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지역사회복지론 (제5판)
지역사회복지론 (제5판)
저자 : 김범수
출판사 : 공동체
출판년 : 2019
ISBN : 9791161055008

책소개

『지역사회 복지론』 제5판의 제1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의 이해 부분으로서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로 세분화해서 다루었다. 제2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과 기술 부분으로서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방법,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을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으로서 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서비스,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의 실천을 다루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지역사회(Community)란 살아 움직이는 생물체이다. 지역사회복지란 현대사회에서 지역사회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영역을 찾아내어 지역사회가 새로운 활력을 얻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의 다양한 접근을 통해 개입하는 사회복지실천이다. 때문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이 지금 크게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지역사회복지는 다른 사회복지분야에 비하여 국가정책 및 환경의 변화에 더 민감하다. 그 최근의 예로 2019년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 선도사업 추진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 모델을 검증 보완하여 다양한 커뮤니티 케어 모델을 개발하여 2025년까지 커뮤니티 케어 제공기반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으로 커뮤니티 케어는 지역 주민, 민·관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돌봄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주민들의 욕구와 문제를 직접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서비스를 지역 실정에 맞게 자주적으로 개발·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지역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가 될 것이다.
이 책은 2000년 8월, 지역사회복지 교재로는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출간되어 개정과 보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살아 움직이는 생물체와 같이, 변화하는 지역사회의 내용들을 저자 혼자서 그릇에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때문에 2006년 3월 이 책은 보완작업을 거쳐 공저로서의 창간호로 발간한 바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변화와 함께 이 책의 재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2009년 9월에 제2판, 2013년 7월에 제3판, 2016년 7월에 제4판에 이어 제5판에서는 2018년부터 보완작업을 거쳐 2019년 7월에 큰 틀을 유지하면서 지역사회복지의 환경과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보완·개정 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한 교과목지침서와 대학과 대학원의 지역사회복지론의 교재로서 충실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이전 판에 담겨 있지 않았지만 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시험에 꾸준히 출제되고 있는 내용도 추가하였다.
먼저 공저의 제5판으로 제1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의 이해 부분으로서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로 세분화해서 다루었다. 이 부분에서는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역사 그리고 지방자치시대에서 일어나는 지역사회복지의 현상과 이론적인 부분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마을만들기, 아른스테인(Arnstein)의 주민참여단계와 사회자본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이론과 실천현장의 최근 이슈와 이론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제2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과 기술 부분으로서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방법,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을 다루었다. 이 부분에서는 영국과 미국, 일본학자들의 이론을 최대한 원문을 중심으로 소개하는 데 충실하였다. 특히 테일러와 로버츠(Taylor & Roberts)의 실천모형을 소개하여 로스만(Rothman)의 전통적인 모형이 현실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다루었다.
제3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으로서 지역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서비스,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의 실천을 다루었다. 이 부분에서는 각 실천영역별 이론과 발전과정, 현상과 과제 등을 분석하였다. 특히 매년 중앙정부 담당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사회복지조직의 해당 정책 및 제도의 변화를 최대한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다양한 지역사회의 실험들을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의 지역사회복지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끌어들이고 있는 분야가 있다. 외국의 학자들이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영역에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미국이나 일본의 공동모금은 쇠퇴하여 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한국의 공동모금영역은 기부금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국적 커뮤니티 센터라고 할 수 있는 종합사회복지관의 체계적인 모델, 그리고 한국 지역사회의 새로운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등장으로 민간의 영역과 공공의 영역이 앞으로 어떻게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인가 등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외국의 다양한 지역사회복지의 이론뿐만 아니라 한국적 지역사회복지모델을 소개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최근 영국이나 일본에서는 한국형 지역사회복지모델을 하나의 연구테마로 하여 공동연구를 하는 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의 사회복지는 외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를 학습하는 단계였지만 이제는 거꾸로 외국의 학자들이 한국의 사회복지를 학습하는 단계가 시작되고 있는데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1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이해



제1장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13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3

2. 지역사회의 개념 및 기능 17

3. 지역사회복지 및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0

4.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34

5.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50



제2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5

1.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55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62

3.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66



제3장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77

1. 지방자치제의 개념 77

2. 한국 지방자치제의 발전과정 80

3.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82

4. 지방자치제의 사회복지 성격 84

5. 지방자치제의 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87

6. 사회복지 재정분권 93



제4장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 99

1.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 이론 100

2. 갈등이론 103

3. 교환이론 105

4. 사회구성론 107

5. 사회자본이론 109



PART 2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과 기술



제5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형 115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115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118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137

4. 선진국 실천모형의 시사점 139

5.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140



제6장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143

1.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 143

2. 지역사회 추진위원회 구성방법의 과제와 전망 146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과정 149

4.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실천과정 모델 156



제7장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159

1. 사회복지사의 역할 159

2.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169



제8장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방법 185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 및 필요성 185

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이념 188

3. 지역사회보장계획과 주민참여 190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기본 목표 192

5.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193

6.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천과 과제 201



제9장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 205

1. 모금과 마케팅 205

2. 모금기술의 단계 206

3. 마케팅 전략 207

4. 모금의 전략과 방법 211

5. 모금조직과 관리 234

6. 모금비용 240

7. 후원자 개발 242



PART 3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제10장 지역사회복지관 263

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역할 263

2. 사회복지관의 발달과정 268

3. 사회복지관 사업 278



제11장 재가복지서비스 281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및 개념 281

2.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286

3. 재가복지의 등장 배경 291

4. 재가복지서비스의 내용 294



제12장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03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303

2. 사회복지협의회의 이론적 배경 304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310

4.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311

5.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16



제13장 사회복지공동모금회 329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329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과정 331

3. 공동모금의 주요 기능과 전략 340

4.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352



제14장 자활사업과 지역자활센터 355

1. 자활사업의 의의와 역사 355

2. 자활사업의 대상자 및 내용 359

3. 자활사업 지원체계의 개념과 역할 368



제15장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의 실천 373

1. 자원봉사의 도입 배경 373

2. 사회복지와 자원봉사 377

3. 사회복지기관.시설의 인력구조 378

4. 자원봉사의 정의 379

5. 자원봉사의 발전과정 385

6.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388

7. 자원봉사센터 393

8. 비정부기구(NGO)와 자원봉사 395



ㆍ참고문헌 400

ㆍ찾아보기 40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