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첫 집 연대기 (일생에 한번 자기만의 삶의 리듬을 찾는 경이로운 시간)
첫 집 연대기 (일생에 한번 자기만의 삶의 리듬을 찾는 경이로운 시간)
저자 : 박찬용
출판사 : 웨일북(whalebooks)
출판년 : 2021
ISBN : 9791190313759

책소개

“집에 서툰, 어쩌면 삶에 서툰 에디터의
허술하면서도 완고한 독립 라이프”

제자리걸음만 하던 삶이 바뀌기 시작하다
공간을 채우면서 찾은 삶의 스위트 스폿

어쩌다 좋은 것을 찾는 직업을 얻어 좋은 물건을 알아볼 수 있지만 그 모든 걸 좋아하지 않는 확고한 취향. 하지만 갖고 싶은 것만은 정확한 사람. 작가는 서울에서의 다양한 임대 형태 앞에서 독립은 취향처럼 선택의 범위가 아닌 예산의 한계에서 협의를 이루는 과정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정원은 있지만 호화롭지 않은, 대학가 수준 임차료의 오래된 단독주택 2층을 얻고 종종 “돈을 주고 벌칙을 산 기분”을 느끼지만, 공간을 채우는 모든 선택에 난생처음 주도성을 부여받는다. 화장실에 이탈리아 피안드레의 타일을 깔고 스위스에서 온 의자를 빈방에 두는 것, 종이 박스 위에서 원고 작업을 하는 난처함 속에서도 의자가 “예뻐서”라고 기쁨을 표현하는 것. 집을 고치며 종종 헤매고 남다른 집주인 앞에서 작아지는 궁상은 있지만 우아하지 않으면 어떠하랴. 첫 집이라는 낭만의 맨얼굴은 위로처럼 찾아온다.

이 책은 집뿐만 아니라 삶에도 서툰 한 사람이 자신을 채워나가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집을 고르고 고치는 고됨은 제 삶의 변화에도 연결된다. 결국 자기의 단단한 기준이 세워지는 생경한 변화 속에서 “제자리걸음만 하던 삶의 어딘가가 바뀌고 있다는 기분”을 느끼는 것은 집이라는 공간이 주는, 그럼으로써 처음으로 삶의 스위트 스폿을 찾게 되는 여정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독립 과정에서 뜻밖의 나를 만나다
현실과 취향 사이, 고단함과 안온함 사이의 고군분투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브랜드를 읽고, 도시의 보통 사람을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사유를 쓴 박찬용 에디터. 그의 새로운 책《첫 집 연대기》는 오롯이 자신의 독립으로 채워져 있다. 삶의 변화를 위해 생에 첫 독립을 다짐하지만, ‘마감-출간’이라는 급급함으로 인터넷으로 해결하게 된 서울의 임대 정보는 일상의 피로함에 “괜찮은 집들이 얼마나 비싼지 알게 되는 과정”을 더할 뿐이었다. 심지어 독립해 살 지역조차 발 딛고 있는 일과 작업에서 떨어질 수 없는 현실을 마주하며 “나는 내가 원하는 게 내가 원하는 모습 그대로 있지는 않다는 사실을 독립하는 내내 배웠다”라고 고백한다. 작가의 독립 판타지는 현실을 다시 확인하는 작업이자 “몸을 쓰고 돈을 쓰고 소소한 손해를 입어가”는 과정이었다.
오래된 월셋집에 시간과 돈을 들이며 집을 고치고 채우는 과정을 들은 사람들은 놀라거나 황당해하며 다양한 표정을 지을 뿐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고작 독립 판타지에 대한 성공과 희망, 남다른 특별한 취향을 채운 공간에 머물러 있지 않다. 오히려 그 반대에 있는 실패와 고됨, 곤궁한 현실 앞에서 한발 물러서는 취향에 있다.
이 책의 저변에는 작가 자신의 고집스러운 삶의 변화를 복기하는 일이 담겼다. 이 책을 결코 제 자신의 독립 이야기만으로 정의할 수 없는 이유다. 작가의 처음 다짐은 책의 말미에서 더 선명해진다.

“내가 이 책을 통해 보여주고 싶은 건 내 어쭙잖은 기호와 취향이 아닌 내 태도와 행동과 그 이유였다. 내가 무슨 의자를 골랐는데 그게 누가 어디서 만든 물건인지, 내가 무슨 타일을 골랐는데 그게 얼마나 훌륭한지, 그런 건 이 책에 나오긴 하지만 내가 전하고픈 메시지는 아니다. 나는 선언하거나 제안하는 대신 대응하고 적응하려 했다. 내가 왜 그랬는지, 무엇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했는지, 이런 것들을 적어두고 싶었다.”

