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상실을 이겨내는 기술 (TED 치유심리학 | 사랑의 실패와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하여)
상실을 이겨내는 기술 (TED 치유심리학 | 사랑의 실패와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하여)
저자 : 가이 윈치
출판사 : 생각정거장
출판년 : 2020
ISBN : 9791164841417

책소개

“유난히 외로운 슬픔,
사랑의 실패와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하여”
24개국 출간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치유심리학자
가이 윈치의 마음 진단과 회복법
이별이 남긴 슬픔의 꼬리는 왜 이다지도 긴가?

세상의 슬픔은 두 부류로 나뉜다. 경조사 휴가를 쓸 수 있는 슬픔과 그렇지 않은 슬픔. 경조사 휴가를 쓸 수 있는 슬픔은 이혼이나 사별처럼 공식 명칭이 붙은 부류다. 이 슬픔의 당사자들은 마땅히 주변 사람들에게 공감과 연민을 얻고, 사회의 제도적 지원을 받는다. 그러나 이 책은 이처럼 공식적 애도가 허락되지 않은 슬픔을 겪는 사람들. 사랑에 실패한 사람과 반려동물을 잃은 사람의 마음에 주목한다. 이 슬픔의 당사자들이 유독 외롭기 때문이다. 슬픔을 극복하는 데 있어 타인의 인정과 지지는 절대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고통은 종종 타인과 사회로부터 경시된다. 연인과 헤어지거나 키우던 고양이가 죽는 일은 이혼이나 가족의 사별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슬픔은 우리 몸과 뇌를 휘청이게 하고, 그 감정에 중독되게 한다. 사랑의 슬픔에 중독된 사람은 여느 중독자와 마찬가지로 충동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마음 습관을 반복한다. 그리곤 ‘이 마음엔 약도 없지’ 생각한다. 그러나 중독에서 벗어나 마음 건강을 회복할 방법은 분명 존재한다. 이 책에는 세 사람이 등장한다. 짧고 강렬했던 연인과의 이별 후 슬픔에 무너진 캐시. 15년을 함께 한 반려견의 죽음으로 버팀목을 잃어버린 외로운 벤. 거절이 두려워 마음의 빗장을 닫아건 자신감이 부족한 로렌. 이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슬픔에 잠식당한 마음을 다각도로 진단하고 치유법을 알아본다. 이제 상실의 슬픔이 드리운 그늘을 걷어내고 마음을 보송보송하게 말릴 시간이다. 그러면 당신은 다시 사랑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4개국 출간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치유심리학자

가이 윈치의 마음 진단과 회복법



“이제 상실의 슬픔이 드리운 그늘을 걷어내고

마음을 보송보송하게 말릴 시간이다”



“유난히 외로운 슬픔,

사랑의 실패와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하여”



24개국 출간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치유심리학자

가이 윈치의 마음 진단과 회복법



이별이 남긴 슬픔의 꼬리는 왜 이다지도 긴가?



세상의 슬픔은 두 부류로 나뉜다. 경조사 휴가를 쓸 수 있는 슬픔과 그렇지 않은 슬픔. 경조사 휴가를 쓸 수 있는 슬픔은 이혼이나 사별처럼 공식 명칭이 붙은 부류다. 이 슬픔의 당사자들은 마땅히 주변 사람들에게 공감과 연민을 얻고, 사회의 제도적 지원을 받는다.

그러나 이 책은 이처럼 공식적 애도가 허락되지 않은 슬픔을 겪는 사람들. 사랑에 실패한 사람과 반려동물을 잃은 사람의 마음에 주목한다. 이 슬픔의 당사자들이 유독 외롭기 때문이다. 슬픔을 극복하는 데 있어 타인의 인정과 지지는 절대적이다. 그러나 이들의 고통은 종종 타인과 사회로부터 경시된다. 연인과 헤어지거나 키우던 고양이가 죽는 일은 이혼이나 가족의 사별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슬픔은 우리 몸과 뇌를 휘청이게 하고, 그 감정에 중독되게 한다. 사랑의 슬픔에 중독된 사람은 여느 중독자와 마찬가지로 충동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마음 습관을 반복한다. 그리곤 ‘이 마음엔 약도 없지’ 생각한다. 그러나 중독에서 벗어나 마음 건강을 회복할 방법은 분명 존재한다.

이 책에는 세 사람이 등장한다. 짧고 강렬했던 연인과의 이별 후 슬픔에 무너진 캐시. 15년을 함께 한 반려견의 죽음으로 버팀목을 잃어버린 외로운 벤. 거절이 두려워 마음의 빗장을 닫아건 자신감이 부족한 로렌. 이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슬픔에 잠식당한 마음을 다각도로 진단하고 치유법을 알아본다. 이제 상실의 슬픔이 드리운 그늘을 걷어내고 마음을 보송보송하게 말릴 시간이다. 그러면 당신은 다시 사랑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고 싶어요. 그렇지만 자신이 없어요.”

어쩌면 당신은 슬픔에 중독되었을 수 있다. 당신의 상태가 아래와 같은지 점검해 볼 것.



- 헤어진 이유를 잘 이해할 수 없어서 지난날을 복기해보게 된다. (○ , X)

- 새로운 사람(반려동물)을 만나기엔 너무 이른 것 같은 죄책감이 있다. (○ , X)

- 그 사람(반려동물)이 아니면 채울 수 없는 공백이 내게 남았다. (○ , X)

- 헤어진 지(혹은 반려동물이 떠난 지) 꽤 지났건만, 아직도 냉장고나 침대 옆 벽에 함께 찍은 사진이 붙어있다.

