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 (그리스도교의 기원에 대한 사상사, 개정증보판)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 (그리스도교의 기원에 대한 사상사, 개정증보판)
저자 : 조재형
출판사 : 감은사
출판년 : 2021
ISBN : 9791190389358

책소개

- 구약에는 어떠한 종류의 피라도 절대 먹지 말라고 기록되어 있음에도, 어떻게 예수는 자신의 살과 피를 먹지 않으면 생명이 없다고 말할 수 있었는가(요 6:53)?
- 예수는 어떻게 신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될 수 있는가?
- 구약에는 인간이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고 했음에도, 어떻게 신약성서 기자들은 영혼이 더 중요하며 영혼의 심판을 받게 된다고 주장할 수 있었는가?

위의 질문들뿐만 아니라 오랜 신앙생활을 해온 기독교인들도 신약성서를 읽을 때 종종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을 발견하게 된다. 신약성서의 어떤 부분들은 구약성서와 유대교 배경이 잘 설명을 해주지만 또 어떤 부분은 그리스-로마의 문화와 종교의 배경에서 더 잘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차원에서 이 책은 그리스-로마 종교의 특징과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이것이 신약성서 본문들에 어떻게 연관되고 또 영향을 주었는가를 사상의 역사(history of ideas) 속에서 설명한다. 즉, 그리스-로마 종교의 흐름 안에서 형성되고 흘러나온 사상이 어떻게 그리스도교의 신학으로 합쳐졌으며, 또 이것이 그리스도교 신학의 물줄기의 흐름과 방향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바꾸어서 유대교와 다른 초기 그리스도교를 형성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그렇게 이 책은 그리스도교의 기원이 유대교적 배경을 넘어 그리스-로마 배경까지 포함해야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구약에는 어떠한 종류의 피라도 절대 먹지 말라고 기록되어 있음에도, 어떻게 예수는 자신의 살과 피를 먹지 않으면 생명이 없다고 말할 수 있었는가(요 6:53)?

- 예수는 어떻게 신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될 수 있는가?

- 구약에는 인간이 죽으면 흙으로 돌아간다고 했음에도, 어떻게 신약성서 기자들은 영혼이 더 중요하며 영혼의 심판을 받게 된다고 주장할 수 있었는가?



위의 질문들뿐만 아니라 오랜 신앙생활을 해온 기독교인들도 신약성서를 읽을 때 종종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을 발견하게 된다. 신약성서의 어떤 부분들은 구약성서와 유대교 배경이 잘 설명을 해주지만 또 어떤 부분은 그리스-로마의 문화와 종교의 배경에서 더 잘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차원에서 이 책은 그리스-로마 종교의 특징과 주요 주제를 살펴보고, 이것이 신약성서 본문들에 어떻게 연관되고 또 영향을 주었는가를 사상의 역사(history of ideas) 속에서 설명한다. 즉, 그리스-로마 종교의 흐름 안에서 형성되고 흘러나온 사상이 어떻게 그리스도교의 신학으로 합쳐졌으며, 또 이것이 그리스도교 신학의 물줄기의 흐름과 방향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바꾸어서 유대교와 다른 초기 그리스도교를 형성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그렇게 이 책은 그리스도교의 기원이 유대교적 배경을 넘어 그리스-로마 배경까지 포함해야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서문: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제1부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의 관계
들어가는 말
제1장 그리스-로마 종교와 신약성서에 대한 연구 방법과 동향
제2장 그리스-로마 배경
제3장 그리스-로마 종교 개론
제4장 호메로스의 신들: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를 중심으로
제5장 호메로스의 신들과 그리스-로마 희생제의
제6장 헤시오도스와 영웅 숭배
제7장 로마의 미트라 제의와 로마 황제 숭배
제8장 밀의 종교 1: 디오뉘소스 제의와 오르페우스교
제9장 밀의 종교 2: 엘레우시스와 위대한 어머니 신
제10장 이시스와 이집트 밀의 종교들
제11장 그리스의 철학적 종교
제12장 플라톤의 철학적인 종교

제2부 그리스-로마 종교의 관점에서 신약성서 연구
제13장 디오뉘소스의 제의를 통해서 본
제14장 오뒷세우스의 변모(16.166-224; 299-303)가 예수의 변모(눅9:28-36)에 끼친 영향
제15장 미메시스 비평으로 살펴본 사도행전의 기적적인 탈출과 사울의 저항
제16장 요한복음의 예수의 수난과 에우리피데스의 『박카이』의 디오니소스의 수난에 대한 미메시스 비평
제17장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그리스-로마의 공동식사

나가는 말
부록: 1세기 팔레스타인에 영향을 주었던 고대 로마법의 역사와 내용
참고문헌
고대 인명/신명 음역
주제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