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실존과 그리스도)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실존과 그리스도)
저자 : 폴 틸리히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22
ISBN : 9791161292427

책소개

20세기 초반 일군의 신진 신학자들이 선배들의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그 대표자로 칼 바르트, 에밀 브루너,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루돌프 불트만 그리고 폴 틸리히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은 이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신학을 전개해나갔지만, 그들이 자유주의를 비판했던 지점은 동일했다. 그들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과 인간의 무한한 차이를 강조했던 것이다.
그렇게 등장한 신진 학자 중 대표자인 칼 바르트는 『교회교의학』을 통해 교회가 고백하는 신앙의 내용을 학문적으로 검토하는 신학을 전개했지만, 또 다른 대표자인 폴 틸리히는 교회와 세계, 신학과 철학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작업을 전개해나갔다. 이를 위해 틸리히는 당대의 존재론 철학과 실존주의 철학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정치학, 심리학과 미학 등 다양한 학문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면서 그 안에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종교적 관심 및 궁극적 관심을 발견하고자 노력했고, 이에 대해서 신학적으로 대답하고자 시도했다.
그러한 시도를 위해서 그는 “상관관계의 방법”이라는 고유한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이는 철학적인 실존적 물음에 대해서 기독교의 상징으로 대답하는 방법이었다. 그는 이 방법에 따라 이성의 한계에 대해서 계시로, 유한성의 불안에 대해서 존재 자체인 하나님으로(제1권), 실존적 소외에 대해서 새로운 존재인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로(제2권), 생명의 모호함에 대해서 영으로, 역사의 모호함에 대해서 하나님의 나라로 각기 그 대답을 제시했고(제3권), 『폴 틸리히 조직신학』에서 그 물음과 대답을 철학적·신학적으로 정교하게 해명했다.
1933년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틸리히는 유니온 신학교에서 자리를 잡았지만, 학계에서만 인정받을 뿐 대중적으로는 무명의 학자였다. 하지만 1948년 설교집 『흔들리는 터전』(The Shaking of the Foundation)이 베스트셀러가 된 후 1951년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 제1권이 출간되자 그는 미국 지성계의 스타가 되었다. 이후 그는 유니온 신학교에서 은퇴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1957년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 제2권을 출간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1963년 『폴 틸리히 조직신학』 3권을 출간함으로써 자신의 『조직신학』을 완간했다. 혹자는 틸리히에 대해서 “미국 역사상 가장 널리 알려진 신학자였을 것”(데이비드 켈시)이라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폴 틸리히 조직신학』 안에서 전개되는 그의 신학이 기독교의 메시지를 온전히 설명하면서도 당대의 철학적 물음에 적절하게 대답하는 신학이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그 판단의 결과가 어떠하든, 이 책을 읽는 독자는 오늘날 게토화가 되어가는 교회와 신학이 세상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지, 그리고 그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고민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1960대 중반(1951, 제1권)부터 출간되어 80세를 바라보는 나이(1963, 제3권)에 완간된 그의 『조직신학』 속에서 독자들은 대가의 완숙한 신학 사상을 맛보게 될 것이며, “조직”신학의 거대하고 정교한 “체계”에 전율하게 될 것이다. 『폴 틸리히 조직신학』은 오래전 한국어로 소개되었으나 틸리히 신학을 전공한 역자에 의해 금번에 새롭게 번역·출간됨으로써 틸리히의 위대한 신학 체계를 훨씬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의 재출간은 한국 신학계의 경사와 같은 일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세기 초반 일군의 신진 신학자들이 선배들의 자유주의 신학을 비판하면서 등장했다. 그 대표자로 칼 바르트, 에밀 브루너,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루돌프 불트만 그리고 폴 틸리히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은 이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신학을 전개해나갔지만, 그들이 자유주의를 비판했던 지점은 동일했다. 그들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과 인간의 무한한 차이를 강조했던 것이다.

그렇게 등장한 신진 학자 중 대표자인 칼 바르트는 『교회교의학』을 통해 교회가 고백하는 신앙의 내용을 학문적으로 검토하는 신학을 전개했지만, 또 다른 대표자인 폴 틸리히는 교회와 세계, 신학과 철학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작업을 전개해나갔다. 이를 위해 틸리히는 당대의 존재론 철학과 실존주의 철학뿐만 아니라 사회학과 정치학, 심리학과 미학 등 다양한 학문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면서 그 안에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종교적 관심 및 궁극적 관심을 발견하고자 노력했고, 이에 대해서 신학적으로 대답하고자 시도했다.

