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요한계시록 주석 (부분적 과거론과 다차원적 해석의 공공선교적 적용)
요한계시록 주석 (부분적 과거론과 다차원적 해석의 공공선교적 적용)
저자 : 송영목
출판사 : SFC
출판년 : 2023
ISBN : 9791187942795

책소개

성경의 마지막 책, 요한계시록
성경의 결론이자
가장 상징적이고 난해한 책에 관한
‘하나의 해석’을 말하다!

저자는 ‘부분적 과거론’을 중심으로 한 다차원적 관점에서 요한계시록을 1세기 교회에게 주는 위로와 소망의 메시지로 해석하고, 이로부터 오늘날 한국교회의 숙제인 공공선교적 적용을 찾는다!

총 403절로 구성된 요한계시록,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훨씬 방대하고 다양하다. 그러면 요한계시록 자체가 제시하고 요청하는 해석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요한이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찾는 방법이다. 1세기 로마제국과 불신 유대인들이 일곱 교회를 박해하면 할수록, 하나님께서는 오히려 그 교회들을 통해 사랑과 정의로 세상 나라를 다스리심으로 기어이 그분의 뜻을 이루어 가셨다. 그런데 바로 이 메시지가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공공신학 및 선교적 교회론과 상통한다.
주님께서는 1세기 일곱 교회처럼 공공선교적 공동체를 추구해야 하는 한국교회에게 세 가지를 요구하신다. 곧 어린양의 보혈, 하나님 나라의 복음, 그리고 생명조차 아깝게 여기지 않고 주님을 신실하게 섬기려는 각오이다. 한국교회의 숙제인 하나님 나라와 복음의 공공성 회복의 여부는 여기에 달려 있다. 이 책은 이런 내용을 진지하게 탐구하는 안내서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요한계시록은 성경 중에서도 기독교 이단이 가장 전용하는 책이다. 그에 반해 안타깝게도 오늘날 ‘그 책의 사람들’인 그리스도인은 ‘그 책(요한계시록)이 없는 그 책의 사람들’이 되고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이런 때에 설교자는 하나님의 특별 계시의 완성을 소망 차게 소개하는 계시록을 마땅히 바르게 해석하고 강설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성경이 65권이 아니라 66권임을 믿는 모든 그리스도인은 계시록을 올바로 배우고 실천하는 데 열심을 내야 한다. 교회가 성경의 결론을 배우지 않고 실천하지 않는 것은 얼마나 안타깝고 큰 손실인가? 그런데 관건은 계시록의 바른 주해와 적용이다.
AD 1세기에 요한계시록이 기록된 후, 교부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많은 주석서가 출간되었다. 그러나 특정한 주석이 절대적이거나 표준이 될 수는 없다. 더군다나 모든 독자를 만족시킬만한 요한계시록 주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책도 마찬가지이다. 그 누구도 계시록처럼 난해한 본문을 완벽하고 적확하게 주해하여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자신의 주해 방식과 결과가 다르다고 해서 남을 적대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런데 해석 방법에 대한 논란이 있는 난해한 본문일수록 주해는 쉽고 간명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그런 명료한 주해를 위해 무한하신 하나님의 계시 말씀을 대하는 인간의 한계를 겸손히 인정하면서도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를 품고 계시록 본문을 다룬다.

저자는 〈저사서문〉에서 이 책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첫째, 발전 중인 신학에 보조를 맞추어 요한계시록에 관한 최근 연구물을 최대한 반영하여 다양한 해석 방법을 활용한다.
둘째, 독자의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사도 요한 당시의 역사적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셋째, 요한계시록을 이해하는 데 필수인 구약과 제2성전 시기 유대묵시문헌, 그리고 그레코-로마 문헌 사이의 간본문성을 선명하게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둔다.
넷째, 본서는 저자인 사도 요한과 1차 독자인 소아시아 7교회 간의 편지를 통한 의사소통 방식을 염두에 두면서 하나님 나라 중심으로 공공선교적 적용을 제시한다.
누구나 동의하듯이, 요한계시록의 해석에 ‘그 해석’이란 없다. 필자는 가장 설득력 있는 ‘하나의 해석’을 설교자와 성도에게 제공함으로써 설교단이 풍요롭게 회복되기를 소망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의 글 _7
저자 서문 _13

요한계시록 서론
1. 저자 _18
2. 수신자 _24
3. 기록 연대와 역사적 배경 _27
4. 기록 목적과 중심 주제 _31
5. 장르와 해석 방법 _36
6. 요한계시록의 구조 _60
7. 성경의 구원 계시역사에서 요한계시록의 위치 _62

요한계시록 본문 주석
요한계시록 1장 _69
요한계시록 2장 _126
요한계시록 3장 _177
요한계시록 4장 _212
요한계시록 5장 _235
요한계시록 6장 _261
요한계시록 7장 _292
요한계시록 8장 _308
요한계시록 9장 _320
요한계시록 10장 _331
요한계시록 11장 _343
요한계시록 12장 _376
요한계시록 13장 _410
요한계시록 14장 _439
요한계시록 15장 _465
요한계시록 16장 _479
요한계시록 17장 _506
요한계시록 18장 _535
요한계시록 19장 _562
요한계시록 20장 _593
요한계시록 21장 1절-22장 5절 _627
요한계시록 22장 6-21절 _684

부록
부록 1 - 『21세기 찬송가』의 찬송가 제목을 위한 증거 구절로서 요한계시록 분석 _713
부록 2 -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16개 찬송의 콜론분석 _717
부록 3 - 신약성경의 지옥에 대한 기독론적 이해 _721
부록 4 - 런던의 변호사이자 작가인 Fredrick Edward Weatherly의
“거룩한 성(The Holy City)” (1892)의 가사에 대한 비평 _727
부록 5 - 단어 통계표 _730
부록 6 - 요한계시록의 동사 ἔρχομαι(가다, 오다)의 번역 제안 _740

참고문헌 _74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