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함께 만드는 학교 공간 이야기 (아이, 교사, 학무도의 공동체참여설계로 만든 광주북초 건축 기록)
함께 만드는 학교 공간 이야기 (아이, 교사, 학무도의 공동체참여설계로 만든 광주북초 건축 기록)
저자 : 고은석
출판사 : 북트리
출판년 : 2020
ISBN : 9791164670529

책소개

아이, 교사, 학부모의 공동체참여설계로 만든 광주북초 건축 기록. 이 책은 아이, 교사, 학부모가 참여한 공동체참여설계로 재건축을 하게된 광주북초등학교의 이야기이다. 설계를 시작하기 전 학교의 모습과 이야기부터 설계 과정에서 발생한 많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함께 만들어가는 광주북초등학교 학교 공간의 모든 것



아름다운 풍관, 작지만 뛰어놀 수 있는 숲과 숲속 놀이터, 씨를 뿌리고 잎이 나고 꽃이 피는 모습을 늘 관찰할 수 있는 텃밭, 아지트와 비밀 공간의 이야기가 가득한 대나무 숲, 1학년짜리도 올라가기를 도전해 볼 수 있게 낮은 가지를 드리운 배롱나무. 이 모든 자연이 학교 안에 있어 교실 밖으로 나가기만 하면 만날 수 있는 곳, 바로 광주북초등학교이다. 광주광역시와 담양 경계에 있는 이 학교는 논과 밭으로 둘러싸여 있는 작은 학교이다. 이 작은 학교에 2016년 증, 개축을 위한 위원회가 결성되면서 이 이야기가 시작된다. 단순히 학교 증, 개축을 위한 작업이 아닌 아이들을 위해 학교 공간을 어떻게 구성할 것이고 만들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아이, 교사, 학부모가 끊임없이 해나갔고 그 과정에서 많은 어려운 과정을 겪게 되었다. 서로의 생각과 주장이 부딪히고 예산과 관련해서 교육청과 부딪히면서 다양한 생각들이 섞여 지금의 학교를 만들어 가게 되었따.



이 책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자세히 담고 있다. 아이, 교사, 학부모가 직접 설계에 참여하여 고민하였기에 왜 이러한 공간을 꾸미게 되었고 어떠한 가치를 담고 있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원고에 담을 수 있었다.



부디 많은 독자분들께서 이 책을 통해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과 그 공간에 대한 의미를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광주북초 이야기

01 작고 아름다운 숲을 품고 있는 학교

02 작은 학교 교육과정

03 작은 학교 학부모



2. 공동체 참여설계의 어려움

01 학교는 원래 그렇게 지어진다

02 완벽한 동상이몽

에피소드 1 자세히 보면 이상한 나라의 교육청

에피소드 2 끝나지 않은 이야기... 본관 리모델링-‘미치겠네’ 0

03 사람을 만나다

04 움직여라 광주교육0

에피소드 3 “그깟 마스터플랜 5일이면 나도 하겠네!”



3. 공동체 참여설계를 위한 워크숍

01 학생, 상상하다

02 교사, 상상하다

에피소드 4 “저기에 왕버들 나무가 있다고?”

03 학부모 상상하다

에피소드 5 내가 이 학교에 아이를 보내는 이유는...

에피소드 6 한 발 물러 학교 바라보기



4. 공동체 참여설계를 통해 고민한 교육

01 학교에도 안식년이 필요하다

02 생태교육과정을 논하다

03 바람



5. 공동체 참여설계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01 남향 VS 서향 _학교의 위치와 배치

02 필로티와 외부계단 _아이들의 이동동선

03 배구 좋아하세요 _강당크기에 대한 생각

04 삶의 공간, 교실

05 다락방이 있는 도서관

06 급식실이 아닌 식당을 만들자

07 공유공간 _까페테리아

08 교사의 새로운 공간

09 또 다른 구성원, 나무

에피소드 7 벽돌대첩



마치며 _여전히 학교만 남는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