그러한 시도를 위해서 그는 “상관관계의 방법”이라는 고유한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이는 철학적인 실존적 물음에 대해서 기독교의 상징으로 대답하는 방법이었다. 그는 이 방법에 따라 이성의 한계에 대해서 계시로, 유한성의 불안에 대해서 존재 자체인 하나님으로(제1권), 실존적 소외에 대해서 새로운 존재인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로(제2권), 생명의 모호함에 대해서 영으로, 역사의 모호함에 대해서 하나님의 나라로 각기 그 대답을 제시했고(제3권), 『폴 틸리히 조직신학』에서 그 물음과 대답을 철학적·신학적으로 정교하게 해명했다.

1933년 나치의 탄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틸리히는 유니온 신학교에서 자리를 잡았지만, 학계에서만 인정받을 뿐 대중적으로는 무명의 학자였다. 하지만 1948년 설교집 『흔들리는 터전』(The Shaking of the Foundation)이 베스트셀러가 된 후 1951년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 제1권이 출간되자 그는 미국 지성계의 스타가 되었다. 이후 그는 유니온 신학교에서 은퇴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1957년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 제2권을 출간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1963년 『폴 틸리히 조직신학』 3권을 출간함으로써 자신의 『조직신학』을 완간했다. 혹자는 틸리히에 대해서 “미국 역사상 가장 널리 알려진 신학자였을 것”(데이비드 켈시)이라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폴 틸리히 조직신학』 안에서 전개되는 그의 신학이 기독교의 메시지를 온전히 설명하면서도 당대의 철학적 물음에 적절하게 대답하는 신학이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그 판단의 결과가 어떠하든, 이 책을 읽는 독자는 오늘날 게토화가 되어가는 교회와 신학이 세상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지, 그리고 그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고민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1960대 중반(1951, 제1권)부터 출간되어 80세를 바라보는 나이(1963, 제3권)에 완간된 그의 『조직신학』 속에서 독자들은 대가의 완숙한 신학 사상을 맛보게 될 것이며, “조직”신학의 거대하고 정교한 “체계”에 전율하게 될 것이다. 『폴 틸리히 조직신학』은 오래전 한국어로 소개되었으나 틸리히 신학을 전공한 역자에 의해 금번에 새롭게 번역·출간됨으로써 틸리히의 위대한 신학 체계를 훨씬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의 재출간은 한국 신학계의 경사와 같은 일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ㆍ 10

서론
A. 『폴 틸리히 조직신학 2』와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그리고 조직신학 전체의 관계 ㆍ 20

B. 제1권에서 제시된 대답의 재진술 ㆍ 23
1.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를 넘어서 ㆍ 23
2. 조직신학에서 존재 개념의 사용 ㆍ 31
3. 실존적 물음과 신학적 대답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 ㆍ 35

제3부 실존과 그리스도

Ⅰ. 실존과 그리스도 요청

A. 실존과 실존주의 ㆍ 42
1. 실존의 어원 ㆍ 42
2. 실존주의적 문제의 부상 ㆍ 46
3. 본질주의에 맞선 실존주의 ㆍ 51
4. 실존적 사유와 실존주의적 사유 ㆍ 54
5. 실존주의와 기독교 신학 ㆍ 55

B. 본질에서 실존으로의 이행과 “타락” 상징 ㆍ 58
1. “타락” 상징과 서구 철학 ㆍ 58
2. 본질에서 실존으로의 이행 가능성인 유한한 자유 ㆍ 62
3. “몽환적 순결”과 유혹 ㆍ 65
4. 본질적 존재에서 실존적 존재로의 이행 속에 있는 도덕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 ㆍ 70
5. 창조와 타락 ㆍ 75

C. 인간 소외의 표지들과 죄 개념 ㆍ 83
1. 소외와 죄 ㆍ 83
2. “불신앙”으로서의 소외 ㆍ 87
3. “교만”로서의 소외 ㆍ 90
4. “탐욕”으로서의 소외 ㆍ 94
5. 사실로서의 소외와 행위로서의 소외 ㆍ 101
6. 개인적 소외와 집단적 소외 ㆍ 105

