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가 너에게 가면 (설재인 장편소설)
내가 너에게 가면 (설재인 장편소설)
저자 : 설재인
출판사 : 자이언트북스
출판년 : 2022
ISBN : 9791191824155:

책소개

읍내에 나가면 삼 분에 한 번씩 아는 사람을 만나게 되는 작은 항만군. 사계절이 뚜렷해 벚꽃과 녹음, 단풍과 설경이 아름다운 마을에서 돌봄 교사이자 복싱 선수로 살아가는 성주는 철저한 원칙주의자다. 아이들에게 예외 없이 공평한 애정을 쏟으려 노력하고, 체중 감량을 위해 칼같은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일과를 채워 넣는 성주. 그러나 봄날의 새 학기, 돌봄반에 맹랑한 아이 애린과 그의 삼촌 도연이 찾아오면서, 직접 구운 빵과 구움 과자들로 마음을 전하면서 성주의 작은 세계는 변하기 시작한다. 조금 곤란하고 귀찮지만 반짝이는 변칙과 우연들로. 건강한 상상력, 명랑한 목소리로 전하는 따뜻하고도 산뜻한 이야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서로에게 어깨를 내어주는 동시에
의지할 줄도 아는 이들이 만들어가는 산뜻한 소설.” 이다혜(작가)

“이 다정한 씩씩함으로
우리는 과거에서 한발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윤단비(〈남매의 여름밤〉 영화감독)

“어른이 되어서도 필요한 말,
“너의 든든한 아군이 되어주겠다”는 상냥한 의지처럼
이 소설은 다정하게 우리를 보살필 응원이 되어줄 것이다.” 유지현(〈책방 사춘기〉 대표)


“웃는 일이 많고 싶었다.”
반짝이는 변칙과 우연들로 변화하는 작은 세계

읍내에 나가면 삼 분에 한 번씩 아는 사람을 만나게 되는 작은 항만군. 사계절이 뚜렷해 벚꽃과 녹음, 단풍과 설경이 아름다운 마을에서 성주는 초등학교 돌봄 교사로 일한다. 방과 후에도 아이들에게는 어른의 손길이 필요하기에 성주는 아이들을 성심껏 보살핀다. 일고여덟 살 된 어린아이들의 미숙함은 너무나 자연스럽고, 누구 하나 소외되어서는 안 되었기에 퇴근하면 진이 빠지기 일쑤. 하지만 성주는 어김없이 체육관으로 향한다. 챔피언 결정전 무대까지 오른 프로 복싱 선수이기 때문. 물론 아쉬운 패배로 언제 다시 출전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지만, 체급을 낮춰 도전하면 승산이 있을 것이란 기대로 성주는 악착같이 체중을 감량하는 중이다. 돌봄 교사로서 아이들에게 한 치의 예외도 없이 공평한 애정을 나눠주려고 노력하고, 복싱 선수로서 체중 조절을 위해 칼같은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으로 일과를 채워 넣는 성주. 철저한 원칙주의자 성주의 하루는 빈틈없는 계획들로 꽉 차 있다.
정해놓은 루틴대로 굴러가던 조용한 나날이 소란스러워진 것은 봄날의 새 학기. 돌봄 교실에 맹랑한 아이 애린과 그의 삼촌 도연이 찾아오면서부터다. 둥근 눈과 긴 속눈썹, 여름을 닮은 피부색의 애린과 곱게 묶은 머리에 우아한 버들가지 같은 목을 가진 도연은 직접 구웠다며 빵과 구움 과자들로 마음을 전해온다. 처음에는 마들렌이었다. 그다음엔 애플파이, 또 그다음엔 갈레트 브르통, 급기야 두 사람은 성주가 다니는 체육관에 등록해 매일 저녁 성주를 찾아오는데…… 체중 감량을 위해 끊었던 탄수화물의 맛은 혀에 착 감겨들고, 솔직한 애린과 상냥한 도연과의 대화는 외로운 줄도 몰랐던 마음을 순식간에 사로잡는다.
해야 하는 일, 지켜야 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저 “웃는 일이 많고 싶었”으니까. 이제 성주의 작은 세계는 변하기 시작한다. 처음엔 조금 귀찮고 번거로웠지만, 반짝이는 변칙과 우연들로.

건강한 상상력, 명랑한 목소리가 전하는 이야기
돌봄으로써 우리는 더 강인해진다

프롤로그에서 우리가 처음 만나는 인물은 성주의 할머니 이종옥이다. 호상을 맞이한 그는 저승사자들과 마주앉아 있다. 저승사자들은 언젠가 종옥이 “크게 좋은 일”을 한 대가로 소원을 하나 들어주겠다고 제안하고, 종옥은 손녀 성주가 빵이라도 먹게 해달라고 빈다. 손녀가 하는 운동이 때리고 맞는 일이라 가뜩이나 못마땅했는데 곡기까지 끊었으니, 밥은 아니더라도 빵이나마 좀 먹었으면 싶은 것이다. 종옥은 이승에 세 계절 동안 머물며 손녀의 삶을 지켜보기로 한다. 자신이 부순 복싱 트로피에 깃든 채. 그러니까 자신이 곁에 없더라도 손녀가 잘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덕분에 그다음 장부터, 우리는 손녀를 바라보는 할머니의 시선 그대로 성주를 지켜보게 된다. 자신이 세운 원칙으로 꽉 찬 세계에서 그가 어떻게 고군분투하는가를, 또 우연히 찾아온 친구들을 받아들이며 그 세계가 얼마나 유연해지는가를.
설재인의 건강한 상상력이 명랑한 목소리에 실려 전해질 때, 우리는 그가 차마 숨기지 못하고 드러내고야 마는 인간을 향한 애정을 알아채게 된다. 멀리서나마 사랑하는 존재를 오래도록 지켜보고 싶은 마음, 또 누군가 이처럼 우리를 애틋하게 바라봐주길 원하는 마음. 인간이란 그런 바람을 품은 연약한 존재라는 사실. 더불어 이야기의 후반에 이르러, 종옥이 한 “크게 좋은 일”이 무엇이었는지까지 드러나면 이 작가의 믿음에 기대어 우리의 삶을 따뜻하고 풍요롭게 일구어가고 싶어지는 것이다. 연약하지만, 상대를 돌봄으로써 우리는 더 강인해진다는 믿음 말이다.
종옥은 성주를 돌보았고, 성주는 종옥을 살아가게 해주었다. 성주는 애린을 돌보았고, 애린은 성주의 세계를 밝혀주었다. 내가 돌본다고 믿었던 존재가 되려 나를 돌보고 있었음을 깨닫게 되는 놀라운 순간.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면, 우리의 마음속에는 생각지 못했던 누군가가, 혹은 무언가가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결코 일방적일 수 없는 돌봄의 연결고리 안에서 서로를 키워내고 있었던 존재들을.
내가 너에게 가면, 정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이야기의 힘에 기대어, 한동안 벗어나지 못했던 제자리에서 가뿐히 한 걸음 뗄 수 있기를 바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내가 너에게 가면 007쪽
작가의 말 261쪽
추천의 글 265쪽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