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위대한 사상가 (알랭 드 보통이 설립한 인생학교의 삶의 지혜와 통찰)
위대한 사상가 (알랭 드 보통이 설립한 인생학교의 삶의 지혜와 통찰)
저자 : The School of Life
출판사 : 와이즈베리
출판년 : 2017
ISBN : 9791162332573

책소개

알랭 드 보통의 인생학교(The School of life)에서 선정한 삶의 지혜와 통찰 『위대한 사상가』. 누구도 공부가 끝났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적극적인 학생으로 남아 평생 배워야 한다. 처음 보는 사람과 대화하는 법, 나이 드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 대처하는 법, 마음을 가라앉히고 용서하는 법에 관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학교는 그저 아이들만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 공동체가 교육받는 곳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자신은 지금 평생교육의 초기 단계에 참여하는 중 이라고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어떤 수업에는 7살짜리 아이 옆에 50살 어른이 앉아 있어야 한다(‘한국어판 서문’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의 삶을 바꾼 위대한 60인의 멘토를 만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쾌락주의자’라고 알고 있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Epicurus는 사실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자 평생을 바친 인물이다. 하지만 그의 독특한 주장에 불만을 품었던 사람들이 몇 가지 추문을 퍼뜨리면서 그는 현재 우리들의 기억 속에 사치와 타락을 의미하는 형용사의 기원으로 잘못 인식되고 있다. 강한 군주 상을 주장한 마키아벨리도 자연스러운 오해의 피해자다. 그의 주장은 어떻게 보면 적당히 잔인하고 냉혹한 폭력배의 편을 드는 것으로 들리기도 하겠지만 사실 그의 가혹한 충고를 깊이 새겨들어야 할 사람은 늘 결정적인 순간에 충분히 모질지 못한 탓에 가장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고 마는 우리들이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사상가들이 세상을 향해 던진 메시지는 상당히 의미 있고 중요했다. 하지만 그 전달 방식이 장벽이 되어 사람들에까지 제대로 도달하지 않았다. 실제로 그들의 책은 너무 어렵고 기이해서 저자의 핵심 의도가 부차적인 내용에 파묻혀 모습을 드러내지 못할 때가 많았다. 예를 들어 근대 철학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헤겔의 글은 매우 난해하다. 그는 인간 본성의 약점, 즉 근엄하고 어렵게 들리는 이야기일수록 신뢰하는 경향을 노렸다.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글이 오히려 심오한 진리라도 되는 듯이 만들었다. 이 때문에 세상은 큰 대가를 치러왔다. 철학자들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좋은 가르침을 알아듣는 것이 너무나 어려워진 것이다.
와이즈베리 신간 인생학교The school of life 시리즈《위대한 사상가Great Thinkers》는 특히 이러한 점에 유의하면서, 우리의 삶을 바꾼 멘토 60인의 사상이 단순하고 쉽고 매력적으로 들리게끔 최선을 다했다. 이 책은 철학, 정치학, 사회학, 정신의학, 예술, 건축, 문학 분야에 걸쳐 오늘날 우리에게 큰 의미가 있는 위대한 사상가들의 삶을 통해 우리의 감성 지능을 함양하고 문화를 위안과 계몽의 도구로 삼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지금까지는 위대한 사상가들의 유산을 그 자체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지만,《위대한 사상가》에서는 약간 이단아의 관점에서 ‘그들의 사상이 우리에게 어떻게 유용한지’를 강조하고 있다. 누구의 사상이 위대하고 실제로 유용한지 선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지만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정치, 일, 개인의 삶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극복하고 그들의 일상에 기대어 다양한 삶의 희로애락까지 함께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책속으로 추가]

