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
저자 : 신옥수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15
ISBN : 9791186409251

책소개

국내에 몰트만 신학을 소개하고 논문을 꾸준히 발표해온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옥수 교수의 첫 번째 저술. 몰트만의 폭넓은 조직신학적 지평 전반을 꿰뚫는 구조적 특징으로서 만유재신론적 비전을 포착하고 이를 그의 신학 전체를 이해하는 해석학적 열쇠로 삼아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현대 조직신학 논의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놓인 주제들에 관해 몰트만의 사상과 그에 대한 비판적 대화를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보다 균형 있는 신학적 입장을 보여주고자 한다. 교회의 정체성에 대해 전대미문의 위기를 몰고 오는 현대적 상황에 맞서 교회와 신학의 사회정치적 책임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현실적 이슈들과 개방적으로 대화했던 몰트만의 작업은, 윤리적.공적 기능을 상실하고 개인의 소유물로 전락한 한국교회의 오늘에 대한 분석과 내일을 위한 개혁 방향에 중요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는 국내에서 몰트만 신학을 깊이 있게 소개하고 창의적인 논문을 꾸준히 발표해온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옥수 교수의 첫 번째 저술이다.
저자는 몰트만의 폭넓은 조직신학적 지평 전반을 꿰뚫는 구조적 특징으로서 만유재신론적 비전(panentheistic vision)을 포착하고 이를 그의 신학 전체를 이해하는 해석학적 열쇠로 삼아 새로운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자원하는, 종말론적(trinitarian, voluntary, eschatological) 만유재신론의 비전을 신론, 삼위일체론, 창조론, 그리스도론, 성령론, 종말론 등 조직신학의 전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그의 작업이 전통적 신학에 창의적으로 기여하는 측면을 보여준다. 그뿐 아니라 현대 조직신학 논의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놓인 주제들 즉 “하나님의 고난가능성”, “하나님의 케노시스”, “사회적 삼위일체론”, “우주적 성령”, “우주적 종말론”, “만유구원론” 등에 관해 몰트만의 사상과 그에 대한 비판적 대화를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보다 균형 있는 신학적 입장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이 책에 소개된 몰트만의 신학이 한국교회에 기여하는 지점은 그의 교회론이다. 교회의 정체성에 대해 전대미문의 위기를 몰고 오는 현대적 상황에 맞서, 교회와 신학의 사회정치적 책임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현실적 이슈들과 개방적으로 대화했던 몰트만의 작업은, 윤리적·공적 기능을 상실하고 개인의 소유물로 전락한 한국교회의 오늘에 대한 분석과 내일을 위한 개혁 방향에 중요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도전에 성실하게 응답하는 동시에 종말론적 하나님나라를 위해 교회가 해야 할 역할을 고민하는 몰트만의 신학 사상과, 그것을 정리하고 해석해서 한국의 상황 안에 이식하는 저자의 기획이 한국교회와 신학에 양질의 자양분과 실천적 동력을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책속으로 추가]

몰트만의 교회론은 정체성과 현실관련성의 위기에 처한 현금 한국교회의 현실을 고려해볼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교회의 윤리적·공적 기능의 상실과 함께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영성의 사사화로 인해 세상으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반기독교적 분위기도 고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교회의 올바른 정체성과 사명에 대한 신학적 논의와 이에 기초한 올바른 실천이 절실하게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제9장의 연구에서는 몰트만의 교회론이 한국교회가 이런 비판과 도전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현실을 변혁하는 교회로 새롭게 거듭나며, 그리스도인들이 세상 안에서 세상을 섬기는 하나님나라의 주역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몰트만은 교회론에서 여러 중요한 통찰과 안목을 제공하고 있다. 즉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정체성에 대한 고뇌와, 종말론적 하나님나라 및 교회의 관련성에 대한 물음이다. 몰트만의 교회론에는 시대와 장소를 뛰어넘는 종말론적 교회의 긴장감이 스며들어 있다. 또한 몰트만은 위기의 시대에 수많은 도전을 받고 있는 교회의 새로운 방향 설정에 관한 물음에 직면하여 진지하게 응답하며 더 나아가 대안을 모색한다. 이는 오늘의 한국교회를 위해 요청되는 가장 필요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몰트만의 작업은 교회의 자기성찰과 개혁을 위한 중요한 자료와 전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가 새롭게 거듭나고 사역의 방향을 재정위(re-orientation)하며 자기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 (제9장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차례

머리말

제1장 몰트만 신학 방법론의 구조와 특성

제2장 몰트만의 신론

제3장 몰트만의 “하나님의 고난가능성” 이해

제4장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제5장 몰트만의 창조 이해에 나타난 “하나님의 케노시스

제6장 몰트만의 성령론

제7장 몰트만의 “우주적 성령”

제8장 몰트만의 구원론

제9장 몰트만의 교회론

제10장 몰트만의 우주적 종말론

제11장 몰트만 신학에 나타난 만유재신론적 비전

제12장 한국에서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