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학가라는 병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엘리트들의 체제 순응과 남성 동맹)
문학가라는 병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엘리트들의 체제 순응과 남성 동맹)
저자 : 다카다 리에코
출판사 : 이마
출판년 : 2017
ISBN : 9791186940433

책소개

문학청년, 남성 이류 엘리트의 초상

일본의 제국주의적 근대화는 서구의 사상과 제도, 서적의 적극적인 수용에 의해 이루어졌고 문학도 예외가 아니다. 이 책은 특히 일본 근대화와 긴밀하게 연관된 독일 문학의 수용이 전시 체제 일본에서 한 역할과 이를 주도한 문학 엘리트들(주로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출신)을 살펴본다. 이들은 입신출세의 관문인 법학부 등으로 진학하지 않고 문학을 택했음에도, 지식인?문인으로서의 체제 저항이나 전쟁 반대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나치즘을 찬양하여 일본의 군국주의화를 떠받친다. 저자는 이들 ‘이류’ 지식인의 출세욕과 순응주의, 여성 혐오와 남성 동맹 등이 그 바탕에 있었음을 예리하게 지적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이류 문학청년의 탄생
우리에게도 문학(인)의 체제 영합이나 국가의 통제, 과거사 청산 등은 지금까지도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지만 ‘전범 국가’ 일본에서 이는 더 복잡한 문제이며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의 국가주의와 맞물려 더욱 해결이 어려운 문제다. 근대 일본의 학교 서사나 전쟁 서사 속에 드러난 엘리트 남성들의 문제를 파헤쳐 온 독일 문학자이자 문학 평론가인 다카다 리에코의 『문학가라는 병-도쿄제국대학 문학부 엘리트들의 체제 순응과 남성 동맹』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전시 체제 아래 일본 문학 엘리트들의 전쟁 협력 문제나 근대화 이후 외국 문학(특히 독일 문학) 수용이 일본의 제국주의화에 미친 영향에 그치지 않고, 그 주역인 남성 엘리트 문화인들과 그들의 활동 배경인 대학(주로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매체, 관변단체 등에 두루 나타나는 ‘이류’의 정신성과 남성 동맹(homosociality), 여성 혐오(misogyny) 등을 분석한다. 세속의 기준으로는 일류 엘리트 지식인이지만 입신출세의 길과 무관한 ‘문학’을 택했고, 제도(학교 등. 이 책에서는 ‘문학부’로 상징된다)에 편입되지 못함/않음으로써 ‘문학’의 편에 서서 열심히 일한다는 자기 특권화가 어떻게 ‘이류’ 문학인을 탄생시켰는지, 또 순수한 문학청년을 표방하던 그들이 왜 전시 체제에 영합하는 모순을 낳았는지를 파헤친다.

◈ 헤르만 헤세의 소개자, 대정익찬회 문화부장이 되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은 다카하시 겐지(高橋健二, 1902~1998)라는 인물이다.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독문과 출신으로 구제고등학교(?制高等學校) 독일어 교사를 지냈고, 일본에서 ‘청춘의 책’으로 특권적 지위를 차지한 『수레바퀴 아래서』를 번역한 “헤세와 가장 친한 일본의 벗”이자 “가장 성실한 소개자”, 반전을 주장해 국적을 스위스로 바꾼 평화주의자 헤세를 찬양하고 같은 시기에 히틀러를 찬양한 인물. 문학부에 저항하여 문학 편에 서는 것을 택했다고 자기 규정하면서도 대정익찬회(大政翼??) 문화부장을 지낸 인물. 저자는 이 인물에게 나타나는 모순(으로 보이는 단층)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신이나 변절이 아니라 두 가지 상반된 역할을 동시에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라고 말한다. 그렇기에 다카하시 겐지는 전시 체제에서 헤세와 히틀러를 동시에 찬양하고 패전 후에는 헤세의 소개자로 아무렇지 않게 복귀할 수 있었다.
그는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여 소개자로서의 역할을 받아들이고(소개의 대상은 중요하지 않다) 문학을 질식시키는 공간인 ‘문학부’에서 멀리 떠나 ‘문학’ 편에 선 (자칭) 아웃사이더다. 다카하시 겐지를 비롯하여 그와 유사한 행로를 보인 당시 ‘문학청년’들 다수는 독일어를 비롯한 독일적인 것이 근대화에 도구적으로 활용되고 장려된 시기에 문학부를 다니고 졸업 후 구제고교 독일어 교사로 취직한다. 그들은 제도화된 문학부에도 저항하고 교사라는 소시민적 안정성에도 저항하면서, 즉 ‘문학’을 선택하여, 당시 일본 사회의 교양주의와 독서 대중화의 바람을 타고 아카데미즘 바깥에서 독일 문학을 소개, 번역하고 문화인으로서 사회적인 발언을 한다는 자부심과 자기 특권적 의식을 가졌다. 그러나 한편으로 대중화의 결과 이들 문학가의 ‘이류화’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 영원한 문학청년을 꿈꾸다-전쟁 거부가 아니라 군대 혐오다
이 책의 5장 「증상의 예」에서는 『버마의 하프(ビルマの竪琴)』라는 전쟁소설과 전몰 학생들의 수기와 편지 모음집(『머나먼 산하에』, 『들어라 바다의 노래』)을 주로 다룬다. 이 책들은 전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전쟁의 비참함이나 죽음의 공포, 희생적인 죽음의 공허함을 말하지 않는다. 일본 군대의 드러나지 않는 억압과 무의미한 규율, 그리고 그것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고학력자들의 면면만이 부각될 뿐이며 젊고 ‘더러움을 모르는’ 고학력자들의 비애를 강조한다. 구제고등학교라는 공간, 즉 선택받은 장소에서 선택받은 자들만 누릴 수 있는 특권적인 남자 사이의 우정이 이상적으로 묘사되며, 똑같이 남성만으로 이루어진 ‘진공 지대’인 군대에서는 그 우정이 성립하지 않음을 한탄하는 것이다.
전몰 학생들의 수기와 편지 모음집은 1?2차 대전 시기 독일에서 나온 책들(다카하시 겐지 번역)을 모델로 삼았다. 독일판 책들이 전투의 비참함이나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고자 하는 젊은이의 노력과 갈등을 다루었음에도, 이를 수용하고 모방한 일본 문학자들은 군대와 상급 학교의 대립이라는 구도에서 전쟁 서사를 다루고 희생자를 위령하는 방식을 택한다.