D. 실존적 자기-파괴와 악의 교리 ㆍ 107
1. 소외 상태에서 자기-상실과 세계-상실 ㆍ 107
2. 소외 상태에서 나타나는 존재론적 양극성의 갈등 ㆍ 111
a) 자유와 운명의 분리 ㆍ 111
b) 역동성과 형식의 분리 ㆍ 113
c) 개체화와 참여의 분리 ㆍ 115

3. 유한성과 소외 ㆍ 117
a) 죽음, 유한성, 죄책 ㆍ 117
b) 소외, 시간, 공간 ㆍ 120
c) 소외, 고난, 외로움 ㆍ 123
d) 소외, 의심, 무의미 ㆍ 126

4. 절망의 의미와 상징들 ㆍ 130
a) 절망과 자살 문제 ㆍ 130
b) “하나님의 진노”라는 상징 ㆍ 133
c) “정죄”라는 상징 ㆍ 135

E. 새로운 존재 요청과 “그리스도”의 의미 ㆍ 136
1. 숙명 또는 의지의 속박으로서의 실존 ㆍ 136
2. 자기-구원의 방법들과 그 방법들의 실패 ㆍ 139
a) 자기-구원과 종교 ㆍ 139
b) 자기-구원의 율법주의적 방법들 ㆍ 140
c) 자기-구원의 금욕주의적 방법들 ㆍ 141
d) 자기-구원의 신비주의적 방법들 ㆍ 143
e) 자기-구원의 성례적·교리적·감정적 방법들 ㆍ 145
3. 새로운 존재에 대한 비역사적 기대와 역사적 기대 ㆍ 148
4. “그리스도”라는 상징, 그 역사적 의미와 초역사적 의미 ㆍ 150
5. 기독교 신학에서 역설의 의미 ㆍ 153
6. 하나님, 인간 그리고 “그리스도”라는 상징 ㆍ 157

Ⅱ. 그리스도의 실재

A. 그리스도로서의 예수 ㆍ 164
1.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 ㆍ 164
2. 사건, 사실, 수용 ㆍ 166
3. 역사와 그리스도 ㆍ 168
4. 역사적 예수 탐구와 그 실패 ㆍ 170
5. 역사적 탐구와 신학 ㆍ 179
6. 신앙과 역사적 회의주의 ㆍ 187
7.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 관한 성서의 증언 ㆍ 194

B.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ㆍ 196
1. 새로운 존재와 새로운 시대 ㆍ 196
2. 인격적 생명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ㆍ 199
3.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에 관한 표현들 ㆍ 200
4. 소외를 정복하는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ㆍ 208
a) 그리스도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와 소외의 표지들 ㆍ 208
b) 그리스도가 받은 유혹의 실재 ㆍ 211
c) 그리스도의 유한성의 표지들 ㆍ 216
d) 실존의 비극적 요소에 그리스도가 참여함 ㆍ 218
e)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영구적 일치 ㆍ 220
5. 새로운 존재의 역사적 차원 ㆍ 222
6.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의 모습에서 나타난 갈등 요소들 ㆍ 224
C. 기독론 교의에 대한 평가 ㆍ 227
1. 기독론 교의의 본성과 기능 ㆍ 227
2. 기독론 교의의 발전에서 나타난 위험과 결정들 ㆍ 232
3. 조직신학에서 기독론의 과제 ㆍ 238

D. 예수 그리스도 사건의 보편적 의의 ㆍ 246
1. 예수 그리스도 사건의 유일무이함과 보편성 ㆍ246
2.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의 보편적 의의를 보여주는 핵심적 상징들과 그 상징들의 관계 ㆍ 249
3. “그리스도의 십자가” 상징을 보강하는 상징들 ㆍ 256
4. “그리스도의 부활” 상징을 보강하는 상징들 ㆍ 258

E.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구원의 힘으로 나타난 새로운 존재 ㆍ 267
1. 구원의 의미 ㆍ 267
2. 구원자(중보자, 구속자)로서의 그리스도 ㆍ 271
3. 속죄론들 ㆍ 274
4. 속죄론의 원리들 ㆍ 279
5. 구원의 세 가지 특징 ㆍ 283
a) 새로운 존재에 참여로서의 구원(중생) ㆍ 283
b) 새로운 존재의 수용으로서의 구원(칭의) ㆍ 284
c) 새로운 존재에 의한 변형으로서의 구원(성화) ㆍ 28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