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NCS 기반 베이직 메이크업(Basic Makeup) (NCS기반 기초메이크업)
NCS 기반 베이직 메이크업(Basic Makeup) (NCS기반 기초메이크업)
저자 : 강정인
출판사 : 가담플러스(GadamPlus)
출판년 : 2017
ISBN : 9791186447161

책소개

『NCS 기반 기초메이크업(Basic Makeup)』은 메이크업아티스라면 갖추어야 할 기초 이론 지식과 실기 테크닉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둔 메이크업 입문서이다. 메이크업전문가가 되기 위해 메이크업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론과 실기의 기초적인 이해가 가장 중요한 영역이다. 이 책의 구성은 제1장에서는 메이크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메이크업 개요를 정리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메이크업의 기원, 서양과 한국의 메이크업의 역사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3장은 신체 색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개개인의 컬러 연출을 위한 퍼스널컬러에 대해 정리하였고, 제4장은 메이크업 실기테크닉의 기초로 부분별 메이크업 테크닉을 자세히 정리하였다. 제5장은 테마별 뷰티메이크업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내추럴 메이크업부터 트렌드 메이크업까지 기본적인 메이크업테크닉을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류 역사의 시작과 함께 미에 대한 관심을 시작되었고, 인류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미용 산업은 커다란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매스미디어(mass media)의 발달과 함께 현대인들의 생활에서 메이크업은 필수적인 요소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는 중요한 표현수단이며, 외적인 이미지 관리의 필요한 도구이기도 하다.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s)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메이크업에 대한 정보와 테크닉 등을 공유하게 되고, 획일화된 가치에서 서로 다른 개성이 인정되는 복합적인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로 변화되면서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메이크업 전문가로 입문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메이크업전문가가 되기 위해 메이크업을 배우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론과 실기의 기초적인 이해가 가장 중요한 영역이다. 이 책은 메이크업아티스라면 갖추어야 할 기초 이론 지식과 실기 테크닉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메이크업 입문서로서 개발하였다.

본 책의 구성은 제1장에서는 메이크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메이크업 개요를 정리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메이크업의 기원, 서양과 한국의 메이크업의 역사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3장은 신체 색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개개인의 컬러 연출을 위한 퍼스널컬러에 대해 정리하였고, 제4장은 메이크업 실기테크닉의 기초로 부분별 메이크업 테크닉을 자세히 정리하였다. 제5장은 테마별 뷰티메이크업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내추럴 메이크업부터 트렌드 메이크업까지 기본적인 메이크업테크닉을 정리하였다.

이 책을 통해서 메이크업의 기초지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메이크업전문가가 되기 위한 학생들에게 나름 지침서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더 보완해야 할 점을 찾아 완성도 높은 교육 자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메이크업의 개요

1. 메이크업의 정의 및 분류

1) Make-up이란?

2) Make-up과 같은 표현

3) 메이크업의 분류

2. 메이크업의 목적

3. 메이크업의 기능 및 조건

1) 메이크업의 기능

2) 메이크업의 조건

4. 메이크업의 구성요소

1) 색상

2) 선

3) 질감

4) 조명

5. 메이크업의 도구

1) 스펀지

2) 파우더 퍼프

3) 브러시

4) 기타 도구



Ⅱ. 메이크업의 역사

1. 메이크업의 기원

1) 신체보호설

2) 장식설

3) 이성유인설

4) 신분표시설

5) 종교설

2. 서양의 MAKE-UP 역사

1) 고대

2) 중세기

3) 르네상스

4) 엘리자베스시대

5) 바로크시대 (17C)

6) 로코코시대 (18C)

7) 근대 (19세기)

8) 현대

3. 한국미용의 역사

1) 고대의 미용

2) 삼국시대

3) 고려

4) 조선시대

5) 개화기-해방이전

6) 현대



Ⅲ. 퍼스널 컬러

1. 퍼스널컬러(personal color)란?

2. 컬러진단이란?

3. 퍼스널컬러진단의 필요성

4. 퍼스널컬러 진단

1) 피부색

2) 모발 색

3) 눈동자 색

4) 퍼스널 유형별 특징

5. 사계절 컬러 이미지 메이크업

1) 봄 (Spring)

2) 여름 (Summer)

3) 가을 (Autumn)

4) 겨울 (Winter)

Ⅳ. 기초메이크업

1. 베이스 메이크업 (Base Make -up)

1) 메이크업 베이스

2) 프라이머 (Primer)

3) 파운데이션 (Foundation)

4) 컨실러 (Concealer)

5) 파우더 (Powder)

6) 얼굴형에 따른 베이스메이크업

2. 아이브로우 (Eye Brow)

3. Eye Make-up

1) 아이섀도우 (Eye Shadow)

2) 아이라이너 (Eye Liner)

3) 마스카라 (Mascara)

4) 인조 속눈썹 (False Eyelashes)

4. Cheek Make-up

5. Lip Make-up

Ⅴ. 메이크업 디자인

1. Natural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2. Spring Make-up

1) Image

2) Color

3) Base Make-up

4) Point Make-up

5) Finish Make-up

3. Summer Make-up

1) Image

2) Color?

3) 질감

4) Base Make-up

5) Point Make-up

6) Finish Make-up

4. Autumn Make-up

1) Image

2) Color

3) 질감

4) Base Make-up

5) Point Make-up

6) Finish Make-up

5. Winter Make-up

1) Image

2) Color

3) 질감

4) Base Make-up

5) Point Make-up

6) Finish Make-up

6. 한복 메이크업 (Hanbok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7. 웨딩메이크업 (Wedding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8. 스모키메이크업 (Smoky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9. 에스닉 메이크업 (Ethnic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10. 윤광 메이크업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11. 물광 메이크업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12. 페일 메이크업 (Pale Make-up)

1) Base Make-up

2) Point Make-up

3) Finish Make-up



Ⅵ. NCS 기반 메이크업

1. 직무개요

1) 직무의 정의

2) 능력단위별 능력단위 요소

2. 능력단위별 세부내용

3. 평가계획

1) 진단평가

2) 직무능력평가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