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리의 본성
교리의 본성
저자 : 조지 A. 린드벡
출판사 : 도서출판100
출판년 : 2021
ISBN : 9791189092207

책소개

‘교리의 본성’에 관한 고전적이며 현대적인 탐구

이 책은 1900년대 후반에 출간된 책 중 신학계에 가장 많은 반응을 불러온 작품 중 하나로, 지금은 신학과 교리의 본성에 관한 광범위하고도 깊은 통찰을 제공해 주는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그뿐 아니라 교회 일치 운동, 종교 신학, 다원주의에 관한 논의 등에서도 필독서로 분류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교리에 관한 관점을 세 가지로 분류한다. 그것은 전통적인 인지-명제적 관점, 현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경험-표현적 관점, 그리고 저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문화-언어적 관점이다(저자는 이 관점이 다른 학문 분야에서 이미 사용되어 온 방식이며, 심지어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리 사용 방식이기에 ‘새로운’ 관점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문화-언어적 관점이 그리스도인의 교리 사용 방식, 교리에 관한 직관들을 현재로서 가장 포괄적으로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이 관점을 따르면 각 종파(종교)가 자기 정체성과 교리를 고수하면서 동시에 교회 일치 운동과 종교 간 대화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다고 논증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리의 본성’에 관한 고전적이며 현대적인 탐구



이 책은 1900년대 후반에 출간된 책 중 신학계에 가장 많은 반응을 불러온 작품 중 하나로, 지금은 신학과 교리의 본성에 관한 광범위하고도 깊은 통찰을 제공해 주는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그뿐 아니라 교회 일치 운동, 종교 신학, 다원주의에 관한 논의 등에서도 필독서로 분류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교리에 관한 관점을 세 가지로 분류한다. 그것은 전통적인 인지-명제적 관점, 현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경험-표현적 관점, 그리고 저자가 새롭게 제시하는 문화-언어적 관점이다(저자는 이 관점이 다른 학문 분야에서 이미 사용되어 온 방식이며, 심지어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리 사용 방식이기에 ‘새로운’ 관점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리고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문화-언어적 관점이 그리스도인의 교리 사용 방식, 교리에 관한 직관들을 현재로서 가장 포괄적으로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이 관점을 따르면 각 종파(종교)가 자기 정체성과 교리를 고수하면서 동시에 교회 일치 운동과 종교 간 대화에도 적극 참여할 수 있다고 논증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ㆍ 옮긴이 서문 7
ㆍ 서문: 『교리의 본성』 25주년을 맞이하여(브루스 D. 마샬) 10
ㆍ 『교리의 본성』 독일어판 서문 54
ㆍ 초판 서문 63

1. 이론, 에큐메니즘, 문화: 상황을 고려한 제안 77
Ⅰ. 에큐메니컬 지형 78
Ⅱ. 심리사회적 상황 88

2. 종교와 경험: 전(前)신학적 탐구 105
Ⅰ. 경험-표현적 모델 109
Ⅱ. 문화-언어적 대안 113
Ⅲ. 비교의 비결정성 133

3. 여러 종교와 하나의 참된 신앙 137
Ⅰ. 무비성 141
Ⅱ. 종교의 상호 관계 152
Ⅲ. 구원과 다른 신앙들 159
Ⅳ. 종교와 진리에 대한 부록 176

4. 교리에 관한 이론들 191
Ⅰ. 교리와 교리 문제 194
Ⅱ. 문법과 교리, 연속성과 변화 208
Ⅲ. 교리의 분류 219

5. 규칙 이론에 대한 시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무류성 227
Ⅰ. 니케아와 칼케돈 230
Ⅱ. 마리아 교의 241
Ⅲ. 무류성 246
Ⅳ. 규제적 관점의 우월성 260

6. 후기자유주의 신학을 향하여 269
Ⅰ. 평가의 문제 271
Ⅱ. 텍스트 내재성으로서의 충실성 274
Ⅲ. 미래학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298
Ⅳ. 기량으로서의 이해 가능성 306
ㆍ 결론 318

ㆍ 후기: 종교 간 관계와 그리스도인의 에큐메니즘: 『교리의 본성』 3장을 돌아보며 322
ㆍ 참고문헌 354
ㆍ 찾아보기 39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