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푸른 바다의 신화, 인어의 탄생 (인어의 기원부터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까지)
푸른 바다의 신화, 인어의 탄생 (인어의 기원부터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까지)
저자 : 강민경
출판사 : PARK&JEONG
출판년 : 2023
ISBN : 9791192663104

책소개

2018년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저술출판지원사업 선정작
전 세계의 인어 관련 자료 발굴,
동서양 인어 자료를 처음으로 엮은 학술적 성과

『푸른 바다의 신화, 인어의 탄생』은 2018년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저술출판지원사업 선정작이다.

이 책은 전 세계에 전해져 온 수많은 인어 신화 중에 왜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만 널리 이야기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 아래 우리나라의 인어들을 새롭게 부활시킬 수 있는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략을 보여준다. 아울러 다양한 문헌에서 전해 오는 인어의 형상과 특성을 종합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휴먼의 관점에서 인어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방향을 제시한다.

우리나라에도 인어가 있다. 부산 해운대 동백섬, 인천의 장봉도, 여수시 거문도, 제주도 등 전국의 바닷가 근처에는 뜻밖에도 인어 동상이 곳곳에 세워져 있다. 이 인어 동상들은 우리나라에 전해 오는 인어 전설을 본떠 만든 인어상이다. 하지만 동상 하나만 덩그러니 놓여 있어서 지나가는 사람들은 눈길조차 두지 않으며, 인어 동상이 우리나라에 전해 오는 인어 전설과 관련된 동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책은 강민경 저자가 인어들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싶은 마음으로 자료를 찾고, 동서양의 인어를 비교하는 등 지난 십여 년간의 노력을 한 자리에 모아 선보이는 결과물이다. 전 세계 곳곳에 퍼져있는 인어 이야기를 한데 모아 보여줌으로써 인어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널리 분포해 있는 인어 이야기를 통해 시대별·공간별 인어 문화 지형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동서양 인어 신화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방향 제시

저자는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풍부한 인어 자료들을 발굴하여 인어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인어가 동아시아 전통 속에서 어떤 이미지로 형상화되어 왔는지, 동양과 서양의 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인어가 오늘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인어의 문화콘텐츠 전략은 유효한지 등 다양한 관점에서 물음들에 하나하나 답해 나간다.

이 책은 단순히 인어의 기원을 탐색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인어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국내외 주요 문헌을 수집하고 발굴하여 소개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 인어 이야기를 어떻게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는지, 그 전략과 사례까지 살펴본다. 나아가 포스트 휴먼의 관점에서 인어 서사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가능성을 고민해 본다.

『푸른 바다의 신화, 인어의 탄생』은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동서양 인어의 연원을 비롯해 동서양 인어의 특징과 차이 등을 다룬다. 2장에서는 인어 이야기의 문화콘텐츠 가능성과 인어 서사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수집해 온 동서양 인어 관련 자료를 소개한다.

인어의 기원부터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략에 이르기까지 인어의 전승 양상과 활용 양상을 제시하고 동서양 인어 자료를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아 소개한다는 점은 이 책이 지닌 미덕일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어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창작자들이 시놉시스로 구현하고 창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ㆍ5

[1장] 인어의 탄생, 동서양의 인어들
▣ 인어, 인류 공통의 신화
▣ 고전 서사에 나타난 인어 형상
교인, 동양 최초의 인어 19 ㆍ 우리나라의 인어 기록들 23 ㆍ 역사서에 나타난 인어 24 ㆍ 인어를 믿지 않는 시선 27 ㆍ 일본의 비구니 인어 전설 28 ㆍ 동양 인어의 이미지와 습성 33
▣ 고전 시가에 나타난 인어의 상징
인어, 관습적 상징이 되다 41 ㆍ 인어 눈물로 만든 진주, 교주(鮫珠) 47 ㆍ 젖지 않는 인어 비단, 교초(鮫綃) 53 ㆍ 구슬 조개로 만든 인어 궁궐, 교실(鮫室) 58 ㆍ 인어 상징어의 활용 가능성 63
▣ 인어 이미지의 변모 양상
조선조 문헌에 나타난 인어 형상 66 ㆍ 근세의 인어 이미지 70 ㆍ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의 인어 75 ㆍ 인어 아저씨에서 인어 아가씨로 78
▣ 대립과 공존의 경계, 서양의 인어들
서양의 인어,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 79 ㆍ 스코틀랜드와 바르샤바의 인어 81 ㆍ 동양과 서양 인어의 차이들 86 ㆍ 문화콘텐츠에서 인어 서사의 경쟁력 89

[2장] 인어의 문화콘텐츠 현황과 스토리텔링 전략
▣ 인어의 문화콘텐츠 현황과 가능성
문화 산업 시대의 인어 콘텐츠 95 ㆍ 서양의 인어 콘텐츠 현황 96 ㆍ 동양의 인어 콘텐츠 현황 99 ㆍ 인어의 문화콘텐츠 가능성 102
▣ 포스트 휴먼 시대 인어의 스토리텔링 가능성
포스트 휴먼의 도래와 고전 신화의 가치 108 ㆍ 인어의 문화콘텐츠 성공 전망 111 ㆍ 인어의 특성과 스토리텔링 가능성 114
▣ 인어 서사의 스토리텔링 전략
인어 캐릭터의 스토리텔링 전략 127 ㆍ 인어 능력의 스토리텔링 전략 130 ㆍ 갈등 구조 측면의 스토리텔링 전략 133 ㆍ 다시 인어의 부활을 꿈꾸며 135

[3장] 세계의 인어 이야기 자료
▣ 아시아의 인어 이야기
한국 139 ㆍ 중국 156 ㆍ 일본 164 ㆍ 인도 167 ㆍ 바빌로니아 171 ㆍ 아시리아 173 ㆍ 페르시아 175
▣ 유럽의 인어 이야기
스페인 182 ㆍ 그리스 183 ㆍ 스코틀랜드 190 ㆍ 아일랜드 194 ㆍ 네덜란드 202 ㆍ 독일 203 ㆍ 영국 208 ㆍ 폴란드 209 ㆍ 러시아 216
▣ 남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의 인어 이야기
남아메리카 : 페루 227 ㆍ 남아메리카 : 브라질 228 ㆍ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 231 ㆍ 오세아니아 : 미크로네시아 233 ㆍ 아프리카 236

미주 ㆍ239
참고문헌 ㆍ243
찾아보기 ㆍ250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