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업컨설팅의 이해와 적용
수업컨설팅의 이해와 적용
저자 : 정석기^조미희
출판사 : 박영스토리
출판년 : 2015
ISBN : 9791185754239

책소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에 대해 관련 이론을 살펴보고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컨설팅에 적용한 생생한 사례를 통해 독자들이 수업컨설팅을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이 책은 교사의 수업개선과 향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모두 5장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사는 수업으로 말한다?’

교사가 학생들을 아무리 잘 가르친다고 해도 수업을 잘하지 못하면 누구에게 인정을 받겠는가? 수업을 잘하는 것은 모든 교사의 희망이지만 절대로 그냥 되는 것이 아니다. ‘교사는 수업으로 말한다.’라는 말처럼 교사는 수업을 잘해야 전문직으로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른 것을 아무리 잘 해도 수업을 못하면 교사로서 능력을 인정받기가 어렵다. 교사가 수업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경력만 쌓인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연구와 단련이 뒤따라야 한다. 이때 스스로 연구하고 단련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자기보다 수업에 더 전문가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자문과 지도를 받는 것이 훨씬 쉽고 효과가 클 것이다. 이렇게 자기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전문 컨설턴트에게 자문과 체계적인 조언을 받는 과정이 수업컨설팅이다.

자기의 수업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공개하는 분위기가 성숙되지 못한 우리의 교직 풍토에서 수업기술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개선하려는 의지가 있는 교사들에게 단순한 장학이나 연수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수업컨설팅을 지원해준다면 학교 내 컨설팅 문화를 조성하여 공개수업에서 오는 부담감을 줄이고 수업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에 대해 관련 이론을 살펴보고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컨설팅에 적용한 생생한 사례를 통해 독자들이 수업컨설팅을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길잡이가 되도록 하였다.

이 책은 교사의 수업개선과 향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현장에 적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모두 5장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제1장은 ‘수업컨설팅의 기초’로서 컨설팅의 개념, 학교컨설팅·장학·컨설팅 장학의 의미, 수업컨설팅의 의의와 원리 그리고 컨설턴트의 선정에 관해서 썼다. 제2장은 수업컨설팅의 토대가 되는 수업컨설팅 관련 제 모형들을 탐색하고 수업컨설팅 일반모형(PDIEF 모형)과 예비교사 수업컨설팅 모형(PDDRE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3장은 ‘수업컨설팅의 절차와 방법’으로서 일반 수업컨설팅의 절차를 계획 단계, 진단 단계, 실행 단계, 평가 단계, 환류 단계의 다섯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예비교사 수업컨설팅 절차를 계획 단계, 자료수집 단계, 진단 단계, 반성적 실행 단계, 평가 단계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제4장은 ‘수업컨설팅의 실제’로서 국어과 수업컨설팅 사례와 사회과 예비교사 수업컨설팅 사례, 그리고 지원기관의 수업컨설팅 사례를 소개하였다. 제5장은 ‘수업컨설팅 활성화 과제’로서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현직 교사와 예비교사의 컨설팅 후기, 수업컨설팅의 효과, 수업컨설팅 활성화 과제에 관해서 썼다.

최근 일선 학교현장에서 장학의 대안으로 컨설팅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수업컨설팅은 큰 관심사이다. 그래서 수업을 잘해보고자 하는 교사들이 매우 궁금해 하는 수업컨설팅을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하던 차에 수업컨설팅의 기본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여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5개 교과를 중심으로 금학년도에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로 전입해온 신임교사 5명과 예비교사(교육실습생) 5명을 대상으로 본교 선생님이 컨설턴트가 되어 수업컨설팅을 실시하였다. 그 가운데 국어과와 사회과의 수업컨설팅 사례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실로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먼저 실제 수업컨설팅에 참여했던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과의 신임교사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실시 한 컨설턴트선생님과 5개 교과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실시 한 컨설턴트선생님, 특히 컨설턴트로 참여하여 컨설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업컨설팅 사례로 제공해준 국어과 김현화 선생님과 사회과 김운곤 선생님, 그리고 의뢰교사로 컨설팅에 참여한 후 후기로 소감을 써주신 국어과 진지숙 선생님과 사범대학 임고운 교생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또 수업컨설팅 PPT 모형도 작성과 원고 교정에 도움을 준 서상원 선생님을 비롯하여 컨설팅을 실행하고 정리하여 책을 쓰는데 도움을 준 여러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맡아주시고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박영스토리의 안상준사장님과 노현부장님, 그리고 편집을 맡아주신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CHAPTER Ⅰ 수업컨설팅의 기초

1. 수업컨설팅의 개념

2. 학교컨설팅ㆍ장학ㆍ컨설팅 장학

3. 수업컨설팅의 의의

4. 컨설턴트의 선정



CHAPTER Ⅱ 수업컨설팅의 모형

1. 수업컨설팅 관련 제 모형 탐색

2. 수업컨설팅 일반모형

3. 예비교사 수업컨설팅 모형



CHAPTER Ⅲ 수업컨설팅의절차와 방법

1. 일반 수업컨설팅 절차

2. 예비교사 수업컨설팅 절차

3. 교과 수업컨설팅 절차



CHAPTER Ⅳ 수업컨설팅의 실제

1. 단위학교의 수업컨설팅 사례

2. 예비교사의 수업컨설팅 사례

3. 지원기관의 수업컨설팅 사례



CHAPTER Ⅴ 수업컨설팅 활성화 과제

1. 수업컨설팅의 참여 후기

2. 수업컨설팅의 효과

3. 수업컨설팅 활성화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