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국교회의 미래
한국교회의 미래
저자 : 소강석
출판사 : 쿰란출판사
출판년 : 2020
ISBN : 9791161433752

책소개

포스트 코로나 『한국교회의 미래』는 크게 4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면적 관계 단절,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성 문화〉, 〈가족 중심의 새로운 일상(뉴 노멀)의 변화〉, 〈집단성, 공동체성이 해체되고 온라인, 가상공간의 문화〉 등 수록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갑자기 닥친 코로나19로 인해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책 없이 예배가 중지되고, 온라인 예배를 드린다 해도 현장예배는 드리지 않는 교회들이 생겨났다. 코로나19 위기가 해제되었을 때 과연 한국교회는 어떻게 회복할 것인가! 이 책은 코로나19 이후의 사회변화, 교회 환경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교회의 미래를 향한 전략과 뉴 포맷을 제시하며 한국교회가 가야 할 길을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코로나19 해제 이후에 위기를 극복한 한국교회 안에 정화와 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1장_ 코로나로 인한 사회 변화
1. 대면적 관계 단절, 개인주의와 자기중심성 문화
2. 가족 중심의 새로운 일상(뉴 노멀)의 변화
3. 집단성, 공동체성이 해체되고 온라인, 가상공간의 문화
4. 다운사이징(축소화) 사회로 소상공인들의 서바이벌한 삶
5. 문화 예술적, 종교적인 활동보다는 육체적, 건강 우선순위의 삶
6. 글로벌한 사회보다는 국가 이기주의 사회로의 변화

2장_ 코로나로 인한 교회 환경 변화
1. 교회를 세울 수 있는 환경에서 교회를 파괴하는 환경으로의 변화
2. 영적인 태만과 냉담, 방치 습관의 체질화
3. 성도들 신앙의 육체적 세속화
4. 4·15 총선의 결과가 보여준 진보사회로의 변화

3장_ 코로나 이후의 교회 세움
1. 성경적 신앙, 초대교회 신앙으로 리셋(reset)하기
1) 첫사랑 회복시키기
2) 영적인 목마름 회복시키기
3) 공동체 신앙 훈련시키기
4) 신앙의 열정 회복시키기
5) 헌신훈련 반복하기
6) 뉴 ACTS29 운동
2. 성경적 신앙을 시대 트렌드에 맞게 리포맷(reformat)하기
1) 양극단의 이념에 편승하지 않고 하나님 중심의 신앙 갖게 하기
2) 정치적 부족주의를 벗어나 신앙적 화합주의로 변화시키기
3) 분노사회를 신앙의 방식을 통해 화해사회로 전환시키기
4) 과거적 신앙보다 미래적 신앙으로 바꾸기

4장_ 다시 교회세움운동(처치 플랜팅; Church Planting)의 방향
1. 집회 회복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예배의 포맷을 새롭게 하기
2) 감동적인 설교 준비하기
3) 현장예배에 대한 기대감 갖게 하기
4) 성도와 성도끼리 연결 맺기
5) 성도와 교회 연결 맺기
6) 특별기도회 참여시키기
7) 보랏빛 엽서 보내기
8) 오는 교인들을 왕처럼 모시기
2. 순환계적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 본질 이해하기(교회론 교육)
2) 교회를 다시 경험하게 하기
- 교회를 향한 하나님의 소명 새롭게 경험하기
- 현장예배의 중요성 경험하기
- 몸 된 교회의 지체로 존재하기
- 다시 기도의 불 붙이기
- 몸으로서의 교회를 배우고 체험하기
- 공동체 교회와 조직교회 참여, 헌신
3) 예배를 새롭게 경험하기
- 예배의 신성함 교육하기
- 예배의 공동체성 회복하기
- 예배를 통한 하나님의 임재와 영광 체험하기
- 설교에 생명력 더하기
4) 가정교회 세우기
5) 이단 침투 방어와 이단 탈퇴자 교화하기
3. 포지션 영역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의 이미지 메이킹 새롭게 하기
- 올드 처치에서 뉴 처치의 이미지로 바꾸기
- 제도적 교회에서 창조적 교회로 나아가기
- 오프라인 교회와 온라인 예배가 쌍두마차로 가기
- 대면 전도와 온라인 전도 융합하기
- 정치적, 사회적 교회에서 복음적, 목회적 교회로 전환하기
2) 교회 브랜드 업(up)하기
- 예배와 설교의 새로운 포맷하기
- 메디컬 처치(medical Church)
- 근시적 마을교회에서 글로벌, 킹덤 처치로 확장하기
- 일반 주변 교회에서 핵심적 중심교회로 진입하기
4. 생태계적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교회 생태계 이해하기
2) 공교회 이해하기
3) 공적 사역의 마인드 갖기
- 하나님의 시야와 마음을 가진 사람 - 공교회 의식
- 네트워크와 연합된 마음을 가진 사람(네트워크 교회를 이룸)
- 반기독교적 흐름을 막고 교회 생태계를 지키기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사람
- 미디어 선교, 문화선교의 의식이 있는 사람
4) 교회와 국가의 관계
5. 다음 세대 차원에서의 교회 세움
1) 신앙의 유산으로서의 다음 세대
2) 교회 유산으로서의 교회 세대
3) 유튜브를 통한 Z세대 전도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