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유아발달
영유아발달
저자 : 박찬옥^곽현주^서동미^이예숙
출판사 : 양성원
출판년 : 2023
ISBN : 9791161264844

책소개

코로나 19가 우리 사회를 강타한, 2020년 전후로 해서 가장 큰 화두는 “변화”일 것입니다. 이전의 상태가 그대로 진행되지 않고,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때, 변화하였다고 말합니다. 아주 부분적으로만 바뀔 때 그래서 이전 모습이 많이 남아 있어도 변화라고하지만,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보이거나, 전혀 예기치 못할 정도로 놀랄만하게 달라지면 격변, 혁신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변화가 알게 모르게 작용하는 것이 바로 발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발달, 조직발달 … 인간발달 등은 모두 과정 속에 변화가 있어 발달합니다. 특히 사람이 태어나서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변화를 겪는지요!

백일 때 사진과 3~40대 성인이 되어 찍은 사진을 놓고 같은 사람이라고 맞출 수 있을까요? 그래서 앨범이 필요합니다. 출생 시 사진에서부터 첫돌, 어린이집(유치원)

생활,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 직장생활, 결혼, 가족사진, 50대~70대 이르기까지 인생의 여정을 돌아보며, “몰라보게 컸네, 확 자랐네, 어릴 적에 그렇게 먹기만 하더니 그래서 키가 컸나 봐, 이상하게 할아버지 되곤 키가 줄었네...” 스스로 생각해도 자라는게(몸이 건 생각하는 것이 건) 눈에 보이는 시기가 있는가 하면, 환경을 탓하며 일탈 행동했던 때가 있고, 나중에 정신차려 뜻을 세우고 노력한 결과 어릴 적 기대에 부응한어른으로 살아가게 된 시기가 있습니다. 앨범을 보면서 스스로 뿌듯해 하기도, 때론 원망스러워 하기도 합니다. “내가 노력을 많이 했지. 아버지를 닮아서 그래. 그 때 우리

집 형편이 안 좋았어. 내가 너무 많이 참았어.” 등. 유전과 환경을 거론합니다. 그래서인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동년배들 간에도 발달

상태가 다릅니다. 물론, 같은 5세라도 아버지 세대의 5세와 아들 세대의 5세는 발달적으로 같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한 할머니가 손자 자랑을 하십니다. “우리 5살 먹은 손자는 어떤 자동차든 자동차 이름을 척척 맞춰요. 난 5살 때 전혀 몰랐거든요. 우리 손자 대단해요!” 엄지척합니다. 아마 그 할머니는 손자가 모르는 꽃나무 이름을 척척 말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세대와 사회가 다르게 변해도 인간의 생물학적 구조와 기능, 동물과 다른 인간다움의 본질,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 어린 사람과 어른의 질적 차이 등에 작용하는 발달의 원리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리고 어리면 어릴수록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고, 사랑받고, 격려받았던 경험이 훗날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성인으로 우뚝 설 수 있다는 초기 발달이론들은 인공지능시대에도 여전히 공감받고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1 영유아발달의 이해

Chapter 01 영유아발달의 개념
1. 발달의 의미
2. 발달단계와 발달영역
3. 발달원리
4. 발달에 대한 주요 쟁점


Chapter 02 영유아발달연구
1. 영유아발달연구 역사
2. 영유아발달연구를 위한 접근방법

Chapter 03 영유아발달이론
1. 성숙이론
2. 정신분석이론
3. 인지발달이론
4. 행동주의이론
5. 동물행동학적이론
6. 생태학적이론

2PART 태내기

Chapter 04 태내발달
1. 임신
2. 태내발달 단계
3. 태내 환경과 영향요인

Chapter 05 출산
1. 분만 단계
2. 분만 방법
3. 출산 시 문제점: 조산아와 저체중아

PART 3 영아기
Chapter 06 신생아
1. 발달적 특징
2. 반사행동(reflection)
3. 신생아 돌보는 방법

Chapter 07 영아 신체·운동발달
1. 신체적 성장 및 발달
2. 운동발달

Chapter 08 영아 인지·언어발달
1. 지각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Chapter 09 영아 사회·정서발달
1. 정서발달
2. 사회성 발달

PART 4 유아기

Chapter 10 유아 신체·운동발달
1. 신체적 성장과 발달
2. 운동발달
3. 뇌발달

Chapter 11 유아 인지·언어발달
1. 지각발달
2. 인지발달
3. 언어발달

Chapter 12 유아 사회·정서발달
1. 정서발달
2. 사회성 발달

PART 5 영유아발달과 생태학적 맥락

Chapter 13 가족 내적 환경
1. 부모의 양육 행동
2. 형제 관계
3. 조부모 관계
4. 다양한 가족 유형
5. 아동학대

Chapter 14 가족 외적 환경
1. 놀이
2. 또래 관계
3. 보육의 질
4. 대중매체
5. 지역사회의 육아지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