프로이트는 동료 의사들을 대단히 시기했다. 한번은 칼 융Carl Jung이 강연하는 모습을 지켜보다 실신하기도 했고, 거의 모든 제자에게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책은 펼쳐보지도 말라고 지시했다. 그는 자신이 61세와 62세 사이에 죽을 것이라고 확신했고, 그 숫자들에 심한 공포증을 갖고 있었다. 아테네에 머물던 중 그의 호텔방 호수가 62의 절반인 31이라는 걸 알고는 공황 증세를 일으키기도 했다. 그는 사랑하는 시가로 마음을 달랬지만, 시가가 어릴 적 자위 습관의 대용물이 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마저도 남의 시선을 많이 의식했다.
하지만 그의 개인적인 슬픔과 불안은 사실 그가 쌓은 가장 큰 업적 ? 인간 마음의 이상한 불행을 깊이 조사한 것 ? 의 일부분일 뿐이다. 그의 책들은 우리 마음의 의식적이고 이성적인 부분이 결코 그 자신의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그 대신에 우리는 경쟁하는 힘들의 지배를 받는데, 그중 많은 힘이 의식의 인지 너머에 있다. 그의 이론 중에 정말 이상하고 당혹스럽고 웃음이 나오는 것이 있을지라도 우리는 그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이 왜 이리 어려운지를 훌륭하게 밝혀주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5부 정신의학
지그문트 프로이트, 403p
기독교의 위대한 통찰, 특히 기독교 신학에서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있는 궁극적인 통찰 하나는 모든 사람의 내면이 똑같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겉보기에는 딱히 특별하지 않은 사람도 똑같이 중요하다. 영적인 관점에서는 견습 재단사의 생각과 감정이 장군이나 황제의 생각과 감정만큼 중요하다. 페르메이르는 바로 그런 시선으로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그렸다. 바깥세상의 눈으로 볼 때 이 인물은 유명하지도 중요하지도 않다. 소녀는 부자도 아니다. 소녀에게는 진주 귀고리가 비싸기도 하고 예쁘기도 하겠지만 유행을 좇는 세상의 기준에서는 볼품없는 싸구려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이 소녀에게 정의가 필요한가? 아니다. 소녀는 세상에 짓밟히거나 부당한 일을 당하지 않았다. 그녀는 (다른 더 좋은 표현이 있을지 모르지만) 평범하다. 그렇지만 당연하게도, 다른 모든 사람 과 마찬가지로 이 인물은 한 인간으로서 전혀 평범하지 않다. 그가 그 자신인 것은 유일무이하고 신비롭고 심오한 사건이다.
6부 미학과 건축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471~472p

프루스트가 생각하기에, 위대한 예술가는 우리에게 신선하고 깊이 있고 생생한 방식으로 세계를 보여주므로 갈채를 받아 마땅하다. 그 에 따르면, 예술의 반대는 ‘습관’이다. 우리가 삶의 많은 부분을 망치게 되는 원인은 삶의 그 모든 중요한 것과 우리 사이에 드리운 익숙함이라는 이름의 장막에 있다. 습관은 우리의 감각을 무디게 하고, 석양의 아름다움부터 우리가 하는 노동과 사귀는 친구에 이르는 모든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한다.
아이들은 습관에 갇히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은 물웅덩이, 침대 위에서 뛰기, 모래, 갓 구운 빵 등 단순하지만 아주 중요한 것들에 흥분한다. 반면에 어른들은 부득불 나쁜 습관을 기른다. 그래서 명성이나 사랑 같은 점점 센 자극을 찾는 것이다.
이에 프루스트가 떠올린 묘책은 어린아이처럼 사물을 꿰뚫어보는 능력을 되찾는 것, 습관의 베일을 떨구는 것, 그럼으로써 전보다 감사 하는 새롭고 예민한 눈으로 일상을 바라보는 것이다.

7부 문학
마르셀 프루스트, 603p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철학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3. 스토아학파
4. 에피쿠로스
5. 아우구스티누스
6. 토마스 아퀴나스
7. 미셸 드 몽테뉴
8. 라 로슈푸코
9. 바뤼흐 스피노자
10.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11. 게오르그 헤겔
12. 프리드리히 니체
13. 마르틴 하이데거
14. 장 폴 사르트르
15. 알베르 카뮈

제2부 정치 이론
1. 니콜로 마키아벨리
2. 토머스 홉스
3. 장 자크 루소
4. 애덤 스미스
5. 칼 마르크스
6. 존 러스킨
7. 헨리 데이비드 소로
8. 매슈 아널드
9. 윌리엄 모리스
10. 존 롤스

제3부 동양철학
1. 부처
2. 노자
3. 공자
4. 센리큐
5. 마츠오 바쇼

제4부 사회학
1. 성 베네딕트
2. 알렉시스 드 토크빌
3. 막스 베버
4. 에밀 뒤르켕
5. 마거릿 미드
6. 테오도어 비젠그룬트 아도르노
7. 레이첼 카슨

제5부 정신의학
1. 지그문트 프로이트
2. 안나 프로이트
3. 멜라니 클라인
4. 도널드 위니코트
5. 존 볼비

제6부 미학과 건축
1. 안드레아 팔라디오
2.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3.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
4. 앙리 마티스
5. 에드워드 호퍼
6. 오스카르 니에메예르
7. 루이스 칸
8. 코코 샤넬
9. 제인 제이콥스
10. 사이 톰블리
11. 앤디 워홀
12. 디터 람스
13. 크리스토와 장클로드

제7부 문학
1. 제인 오스틴
2. 요한 볼프강 폰 괴테
3. 레프 톨스토이
4. 마르셀 프루스트
5. 버지니아 울프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