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팬데믹 플레이 (창작집단 독 희곡집)
팬데믹 플레이 (창작집단 독 희곡집)
저자 : 창작집단 독
출판사 : 제철소
출판년 : 2022
ISBN : 9791188343584

책소개

새로운 형식의 단막 희곡집 『당신이 잃어버린 것』으로 한국 연극의 새 지평을 연 ‘창작집단 독’이 7년 만에 펴낸 신작. 『팬데믹 플레이』는 아홉 명의 극작가가 ‘따로 또 같이’ 쓴 두 번째 결과물로, ‘독플레이’라는 형식 안에서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며 새로운 연극언어를 찾아간 노정의 결실이다. 날이 갈수록 첨예해지는 혐오와 불신 등 우리 사회에 대한 사유를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고 희곡으로 기록한 단상들은 ‘지금-여기 우리의 삶’을 낯선 감각으로 다시 만나게 하며, 단막 희곡 읽기의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1부 〈팬데믹 플레이〉는 ‘코로나19, 그 이후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저마다의 방식으로 거센 변화의 물결에 적응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다. 2부 〈외국인들〉은 우리가 어느 때고 붙들리고 마는 삶의 문제들을 낯선 데서 마주치게 하며, 3부 〈내국인들〉은 이주 노동자, 입양아, 난민, 혼혈인 등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대한민국에서 겪는 우여곡절을 담고 있다. 4부 〈기형도 플레이〉는 시인 기형도의 30주기를 추모하며 이뤄진 작업으로, 그의 시(詩)에서 얻은 사유를 토대로 극적인 변환을 시도한 작품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새로운 형식의 단막 희곡집 『당신이 잃어버린 것』으로 한국 연극의 새로운 지평을 연 ‘창작집단 독’이 7년 만에 신작을 펴냈다. 아홉 명의 극작가로 구성된 이 연극 집단은 연극만이 지닌 가치와 고유의 언어를 찾기 위해 꾸준히 모색해왔다. ‘독플레이’는 새로운 방식의 ‘함께 쓰기’로, 작가 개개인의 개성을 살리는 동시에 사회와 현상에 대한 사유를 모을 수 있는 과제를 연구해 구조적 완결성을 갖추려는 노력의 한 형태이다.

지금-여기 후미진 길모퉁이에서 주운 당신의 표정들
『팬데믹 플레이』는 아홉 명의 극작가가 ‘따로 또 같이’ 쓴 두 번째 결과물로, 독플레이라는 형식 안에서 하나의 주제를 공유하며 새로운 연극언어를 찾아간 노정의 결실이라 할 수 있다. 날이 갈수록 첨예해지는 혐오와 불신 등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고 써내려간 희곡집 『팬데믹 플레이』는 ‘지금-여기 우리의 삶’을 낯선 감각으로 다시 만나게 하며, 단막 희곡 읽기의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연극(희곡)은 ‘동시대적’ 인물을 호명해 무대 위에 세우고, 그에게 살아 있는 언어를 토하게 함으로써 관객(독자)과의 예술적 교감을 희망한다. 이 책의 표제작이자 창작집단 독이 가장 최근에 작업한 〈팬데믹 플레이〉를 비롯해 〈외국인들〉 〈내국인들〉 〈기형도 플레이〉 등 총 네 개의 작품은 이런 본성을 지키며 지금의 우리 삶을 생생한 말(글)로 기록해나간 작업물이다.

1부 〈팬데믹 플레이〉는 ‘코로나19, 그 이후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팬데믹 이후 사회와 개인의 일상이 달라졌다. 이 변화가 일시적일지 지속적일지는 아직 알지 못한다. 다만, 우리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거센 변화의 물결에 적응하기 위해 애쓰는 중이다. 〈팬데믹 플레이〉는 그런 우리의 모습들을 담고 있다. 창작집단 독의 아홉 작가는 ‘코로나 시대의 ㅇㅇ’이라는 부제를 걸어놓고, 자신에게 강렬한 감정을 불러왔던 코로나의 얼굴을 찾아 극으로 기록했다. 그렇게 발굴된 아홉 개의 작은 이야기를 결합해 당대의 큰 감정을 담아낸 한 편의 연극을 창작했다.

2부 〈외국인들〉은 낯선 데서 우리 현실을 마주치게 한다. 가깝기로는 불과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만주와 오사카, 멀기로는 1만 킬로미터 밖 애리조나 사막과 인도양까지. 세계 곳곳에서 거주하거나 여행하는 한국인들이 아홉 편의 이야기에 등장한다. 이국의 풍경 속 우릴 닮은 사람들은 우리가 어느 때고 붙들리고 마는 삶의 문제를 토로한다. 밝고 때로는 어둡게, 각자가 열망하는 감정들을 원초적인 모습으로 드러낸다. 그렇게 〈외국인들〉은 먼 데서 우리 생을 가장 가깝게 목격하도록 만든다. 두 명의 배우를 위한 ‘짧은 이인극’이라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3부 〈내국인들〉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혹은 이방인으로 오해받는 한국 사람이 등장하는 옴니버스 작품이다. 이주노동자, 입양자, 난민, 혼혈인 등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이 대한민국에서 겪는 우여곡절을 담고 있다. 〈내국인들〉은 차별과 혐오, 이해와 포용이 엇갈리며 펼쳐지는 이야기를 통해 지금 우리 사회는 모두가 어우러지는 삶을 준비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그러한 고민의 필요와 함께 공존의 방법을 모색한다.
4부 〈기형도 플레이〉는 기형도 시인의 시(詩)에서 얻은 사유를 토대로 극적인 변환을 시도한 작품이다. 기형도의 시에 각인된 세계는 눅눅하지만 지금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감을 가졌다. 그의 시 여덟 편에서 비롯된 작품 〈기형도 플레이〉에는 고용계약이 만료된 비정규직, 속수무책으로 늙어가는 작가 지망생, 그리움의 방향이 다르기에 균열돼가는 남녀, 자기 생을 끝장낼 곳을 찾아 떠나는 여행자, 실낱같이 이어온 생명줄마저 드디어 놓게 될 지경에 이른 가족 등이 등장한다. 그들이 휩싸이는 감정은 후회, 배신, 분노, 경멸, 불신 같은 것들이고, 당장이라도 끝나버릴 것 같은 인생, 반드시 패배할 것 같은 무서운 삶의 장면들이 이어진다. 그러나 누더기 같은 삶의 한 조각씩을 모은 〈기형도 플레이〉의 울림은 그 공포에 질린 눈들이 가닿는 곳이 희망의 방향이라고 말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작가의 말

1부 팬데믹 플레이
새벽, 호모마스쿠스│우리는 만나지 않았다│사랑할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극적 소고小考│순대만 주세요│피시알이 너를 찾아올 때│파인 다이닝│안전지대│숙주│빈소

2부 외국인들
세이셸 군도, 인도양│아그라, 인도│오사카, 일본│방콕, 태국│로키산맥, 캐나다│로마, 이탈리아│애리조나, 미국│용정, 중국│런던, 영국

3부 내국인들
스무 살이 되면│화란和蘭│인터뷰│비치 보이스│노웨어Nowhere│이제 네가 나를 보살필 때│아버지의 나라│제비

4부 기형도 플레이
기억할 만한 지나침│소리의 뼈│질투는 나의 힘│흔해빠진 독서│바람의 집│먼지투성이의 푸른 종이│빈집│조치원

추천의 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