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녹차, 다산에게 묻다 (한국 전통제다, 차, 차문화의 참모습 찾기)
녹차, 다산에게 묻다 (한국 전통제다, 차, 차문화의 참모습 찾기)
저자 : 최성민^김은정
출판사 : 책과나무
출판년 : 2023
ISBN : 9791167524065

책소개

왜 차를 마시며, 어떤 차를 마셔야 할까? 좋은 차가 있어야 수준 높은 차생활과 차문화가 영위될 수 있고 차소비가 확대된다. 좋은 차는 제다에서 결정된다. 이 책은 한국 전통차문화가 발아·개화한 조선 시대 차의 선각자 다산 정약용의 차론을 세밀히 분석하여 전통제다와 다도의 정체성을 밝혀내고, 한국 차농과 차산업 부흥을 위한 학문적·문화적 열쇠로 제시한 것이다. 한국 전통제다·차·차문화의 참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다산차를 묻어 버린 한국 차계의 무지와 음모, 그 주역들에 대해서도 파헤쳐 보고 다산의 제다·차·차정신 등 한국 전통차문화의 원형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다산의 구증구포·삼증삼쇄 증배제다법을 살펴보고, 진정한 한국 차의 정신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가져 보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 차와 차문화 부활의 답을 다산에게서 찾다!
한국 전통제다로 차계·차학계에 경종을 울리는 책”

좋은 차가 있어야 수준 높은 차생활과 차문화가 영위될 수 있고 차소비가 확대되는데, 좋은 차는 제다에서 결정된다. 그것이 바로 다산의 제다법을 정확히 알고 재현해 내야 할 이유이다. 저자는 20여 년 동안 다산이 지냈던 강진 다산과 같은 100% 순수 야생다원인 산절로야생다원을 복원하여 전통 차문화 복원운동을 해 왔던 산절로야생다원과 (사)남도정통제다 · 다도보존연구소의 운영자로서, 이 책을 통해 전통제다의 정통인 다산제다와 다산차를 실현해 보인다.

『녹차, 다산에게 묻다』는 ‘한국 전통제다·차·차문화의 참모습 찾기’라는 부제가 보여 주듯이 한국 차와 차문화 부활의 답을 조선 시대 차의 선각자 다산 정약용의 구증구포·삼증삼쇄 증배제다법과 그의 차정신에서 찾는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전통차문화가 발아·개화한 조선 시대 차의 선각자 다산 정약용의 차론을 세밀히 분석하여 전통제다와 다도의 정체성을 밝혀낸다. 다산은 강진 다산에서 구증구포 녹차로서의 단차(團茶), 배쇄(焙曬) 곡우 입차, 삼증삼쇄 고급 연고(硏膏) 녹차 제다 등 독창적이고 다양한 제다법을 통해 녹차 제다를 일관하고, ‘다신계(茶信契)’ 결성을 통해 제자들로 하여금 ‘행사적 수양다도(行事的 修養茶道)’를 실천하게 하였다.

이렇듯 다산의 전통제다·차·차문화의 참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왜 차를 마시며 어떤 차를 마셔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하며 한국 차농과 차산업 부흥을 위한 학문적·문화적 열쇠로 제시한다. 이것이 커피식민주의·보이차사대주의에 밀려나 있는 한국 전통제다와 차문화, 그 본원적 돌파구를 찾는 길이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오늘날 한국 전통 차인 녹차와 녹차 제다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 차농과 차산업이 침체에 빠진 원인을, 현재 한국 차학계와 차계의 무지함과 사리사욕 명리 추구에 목맨 차명망가들의 비리에서 찾는다. 다산차를 묻어 버린 한국 차계의 무지와 음모, 그 주역들에 대해서도 파헤쳐 보고 다산의 제다·차·차정신 등 한국 전통차문화의 원형을 제시한다. 다산 정약용의 차론을 세밀히 분석하여 전통제다와 다도의 정체성을 밝혀내고, 한국 차농과 차산업 부흥을 위한 학문적·문화적 열쇠로 제시한 이 책을 통해 한국 차의 우수성과 차정신이란 과연 무엇인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 다산차를 묻어 버린 한국 차계도 반성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커피식민주의·보이차사대주의에 밀려나 있는 한국 전통제다와 차문화, 그 본원적 돌파구를 찾다

녹차, 다산에게 묻다!
한국 전통제다·전통차문화 복원운동 온상 산절로야생다원
6대 차류 분류의 의미와 녹차의 중요성
정통의 계승이 진정한 전통이다

Ⅰ 전통제다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의의
Ⅱ ‌전통제다의 원형, 다산제다의 정체성 연구
Ⅲ 다산의 차정신과 한국전통제다·한국수양다도의 연계성
Ⅳ 다산제다 및 다산차 전승 과정의 오해와 왜곡
Ⅴ 다산차의 종류 및 특성과 전승
Ⅵ 한국 차학과 차문화 혁신을 위한 비판과 제언

에필로그 물아일체의 푸르름, 차밭은 구원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