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굿바이 흙수저 (구직이 아니라 창직이다)
굿바이 흙수저 (구직이 아니라 창직이다)
저자 : 김정수
출판사 : 라인
출판년 : 2016
ISBN : 9791187311034

책소개

『굿바이 흙수저』는 일자리 창출에 대한 해답을 '창직'을 제안한다. 구직이 아닌 스스로를 고용하는 창직의 형태로 바꿈으로써 직업에 대한 사고를 전환시킨다. 취업난과 생활고에 지친 청년들 사이에 좌절을 넘어 ‘되고 싶은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다’는 포기 문화가 급속히 번지는 현실 속에서 더는 괴로워하지 말고 '1인 기업' 시대에 뛰어드는 것은 어떨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구직(求職)이 아니라 창직(創職)이다

누구나 꿈꾸는 밝은 미래는 정말 만나기 어려운 것일까? 더 나은 내일을 기대하며 살아가는 것은 사치스러운 일일까? 오늘날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유감스럽게도 미래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최근의 영국 ‘브렉시트’는 전 세계를 강타했고 미국은 날로 심해져가는 빈부격차 속에서 외곽으로 밀려나는 중산층의 좌절감을 대변한다는 ‘트럼프 현상’과 ‘샌더스 현상’ 등이 당선 여부와 상관없이 대선 판도에 일종의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뜨거운 사회적 이슈로 등장했다. 한국 역시 너무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하는 탓에 금수저, 흙수저를 지나 스스로를 아예 ‘N포 세대’로 부르는 젊은이로 넘쳐난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걸까? 그 원인은 만성적인 일자리 부족에서 찾아야 한다. 이것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생긴 가슴 아픈 현상이기 때문이다. 흔히 ‘실업은 테러보다 무섭다’고 하는데 이를 반영하듯 전 세계가 하나같이 원하는 것은 바로 양질의 일자리다. 현재 한국의 젊은이들은 단군 이래 최고의 능력과 최고의 스펙, 건전한 정신을 갖춘 세대로 불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사상 최악의 일자리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540만 명의 청년 중 160만 명이 일자리가 없어서 놀고 있다면 이는 사회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것이 아닌가? 어떤 말이 더 필요한가?

국가 경제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면서 한국은 성장 동력마저 점점 힘을 잃고 있다. 그 결과 만성적인 청년실업 문제가 세대 간 갈등으로 번지는 한편, 젊은이들은 ‘잃어버린 세대’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그들에게 판도라 상자에 갇혀 있는 ‘희망’을 꺼내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만 유난히 경제적 위기상황을 더 심하게 겪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경제위기는 20년, 10년 전에도 있었고 앞으로도 닥칠 것이다. 분명한 것은 오늘의 역경을 내일의 축복을 위한 디딤돌이라 여기고 도전하면 새로운 기회와 미래가 열리지만 좌절하고 포기하면 기회와 미래는 영원히 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 책의 주요 주제, 즉 일자리 창출 패러다임을 구직(求職)이 아니라 ‘스스로를 고용하는’ 창직(創職 : Job Creation)으로 바꾸자는 것 역시 접근 원리는 같다. 이것은 직업에 대한 지금까지의 사고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창조적 파괴를 바탕으로 한다.
지금은 청년이 스스로의 힘으로 내 집을 마련하는 것은 꿈같은 일이다. 오히려 금수저, 흙수저라는 자조 섞인 푸념이 보여주듯 부익부 빈익빈 현상의 고착화로 우리 사회는 점점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 취업난과 생활고에 지친 청년들 사이에 좌절을 넘어 ‘되고 싶은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다’는 포기 문화가 급속히 번지는 현실이 그것을 잘 보여준다.
이런 상황에서는 일자리를 구하려는 구직이 아니라 나눔과 창조를 바탕으로 스스로를 고용하는 창직이 좋은 대안이다. 이미 일자리 창출 패러다임은 구직에서 창직으로 서서히 바뀌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08

제1장 창직(創職)의 시대가 왔다 · 17

1. 구직(求職)이 아니라 창직이다 · 19
저성장이 당연한 뉴노멀(New Nomal)시대 · 21
비빌 언덕 없는 N포 세대, 부(富)축적은? · 25
전 세계 일자리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 30
스스로를 고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 35
창직(創職), 자기 직업을 만드는 활동 · 39

2. 뉴노멀 시대, 수저론(論)의 극복 · 44
뉴노멀, 새로운 기준이 일상화된 미래 · 47
금,은...흙수저 등 수저 계급론(論) · 51
일본 평론가가 본 헬조선의 경제구조 · 56
파워 1인 기업에서 대안을 찾으라 · 60

3. 이제, 파워 1인 기업을 주목하라 · 68
고용창출형(型), 21세기 직종의 등장 · 71
일자리 창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 77
자기 스스로를 위한 비즈니스 주체 · 82
시대의 산물, 스몰파워가 세상을 바꾼다 · 86

제2장 당신의 빨간풍선을 찾아라 · 95

1. 문샷 싱킹, 빨간 풍선을 찾아라 · 96
부자의 탄생, 스노우볼(Snowball)효과 · 98
천재들은 어떻게 빨간 풍선을 찾았을까? · 103
집단 지성과 금전적 인센티브의 만남 · 108
MIT팀의 ‘상금 가지치기’ 실제 사업 적용 · 112

2. 준비 없는 미래는 재앙과 같다 · 118
정보에 어두운 것이 문맹이 될 것이다 · 121
‘소비의 시대’ 안녕, 뉴노멀 5가지 현상· 126
이 사업은 곧 10조원 시장으로 올라설 것 · 131
인세, 레버리지, 복리효과 등 3가지 원리 · 143

3. 백만장자의 부자법칙 따라하기 · 152
라는 새로운 인종이 등장했다 · 154
어떻게 돈 벌 기회를 만들 수 있는가· 159
제 4의 섹터,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 · 165

제3장 소셜벤처 사업이 떠오른다 · 175

1. 사회공헌과 이윤추구의 새로운 만남 · 176
따뜻한 자본주의, 창조적 자본주의 · 180
사회 시스템이 상위 1%에게 유리하다 · 186
자본주의 4.0, 착한 자본주의의 등장 · 191
선도적인 성장 산업, 소셜벤처 모델 · 196

2. 돈도 벌고 남도 돕는 소셜벤처 사업 · 203
주주(株主)도 없고 배당도 없는 사업모델 · 205
가난한 사람들이 주인공, 그라민(Grameen)은행 · 210
기부에 ‘대출’의 개념을 도입한 키바(KIVA)모델 · 216
무료 수술하며 돈도 버는 아라빈드(Aravind)병원 · 221

3. 당신의 플랜 B는 잘 준비되고 있는가 · 228
제대로 준비 된 플랜 B에 올라타라 · 231
핵심에 집중했기 때문에 1등이 가능했다 · 236
직업 대신 사업이라는 말만 존재하게 된다 · 243
‘불확실해도 생존 가능성’에 걸어라 · 24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