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회를 위한 철학적 해석학 (누구의 공동체? 어떤 해석?)
교회를 위한 철학적 해석학 (누구의 공동체? 어떤 해석?)
저자 : 메롤드 웨스트팔
출판사 : 도서출판100
출판년 : 2019
ISBN : 9791189092054

책소개

피조물의 위치에서 듣는, 겸손한 공동체적 해석학!
 
메롤드 웨스트팔은 현존하는 그리스도인 철학자 중 해석학에 대해 가장 권위 있게 말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는 이 책에서 성서와 교회 공동체를 그 중심에 놓고 철학적 해석학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는다. 이 작은 책은 난해하기만 했던 철학적 해석학을 우리의 성서 읽기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웨스트팔은 먼저 슐라이어마허, 딜타이, 월터스토프, 허쉬의 해석학을 비판하면서, 근대적 성서 해석학이 가정하고 있는 철학적 오류들을 파헤친다. 해석 없이 성서에 기록된 그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가정, 철학이나 여타 인간의 전통으로부터 면역된 상태로 성서를 읽는 신학이 있다는 가정, 하나님의 말씀은 분명하므로 어떤 고정된 의미로 환원 가능하다는 가정(객관주의), 그것이 실제로 불가능하기에 성서의 의미는 임의적일 수밖에 없다는 가정(상대주의) 등등.
 
그는 또한 이러한 철학적 오류의 근간에는 인간을 절대자의 위치에 놓는 신학적 오류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가 절대자의 위치에서 내려와서 피조물의 위치에서 겸손히 경청하는 해석학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가 말하는 이러한 해석학은 교회 공동체와 불가결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공동체를 넘어 그리스도 교회의 보편성을 지향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간은 불확실한 세상에서 확실성을 얻고자 한다.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성서를 기반으로 삼아 그러한 확실성을 얻고자 한다. 그러나 여러 해석학이 상정하고 또한 추구하고 있는 확실성은 성서를 통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신다는 사실을 신뢰함으로써 얻는 확실성이라기보다, 성서의 고정된 의미를 확실하게 도출해냄으로써 얻는 확실성이고, 우리가 이를 토대로 확신과 안정을 누리고자 하는 확실성이다.

 

이 책에서 웨스트팔이 제시하는 해석학은 우리가 성서를 파악함으로써 확고부동한 원리를 마련하려는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성서가 우리를 파악하도록 우리 자신을 개방하기 위한 해석학에 가깝다. 이것은 아마 다윗―대적의 목소리에서도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려 했던 다윗, 하나님께 자신을 개방하고자 했던 다윗―의 영혼이 숨 쉬는 해석학이 아닐까?

 

“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내 마음을 아시며,

나를 시험하사 내 뜻을 아옵소서.

내게 무슨 악한 행위가 있나 보시고

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에라스무스 총서'를 발간하며

시리즈 서문

시리즈 편집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서문



1. 해석학 101: 해석은 필요 없다? 21

2. 해석학 102: 간추린 역사적 배경 39

3. 낭만주의 해석학에 대항하여: 심리주의에서 벗어나기 51

4. 객관주의와 저자의 특권 67

5. 저자의 특권 폐기하기 87

6. 전통을 복권해내기 107

7. 선입견에 대한 선입견에 집착하지 않기 121

8. 방법 너머의 진리의 자리로서의 예술 139

9. 공연, 적용, 대화 161

10. 대화, 그리고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 191

11. 대화로서의 교회 217

12. 초월, 계시, 그리고 공동체 237



옮긴이 해설 255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