48. 정보화로 일어나는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157
49. 정보화에 따른 학교 안의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60
50.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① - 당진군에서 당진시로 163
51.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② - 나주시와 함평군의 변화 167

IV. 기나긴 인권의 역사, 법으로 새긴 인간다울 권리 170
- 인권 보장과 헌법
52. 인권이란 무엇일까? 172
53. 시민 혁명은 인권 보장에 어떻게 기여했나? 174
54. 역사 속에서 인권은 어떻게 확립되어 왔을까? 177
55. 현대 사회에서 인권은 어떻게 확장되고 있을까? 180
56.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인권은 무엇일까? 184
57. 인권과 헌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88
58.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적 장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90
59. 헌법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생활에 반영되나? 193
60. 헌법 재판소는 왜 있을까? 196
61. 인권 보장과 준법 의식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99
62. 시민 참여 없이 인권이 보장될 수 있을까? 202
63. 촛불 집회는 왜 생겨났을까? - 시민의 정치 참여 205
64. 국내 인권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07
65. 세계 인권 문제는 무엇일까? 210
66. 우리나라의 인권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13
67.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215

V. 보이지 않는 경제를 내 손에 218
- 시장 경제와 금융
68. 시장에서 기회가 생기다 - 자본주의의 탄생 220
69. 계획 경제의 거울에 자본주의를 비춰 보면? - 자본주의의 특징 223
70. 자본주의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 자본주의의 역사 226
71. 땅에 떨어진 돈을 주워야 할까? - 합리적 선택 232
72. 아무도 손해 보지 않으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 - 합리적 선택의 한계 235
73. 보이는 시장, 보이지 않는 시장, 어떻게 이용할까? 237
74. 시장이 없으면 초콜릿도 없다 - 시장의 기능 238
75.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까? ① - 시장 실패 242
76.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가? ② - 빈부 격차 245
77. 가계와 기업은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47
78. 정부는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51
79. 무역은 왜 필요할까? 254
80. 국가별 상품 생산비에 무엇이 어떤 영향을 줄까? - 자원·노동·자본의 지역적 분포 차이 257
81. 오늘날 국제 무역 규모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259
82.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끼칠까? 262
83.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끼칠까? 265
84. 자산이란 무엇이며 자산 관리는 왜 중요할까? 268
85. 자산 관리의 원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72
86.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삶은 어떻게 변해 갈까? 275
87. 생애 주기에 따라 금융 설계를 어떻게 할까? 27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