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중국교회 삼자운동 발전사
중국교회 삼자운동 발전사
저자 : 진미수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23
ISBN : 9791161292663

책소개

한국교회는 그동안 무수히 중국선교를 외쳤다. 그러나 정작 중국교회의 역사와 사정을 잘 알지 못한다. 한국교회에게 중국교회는 여전히 ‘죽의 장막’ 뒤에 가려져 있다. 중국교회에 대한 무지는 결국 오해와 편견으로 귀결된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공인 삼자교회는 배교한 적그리스도 같은 교회이고, 반면 가정교회는 순전한 참 교회라는 인식이 그렇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왜 기독교를 배척하는가?”라는 질문의 답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그것은 중국교회의 시작과 발전의 노정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절대로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교회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중국교회를 현재로 이끈 ‘과거’, 즉 역사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중국에서 사역하며 중국문화와 중국교회사를 연구한 전문 학자인 진미수 교수는 이 책에서 중국의 기독교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이 책은 19세기 초반 태동한 중국교회가 극변하던 중국의 근현대 시기에 어떻게 생존을 도모해나갔는지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다. 중국교회는 최초 복음주의 선교사에 의해 태동될 때부터 자립교회를 꿈꿨다. 그것은 서구 열강에 의해 중국이 약탈당하는 과정에서 기독교가 앞잡이 역할을 했다는 부정적 인식에 기인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교회는 자신들이 서구 제국주의와 상관없는 중국인들의 자립교회라는 것을 증명해야 했다. 이 자립교회의 꿈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에 맞물려 개화기를 맞이하기도 했고 때론 정체기를 맞기도 했다. 초기 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토착화적 삼자운동과 교회의 전통적 중국화는 중국교회 지도자들이 주도권을 쥐기 시작하면서 자립교회운동과 본색화운동으로 발전했다. 이후 사회주의 체제에서 국가 주도의 삼자애국운동이 등장하면서부터 삼자운동(자전ㆍ자치ㆍ자양)은 중국교회를 삼자교회와 가정교회로 분리시켰다. 중국교회의 삼자운동은 중국의 국내정세 변화에 따라 문화대혁명, 개혁개방을 거치면서 결국 기독교의 중국화라는 절정에 이르게 된다. 이 책은 중국교회의 자립정신과 노력을 ‘삼자운동’이라 명명하고, 자립교회를 만들고자 했던 중국교회의 비전을 20세기 말 개혁개방기까지 편년체 형식으로 정리하여 소개한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중국교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읽다 보면 현재의 중국교회 전체를 조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삼자운동이 단순히 사회주의 신중국에 협력한 삼자교회의 전유물이 아니라, 서구 제국주의의 그늘 아래 있던 기독교를 중국인들의 독자적인 종교로 제시하려 했던 더욱 근원적인 움직임이었다는 진단은 매우 흥미롭게 들릴 것이다.
삼자교회와 가정교회가 각기 다른 정치 사상과 신학 사상을 견지해왔지만 이 둘은 결코 양 극단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중국교회에 대해 떠올릴 때 막연하게 삼자교회나 핍박받는 가정교회만을 연상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중국교회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게 할 것이다. 오늘도 중국 영혼을 가슴에 품고, 그 땅을 위해 간절히 중보하며 새로운 화합과 협력의 길을 도모하는 독자들에게는 이 책이 중국교회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분명 이 책은 현대 중국교회를 이해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교회는 그동안 무수히 중국선교를 외쳤다. 그러나 정작 중국교회의 역사와 사정을 잘 알지 못한다. 한국교회에게 중국교회는 여전히 ‘죽의 장막’ 뒤에 가려져 있다. 중국교회에 대한 무지는 결국 오해와 편견으로 귀결된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공인 삼자교회는 배교한 적그리스도 같은 교회이고, 반면 가정교회는 순전한 참 교회라는 인식이 그렇다. 하지만 “중국인들은 왜 기독교를 배척하는가?”라는 질문의 답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그것은 중국교회의 시작과 발전의 노정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절대로 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교회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중국교회를 현재로 이끈 ‘과거’, 즉 역사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중국에서 사역하며 중국문화와 중국교회사를 연구한 전문 학자인 진미수 교수는 이 책에서 중국의 기독교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이 책은 19세기 초반 태동한 중국교회가 극변하던 중국의 근현대 시기에 어떻게 생존을 도모해나갔는지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다. 중국교회는 최초 복음주의 선교사에 의해 태동될 때부터 자립교회를 꿈꿨다. 그것은 서구 열강에 의해 중국이 약탈당하는 과정에서 기독교가 앞잡이 역할을 했다는 부정적 인식에 기인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교회는 자신들이 서구 제국주의와 상관없는 중국인들의 자립교회라는 것을 증명해야 했다. 이 자립교회의 꿈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에 맞물려 개화기를 맞이하기도 했고 때론 정체기를 맞기도 했다. 초기 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토착화적 삼자운동과 교회의 전통적 중국화는 중국교회 지도자들이 주도권을 쥐기 시작하면서 자립교회운동과 본색화운동으로 발전했다. 이후 사회주의 체제에서 국가 주도의 삼자애국운동이 등장하면서부터 삼자운동(자전・자치・자양)은 중국교회를 삼자교회와 가정교회로 분리시켰다. 중국교회의 삼자운동은 중국의 국내정세 변화에 따라 문화대혁명, 개혁개방을 거치면서 결국 기독교의 중국화라는 절정에 이르게 된다. 이 책은 중국교회의 자립정신과 노력을 ‘삼자운동’이라 명명하고, 자립교회를 만들고자 했던 중국교회의 비전을 20세기 말 개혁개방기까지 편년체 형식으로 정리하여 소개한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중국교회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읽다 보면 현재의 중국교회 전체를 조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삼자운동이 단순히 사회주의 신중국에 협력한 삼자교회의 전유물이 아니라, 서구 제국주의의 그늘 아래 있던 기독교를 중국인들의 독자적인 종교로 제시하려 했던 더욱 근원적인 움직임이었다는 진단은 매우 흥미롭게 들릴 것이다.