◈ 헤르만 헤세를 여성의 손에서 구해 내라-구제고등학교의 여성 혐오와 남성 동맹
독일어권 지역을 제외하고 세계적으로 헤르만 헤세가 가장 널리 읽힌 곳이 바로 일본이다. 독일어의 비중이 높았던 구제고등학교에서 헤르만 헤세의 소설은 필독서로 여겨졌다. 저자는 학교를 무대로 하는 헤세의 작품들(『수레바퀴 아래서』, 『데미안』 등)을 다루면서 좌절과 번민, 반항과 갈등 안에서 ‘남자의 문제’가 지닌 특권이라는 시각에 주목한다. 소년은 어떻게 고뇌하면서 남자가 되는가(또는 남자가 되지 못하는가)라는 문제가 그것이다. 헤세 작품 자체에 내재된 남자들끼리의 관계 맺기와 여성 배제 또는 혐오(여성은 유혹적인 존재로 등장하고 아직 ‘남자’가 되지 못한 등장인물은 여성적인 속성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며 남성성을 지닌 인물에 의해 구제받고 각성한다)는 구제고등학교의 교양주의와 맞물려 널리 수용되었다.
일본에서 헤세 붐(주로 초기 작품)은 ‘소녀 취미’로 폄하되기도 했다. 대중과 여성이 독자층으로 유입되어 독서 시장의 질이 저하된 가운데, ‘문학소녀’들이 ‘남자의 문제’와 헤세의 교양주의에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 경우의 교양주의는 휴머니즘이나 인격의 도야 같은 것이 아니라 특권적인 남성에게만 허용된, 따라서 소녀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청춘의 이미지다. 이는 교양주의가 퇴락한 후에도 현대 일본의 소녀만화가 다루는 주제의 하나가 될 정도로 강력했다.

이 책에서 살펴본 이러한 문제들은 단지 일본에만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현재 한국의 문학계 나아가 지식인 사회에도 존재하는 남성 중심주의, 권력과의 유착 관계, 권력에 의한 문화 통제 등 최근 이슈들에도 생각할 거리를 준다. 이 책은 “체제를 향한 애매모호한 다가섬, 문화인의 그럴싸한 발언, 자신은 ‘문학’ 쪽에 서 있다는 착각, 남자로 태어나 훌륭한 ‘일’을 해보자는 결의”, “반대로 속세의 욕망을 내던진 삶을 보여 주려는 허영심”으로 분투한 남성들의 희비극이다. 또한 “문학부를 둘러싼 병 진료 기록”이라는 집필 취지와 장별 구성(자각 증상?병력?병의 원인?자기 진단?증상의 예?전염?합병증)이 보여 주듯, 이 책은 문학사이자 문학 비평서인 동시에 특권적 남성들의 관계에 주목하는 일종의 남성론이자 학교론이기도 하다.