그럴듯하게 살아보기 위해 애를 쓰며 삶을 배우다
지금 여기 우리가 만나야 할 집의 기쁨과 슬픔

요즘 집이 주는 의미는 과거의 것과 무척 다르다. 안락한 공간 자체와 휴식의 의미에서 멀어진 지 오래다. 타인의 것보다 더 넓고 더 많이 비싸야만 값어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부의 경쟁 한가운데 서 있다. 하지만 작가는 이와 반대로 새로운 것을 제 공간에 담기 위해 치열해진다. 결코 세속적인 ‘수단으로서의 집’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집의 기쁨과 슬픔의 차이는 여기에서 온다.

“이건 2010년대 후반 서울에 혼자 살게 된 어느 평범한 30대 남자가 어떻게든 그럴듯하게 살아보겠다고 애를 써보는 이야기다. 눈은 높아졌지만 돈은 모자라고, 해보고 싶은 건 많지만 모든 조건이 제한되어서, 알면서도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기도 하고, 어떤 걸 하고 나서 바보처럼 기뻐하기도 하는, 그렇게 첫 집을 조금씩 채워 나가는 과정이다.”

이 책은 작가가 얹혀살고 있는 부모님의 집에서 ‘나가기’(1부)부터 시작한다. 고정된 삶의 바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작가는 집을 고치고(2부 고치기) 채우면서(3부 채우기) 느리지만 소소하게, 그렇지만 확실하게 온 내면의 변화를 발견한다.
작가는 동선을 바꾸며 택시를 덜 타게 되고 책을 더 읽게 되었다. 또한 오래된 집에서는 한시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는 걸 깨달았다. 아파트에서 살던 편안함이 아닌 관리해야만 하는 낡은 집에서, 바람이 불면 삐걱거리는 구석을 살피고 봄이 오면 천장에 낀 거미줄을 걷어줘야 한다는 사실을 체득했다. 마당이 있는 낡은 집에서 느끼는 생명의 대단함을 온몸으로 받아들인다. 작가는 주변 환경으로 인한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한 지붕을 공유하는 특이한 건물주와의 어려운 관계 속 의사소통 기술도 배운다. 곰팡이가 피어오르는 벽과 집주인과 임차인 간의 건널 수 없는 틈은 있다 해도 삶의 허들이 될 수 없다는 것조차 집이 알려준 것들이다. 2년 계약한 집에서 2년 더 연장해 사는 이유도 집에서 배운 삶을 대하게 된 태도 때문 아닐까.
라이프스타일 잡지 에디터가 쓴 집에 대한 이야기지만 이 책에는 당신의 인테리어 안목을 기르는 노하우가 담겨 있지 않다. 오히려 당신의 독립을 가로막을 장애물이 다수 등장한다. 하지만 책을 덮을 때쯤에는 당신이 생각하는 집의 세계가 결코 숫자나 취향만으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는 것, 집은 당신의 세계를 무한히 확장하거나 삶을 덤덤하게 배우는 데 있다는 그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_뱁새의 집

1부 나가기
때가 됐다: 독립을 결심한 이유들
입지의 조건들: 동작대교 서쪽, 녹지, 대학 도서관, 노량진 수산시장
인터넷으로만 집을 알아볼 수 있을까: 다방, 직방, 네이버 부동산, 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 다음 로드뷰
고르고 좁히기: 종로구, 동작구, 영등포구, 구로구, 마포구, 서대문구
그 집을 처음 본 날: 인터넷과 방문과 건조한 통화
“그냥 계약금 한번에 다 낼게요”: 나는 왜 그렇게 서툴었을까
“내가 자기 여자 친구는 아니잖아요?”: 특이한 집의 특이한 건물주
“이 집이 처음 독립하기 쉬운 집은 아닌데…”: 낭만의 맨얼굴

2부 고치기
공사를 할 수 있다면: 인테리어 시장의 미아
건물주만 좋은 건데:v s. 36으로 나누면 얼마 안 돼
마루만은: 도저히 포기할 수 없던 것
실크 벽지는 실크가 아니다: 한국 인테리어 시장 체험기-벽지 편
이탈리아 타일을 위하여: 한국 인테리어 시장 체험기-화장실 편
화장실을 위하여: 생각보다 더 길어진 화장실 인테리어 시장 체험기
전기 협객과의 만남: 한국 인테리어 시장 체험기-전기 편
헌 집의 스위트 스폿: 공사가 끝나고

3부 채우기
이케아 비율: 없으면 안 되는데 많아도 안 된다
있어야 할 것과 없어도 되는 것: 상식이 아니라 습관에 따랐다
의자의 모험: 이 월세방의 첫 의자는 제네바에서 왔다
스위스에서 온 세간들: 외국에서 온 세간이 생각보다 많아졌다
중고품 세간들: 조금씩 쌓아 올린 오래된 물건들
하우스 메이트: 건물주에게 배우는 인생과 의사소통의 기술
인터넷과 냉장고의 아웃소싱: 왜 나는 냉장고 없이 살기로 했는가
어느 보통의 주말: 일상이 된 어느 날의 기분
그래서 나는 변했을까: 집이 알려준 것

에필로그 뱁새의 사정과 사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