삼자교회와 가정교회가 각기 다른 정치 사상과 신학 사상을 견지해왔지만 이 둘은 결코 양 극단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중국교회에 대해 떠올릴 때 막연하게 삼자교회나 핍박받는 가정교회만을 연상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중국교회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게 할 것이다. 오늘도 중국 영혼을 가슴에 품고, 그 땅을 위해 간절히 중보하며 새로운 화합과 협력의 길을 도모하는 독자들에게는 이 책이 중국교회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분명 이 책은 현대 중국교회를 이해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제1장 19세기 중국교회: 삼자운동의 출발
1. 초기 중국 선교의 역사
1) 영미(英美) 복음주의의 중국 선교
2) 19세기 세계 선교운동의 이론: 토착교회론 vs. 문명개화론
3) 초기 중국 선교의 역사
2. 중국 민족주의와 기독교의 충돌
1)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형성 과정과 주요 특징
2) 19세기 중국의 정치적 상황과 개신교 선교
3) 중국 민족주의와 기독교의 충돌
3. 삼자운동의 초석: 초기 선교사들의 사역
1) 19세기 초반: 로버트 모리슨
2) 19세기 중·후반: 허드슨 테일러
3) 19세기 중·후반: 존 네비우스
4. 중국교회의 ‘삼자원칙’ 선교방법론 수용
1) 중국교회 현지인 사역자 배출
2) 자립교회운동의 시작

제2장 20세기 초 중국교회: 삼자운동의 분기
1. 20세기 초 중국의 정치적·사회적 상황: 반기독교운동
1) 반기독교운동의 개황
2) 반기독교운동의 원인
2. 20세기 초 중국교회의 삼자운동 1: 자립교회운동
1) 원인과 계기
2) 자립교회운동의 주요 양상
3) 왕밍따오의 신학 사상
4) 워치만 니의 신학 사상
5) 자립교회운동에 대한 평가와 영향
3. 20세기 초 중국교회의 삼자운동 2: 본색화운동
1) 20세기 초 중국교회 상황
2) 본색화운동의 전개
3) 우레이추안의 신학 사상
4) 본색화운동의 평가와 영향

제3장 1949-1976년의 중국교회: 삼자운동의 두 길
1. 시대적 배경
1) 정치적 상황
2) 교회적 상황
2. 삼자애국운동
1) 삼자애국운동의 전개
2) 우야오종의 신학 사상
3. 삼자회의 저항 세력
1) 자립교회의 저항 배경
2) 대표 저항교회
4. 문화대혁명기의 중국교회(1966-1976)
1) 문화대혁명의 발발 원인과 전개 과정
2) 문화대혁명하의 중국 기독교
3) 우야오종의 종교 자유를 위한 노력

제4장 개혁개방기의 중국교회
1. 시대적 배경
1) 정치적 상황
2) 교회적 상황
2. 삼자교회의 발전
1) 양회(兩會)의 조직과 발전
2) 삼자신학의 체계화
3. 딩광쉰의 신학 사상
1) 딩광쉰의 신앙 여정
2) 딩광쉰 신학 사상의 기초
3) 딩광쉰의 주요 신학 사상
4) 딩광쉰의 신학 사상 평가
4. 문혁 직후 가정교회의 성장과 고난
1) 문혁 직후 가정교회의 발전과 성숙
2) 문혁 직후 가정교회 발전의 저해 요소

나가는 말
부록: 북한교회 재건을 꿈꾸다(장동민)
감사의 글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