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리의 종말
교리의 종말
저자 : 크리스틴 헬머
출판사 : 도서출판100
출판년 : 2020
ISBN : 9791189092153

책소개

교리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

“신학자는 박물관 안내원이 아니다.
… 역할은 잃어버린 문명에서 나온 교리의 유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조지 A. 린드벡이 쓴 『교리의 본성』 이후의 교리의 본성을 다룬다. 즉 ‘교리는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려는 새로운 시도이다. 『교리의 본성』에서는 과거 신학자들이 교리에 부여한 성격을 ‘인식-명제적 접근’, ‘경험-표현적 접근’으로 구분하고, 제3의 이해인 ‘문화-언어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그러나 헬머는 이러한 교리 접근법이 인간의 현실과 유리되거나, 신적 현실과 무관해질 수 있다고 비판한다.

헬머는 이러한 교리 접근 방식을 비판하면서, “교리가 어떤 새로운 것도 말할 수 없는 게 당연해질 때, 교회의 정체성을 권위 있게 강화하는 기여도에 따라 교리의 중요성이 측정될 때, 교리는 종말에 이른 것이다”라고 말한다. 헬머는 교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가기 위해, 19-20세기 신학의 자취를 추적하고 언어-실재의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바르트의 신학과 같이 초월자에게 열려 있으면서도, 인간의 사회적 구성물임을 인정하는 교리 모델을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새로운(엄밀한) 독해를 바탕으로 모색한다. 즉, 이 책은 교리의 초역사성과 역사성 모두를 포기하지 않는(시대에 순응하지도, 시대를 무시하지도 않는), 다른 학문 분야와도 대화가 가능한 교리 이해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도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리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



“신학자는 박물관 안내원이 아니다.

… 역할은 잃어버린 문명에서 나온 교리의 유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조지 A. 린드벡이 쓴 『교리의 본성』 이후의 교리의 본성을 다룬다. 즉 ‘교리는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려는 새로운 시도이다. 『교리의 본성』에서는 과거 신학자들이 교리에 부여한 성격을 ‘인식-명제적 접근’, ‘경험-표현적 접근’으로 구분하고, 제3의 이해인 ‘문화-언어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그러나 헬머는 이러한 교리 접근법이 인간의 현실과 유리되거나, 신적 현실과 무관해질 수 있다고 비판한다.



헬머는 이러한 교리 접근 방식을 비판하면서, “교리가 어떤 새로운 것도 말할 수 없는 게 당연해질 때, 교회의 정체성을 권위 있게 강화하는 기여도에 따라 교리의 중요성이 측정될 때, 교리는 종말에 이른 것이다”라고 말한다. 헬머는 교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가기 위해, 19-20세기 신학의 자취를 추적하고 언어-실재의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바르트의 신학과 같이 초월자에게 열려 있으면서도, 인간의 사회적 구성물임을 인정하는 교리 모델을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새로운(엄밀한) 독해를 바탕으로 모색한다. 즉, 이 책은 교리의 초역사성과 역사성 모두를 포기하지 않는(시대에 순응하지도, 시대를 무시하지도 않는), 다른 학문 분야와도 대화가 가능한 교리 이해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도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한국어판 서문

? 서문



1. 신학과 교리

Ⅰ. 교회와 학계 사이의 신학

Ⅱ. 교리에 대한 신학의 관심

Ⅲ. 영원의 유혹

Ⅳ. 역사주의의 충격

Ⅴ. 언어적 전환

Ⅵ. 전망



2. 리츨에서 브룬너까지: 신비주의도 형이상학도 아닌, 슐라이어마허 문제

Ⅰ. 교리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Ⅱ. 리츨과 칭의 교리

Ⅲ. 신비주의에서 매개로

Ⅳ. 브룬너, 그리고 슐라이어마허와 대립되는 말씀

Ⅴ. 슐라이어마허 문제



3. 삼위일체적 표상으로부터 인식적-우위 모델까지: 말씀, 교리, 신학

제1부

Ⅰ. 말씀에서 교리까지

Ⅱ. 신학과 삼위일체적 표상

제2부

Ⅰ. 교리에 대한 인식적-우위 모델

Ⅱ. 교리의 종말



4. 언어와 실재: 슐라이어마허에게 약간 도움받은 신학적 인식론

Ⅰ. 종말의 자리에서, (잠정적인) 시작

Ⅱ. 신약성서에서 언어와 실재

Ⅲ. 신학적 인식론과 교리

Ⅳ. 인식론에서 내용으로



5. 사회적 구성임을 인정하고 해체 너머로 나아가기: 신학과 종교학을 위한 교리

Ⅰ. 사회적 구성물일 수밖에 없는 교리

Ⅱ. 해체를 넘어서

Ⅲ. 현실이 사회적으로 구성됨을 분명히 하기

Ⅳ. 언어, 교리, 실재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해설: 교리의 본성에 관한 현대적 논쟁

? 추천의 글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