[책속으로 추가]

“부하 때문에 고민하는 인텔리 소대장의 형상에는 전쟁 중과 전후에 일고의 간부로서 학내 행정 때문에 고심한 다케야마 미치오의 심경이 깊이 배어 있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정직한 고참병의 형상에는 또한 일고의 사무직원 모습이 반영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요컨대 『버마의 하프』에서 묘사한 것은 군대가 아니라 학교였다는 말이다. 그것은 분명 전쟁 이야기가 아니라 한 편의 아름다운 학교 이야기였다는 말이고, 교사와 학생 사이, 그리고 학생과 학생 사이(나아가 직원까지 포함해?)에서 빚어지는, 선택받은 남자들의 공동체가 지어내는 일고 이야기였다는 말이다. …군대는 고학력자의 특권 의식과 평등에 대한 애매모호한 동경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곳이었다. 물론 스스로를 희생으로 삼는 일 등을 대수롭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괴로운 갈등 속에서 그들은 단련을 받으면서 ‘사나이’가 되었고, 그렇게 되어야 했다. …이러한 자기희생의 정신을 ‘사나이답다’고 보는 시점은 『머나먼 산하에』도 『들어라 바다의 노래』에도 종종 등장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일본인 학도병에게서 느껴지는 바는 전쟁 거부라기보다는 군대 혐오인 것이다. _203?219쪽 「5장 증상의 예」

헤르만 헤세와 소녀의 조합은 대중과 여성의 진출에 의해 질이 떨어져 버린 교양주의적 독서를 상징한다. 하라다 요시토, 나카무라 신이치로, 사가라 모리오, 그들 ‘어른 남자’들은 한결같이 청춘과 교양주의적 독서의 안이함을 지적하고 있지만, 동시에 어쩌다가 교양주의 비판의 표적이 되어 버린 서글픈 헤르만 헤세를 구출해 내려고 했다.
헤르만 헤세를 여자의 손에서 구해 내라!
실제로 소녀들은 헤세의 초기 작품 안에서 빛나는 교양주의의 이미지를 찾아 헤맸을지도 모른다. 이 경우의 교양주의는 물론 휴머니즘이나 인격의 도야 같은 것이 아니라 특권적인 남성에게만 허용된, 따라서 소녀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청춘의 이미지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헤르만 헤세의 초기 작품은 학교(고등교육)와 남성(소년), 그리고 남자들의 관계를 묘사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헤르만 헤세는 1930년대 중반에 구제고등학교 에서 실시한 독서 설문 때 인기 작가 1위를 차지한 나쓰메 소세키와 매우 닮아 있다[이참에 곁들여 말하자면, 이는 소녀만화의 ‘역사적 명저’인 하기오 모토(萩尾望都)의 『토마의 심장(ト?マの心?)』(1974)과도 통한다].
일본의 교양주의에 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고 분석해 왔는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시각을 통해 새로운 조명이 가능해지지 않을까 한다. 즉, 철학과 문학을 수용하는 일본의 독특한 양상으로서 교양주의의 독특한 점을 한마디로 지적한다면, 작품 안에서 ‘남자의 문제’를 끄집어내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단순한 남성 찬가나 남성 중심주의가 아니다. 오히려 좌절과 번민, 반항과 갈등 안에서 ‘남자의 문제’가 지닌 특권을 발견하는 시선이다. 소년은 어떻게 고뇌하면서 남자가 되는가?(또는 남자가 되지 못하는가?). 이것은 실로 헤르만 헤세의 초기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이며, 아까 사가라 모리오 교수가 거론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나 『토니오 크뢰거』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것을 생각하면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의 유행까지도 교양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자의 문제’를 찾아내는 시선은 일본에 교양주의가 널리 퍼지기 시작하는 20세기 초의 시대적 변화, 말하자면 후쿠자와 유키치가 말한 입신출세주의의 붕괴, 니체주의의 유행, 화엄폭포에서 자살한 제일고등학교 학생 후지무라 미사오가 불러일으킨 파문 등과도 대응한다. 거꾸로 말하면 일본 교양주의의 종언이란 엘리트 청년이 ‘남자의 문제’를 찾아내는 시선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일단 결론부터 미리 말하자면, 사가라 모리오 교수가 말하는 ‘지극히 일본적인 징후’란 소녀들(이른바 예전의 문학소녀들)이 ‘남자의 문제’에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그것은 교양주의가 벌써 숨통이 끊어진 다음에도 현대 일본의 소녀만화가 다루는 주제가 될 정도로 그럭저럭 명맥을 유지해 갈 것이다. 일본의 여학생이 헤르만 헤세를 좋아했다는 사실은 실제로 그러했는지 아닌지를 따지는 일은 나중으로 돌리더라도, 헤세 문학의 특질이 이러니저러니 논하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근대 일본의 청춘에 내재한 하나의 형태를 드러낸다. _251~253쪽 「6장 전염」