- 이미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있고 미련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 사람 SNS를 종종 확인하게 된다. (○ , X)

- 아침에 일어나 냉장고에 우유가 없어 눈물이 터지거나, 비 오는 날 우산이 없다는 걸 알고 소리를 지르고 싶은 적이 있다. (사소한 일에 급격한 감정 변화를 경험한다.) (○ , X)



이별이 남긴 슬픔의 꼬리는 왜 이다지도 긴가?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한 번쯤 낭만적인 사랑을 하고 상실을 겪는다. 반드시 연인과의 사랑이 아니어도 우리는 사랑의 시작과 끝을 반복하며 살아간다. 이별이 이토록 흔한 이벤트라는 걸 생각하면, 우리가 그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데 이토록 서툴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이 책은 각자 다른 상실을 겪은 세 사람의 이야기가 책의 중심이 된다. 6개월간의 연애 실패 후 실연의 슬픔에 중독된 캐시, 15년을 함께 한 반려견의 죽음 후 삶의 버팀목을 잃어버린 외로운 사람, 벤. 짧고 가벼운 관계가 남긴 깊은 상처로 마음의 빗장을 닫아건 자신감이 부족한 의대생 로렌.

슬픔에 잠식당한 이들은 슬픔을 멈출 방법을 모른다. 따라서 자신도 모르는 새 건강하지 못한 마음 습관을 반복하고, 스스로 아픈 상처를 계속 건드려 새살이 돋지 못하게 만든다.



이별의 상처가 과중할 때 우리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이것이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마음속으로 반복해서 되짚어 보고, 그 생각을 모두 밖으로 내뱉는다. 예컨대 이런 질문을 끊임없이 되뇌는 것이다. “그의 마음을 떠나게 한 내 행동은 어떤 것이었을까?”, “뭐가 문제였을까?”, “그는 왜 내게 거짓말을 했을까?”, “왜 그가 나를 더 사랑하지 않았을까?” 이런 반복적이고 폐쇄적인 사유는 새로운 통찰은커녕, 이미 가지고 있는 분별력마저 마비시킨다.

- 본문 중에서



종종 사람들은 마음의 고통이 끝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도 고통을 악화시키는 생각과 행동으로 삶을 가득 채운다. 무시당하고 거절당하고 버려진 느낌이 들 때조차 그 감정의 원인을 제공한 상대를 이상화하기도 한다. 저자는 자신도 모르게 슬픔의 폐쇄회로에 갇힌 당신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응급 치유법을 가르쳐준다. 그 시작은 슬픔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사랑의 슬픔에 중독되는 사람들 _슬픔에 휘청이는 뇌와 몸

슬픔은 상실의 대상이 사랑하던 사람이건, 함께했던 반려동물이건 슬픔을 덜어내고 마음을 회복하려면 우리는 슬픔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야 한다. 마음의 슬픔이 몸과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별 후 우리가 하는 충동적 행동과 건강하지 못한 습관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은 회복을 위한 첫걸음이다. 사람들은 상처가 너무 크면 자기비판의 늪에 빠져 자신감을 잃기도 하고, 슬픔에 중독되기도 한다.

이별이 남긴 슬픔에서 너무 오랫동안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면, 어쩌면 당신도 슬픔에 중독되었을 수 있다. 사랑은 중독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열렬한 사랑을 하다가 이별을 겪은 사람의 뇌는 코카인이나 헤로인 금단현상을 겪고 있는 중독자들의 뇌와 매우 유사한 반응을 보인다. 슬픔에 중독된 사람들은 상대(마약)에게 열렬히 빠져 강한 열망을 느낀다. 상대를 향한 감정을 잊어버리거나 무시하거나 조절하기는 매우 어렵다. 사랑하는 상대를 만나지 못하면(마약을 못하면) 다른 일에 집중할 수 없고 불면증과 식욕부진에 시달리며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다. 마약 중독자들은 마약 외에는 그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강렬한 결핍감을 느끼는 데 이별한 사람들 또한 비슷한 결핍(외로움)을 느낀다.



슬픔의 폐쇄회로를 벗어나는 유용한 방법들

더는 지나간 존재를 생각하지 않는 것, 정말로 이별하는 것은 왜 이렇게 힘든가?



‘놓아주는 일’은 말처럼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정서적 고통 외에도 놓아야 할 것들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우리는 희망을 놓아야 하고, 실수를 바로잡아 현재를 과거로 돌려 놓으려는 환상을 버려야 하고, 문득 떠오르는 과거 연인이나 반려동물이 곁에 존재한다는 느낌도 버려야 한다. 정말로 이별을 고해야 한다. 우리의 사랑을, 그 사랑을 받을 존재가 사라졌음에도 남아 있는 우리의 사랑을 쫓아버려야 한다. 그리고 이제는 우리의 일부가 되어버린 슬픔도 놓아주어야 한다.

-4장 마음 백혈구 작동시키기 중에서



그렇다, 버릴 게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제까지 상처를 파고들 수는 없다. 우리는 새로운 사랑을 시작해야 하고,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두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저자는 이를 위해 스스로 마음을 정리할 유용한 방법을 설명한다. 자기비판을 멈추고 자기자비를 습관화하는 방법, 이별의 끝맺음을 확실히 하는 방법, 사랑이 지나간 빈 곳을 채우는 방법 등 힐링의 시작을 도와줄 다정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상실의 고통은 젊은 베르테르만의 것일까?

1 슬픔을 인정받지 못하는 사람의 슬픔 : 실연과 반려동물의 죽음

2 사랑의 슬픔에 중독되는 사람들 : 슬픔에 휘청이는 뇌와 몸

3 슬픔의 폐쇄회로에서 벗어나는 유용한 방법들 : 고통의 무한엔진 끄기

4 마음 백혈구 작동시키기 : 치유는 내 마음으로부터



에필로그 기억할 것, 슬픔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