고등학교에 들어가기만 하면 ‘정신’적으로 ‘평등’해질 수 있다고(육체노동의 ‘평등 상태’를 체험하지만) 믿고 있던 주인공은 오히려 상급 학교라는 곳에서 그 차이를 명확하게 느낀다. 부유한 친구 집에 초대받아 구제고등학생 자식을 자랑스러워하는 치맛바람 전형인 고상한 어머니로부터 ‘도쿄에서 사는 곳’을 질문받았을 때, 다른 사람들은 부친의 직업까지 대답하는 데 반해 주인공은 말문이 막힌다. …한마디로 동경하는 ‘자유로운 정신’ 따위를 만들 수 없는 상황이 유일한 희망이었던 셈이다. 인텔리 구제고등학생으로서 전쟁과 군인을 저주하고 교양주의적 독서를 유일한 내면적 저항의 증거로 삼고 있는(이는 실로 ‘전쟁 중의 고등학생의 흔하디흔한’ 모습이다) 주제에 실제로는 학교 안에 존재하지도 않았던 ‘평등의 실현’을 전쟁이 이루어 주기를 떠다밀고 있다. 실로 1930년대 중반에 부랴부랴 실시한 학생 동원에 의해 강제로 집단생활과 공장 노동을 하고 정신도 수업도 교양주의적 독서도 죄다 없어졌을 때에야 비로소, 또는 동원 때문에 “집에서 보내 주는 돈이 필요 없어졌을” 때에야 비로소, 주인공은 학교 친구들과 ‘자유로운’ 우정을 키울 수 있었다. 물론 그렇게 혼자 생각했던 것이야말로 가장 커다란 오해였지만 말이다. _318~320쪽 「7장 합병증」

내가 고찰하려고 한 대상은, 세상의 눈으로 볼 때 일류의 경험을 가졌지만 그 때문에 특권적인 ‘이류’라는 예감과 자각에 들볶이는 남성들이 자신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해 갈까 하는 문제였다. 이 책에서 살펴보았듯 그것은 현 체제를 향한 애매모호한 다가섬, 문화인의 그럴싸한 발언, 자신은 ‘문학’ 쪽에 서 있다는 착각, 남자로 태어나 훌륭한 ‘일’을 해보자는 결의로 이어지거나, 반대로 속세의 욕망을 내던진 삶을 보여 주려는 허영심 등으로 이어진다. ‘남자는 괴로워’라는 말은 다양한 장소와 차원에서 통용되는 명언이다. _340쪽 「후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차례

1장 자각 증상 우선 무엇이 문제일까?
‘문학’에서 멀리 떠나 11
가장 변변치 못한 독일 문학자? 11 | 리버럴한 구제고등학교 교사 16 | 수레바퀴 위의 승자들 20

‘문학부’에서 멀리 떠나 25
1인 2역의 트릭 25 | 아웃사이더(자칭으로만) 28 | 도쿄대학 교수들, 난투를 벌이다 33 |
국가에 저항하여 39

‘문학’과 ‘문학부’의 틈바구니에서 46
게으른 죄 46 | 열심히 일한 죄 48 | 문화인 으로서의 독일어 교사 53 | ‘문학의 꿀’에 흠뻑 빠져 55 | ‘문학’ 편에 서서 57

2장 병력(病歷) 대정익찬회 문화부와 제일고등학교
다카하시 겐지와 이중 스파이들 65
때늦은 결단 90
우리 제일고등학교 ‘문학’파 107

3장 병의 원인 도쿄제국대학이여, 안녕
평범함 예찬 121
교만한 도쿄대학 불문과 129
나쓰메 소세키의 악의 137
독일 문학자는 역습한다 149

4장 자기 진단 고학력자의 비애
이류의 조건 165
비판이라는 덫 181

5장 증상의 예 학교소설 『버마의 하프』
영원한 일고생 197
두 가지 진공 지대 207
분투하는 교사들 225

6장 전염 『수레바퀴 아래서』 또는 사내의 증명
여자가 좋아해 주다 243
여자를 혐오하다 254
여자가 되다 270

7장 합병증 나카노 고지, 카프카에서 청빈으로
동정과 악의 291
자학과 복수 299
오해와 동경 311
승리와 패배 321

후기 338
옮긴이의 글 342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