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중국미학 원전자료 역주 3: 시. 사. 부 (시·사·부(詩·詞·賦))
중국미학 원전자료 역주 3: 시. 사. 부 (시·사·부(詩·詞·賦))
저자 : 이주형
출판사 : B2
출판년 : 2022
ISBN : 9791195300686

책소개

중국미학의 내용은 역대(歷代)의 경전 및 학자들의 저술에 담겨있다.중국미학의 본질과 정수는 이 책에서100여 개의 전적(典籍)을 중심으로 소개된다.
이 책은 이러한 미학적 담론을 선별하여 번역하고 필요한 주석을 덧붙임으로써 중국미학의 내용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체의 편제(編制)는 시대별 저작순으로 일괄 배열한 것이 아니라,각 저작에서 추출한 각 분과별 미학내용을 주제별로 묶어 정비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의 내용을 아래 다섯 권으로 분류하여 엮었다.
제1권 미학이론:첫째 권은 중국미학에 관한 이론적 논설들만 뽑아내어 중국미학의 특성을 원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
제2권 서예/회화:둘째 권은 조형미학에 관한 내용을 한데 모았다.
제3권 시(詩)/사(詞)/부(賦),
제4권 문장/소설/희곡:셋째와 넷째 권은 문예미학에 관한 내용을 묶었다.
제5권 음악/무용/예악(禮樂)/산수(山水)/원림(園林)/조경/건축/화조(花鳥):다섯째 권은 다양한 소규모 예술분과의 미학내용을 취합하였다.
이 책의 목적은 다양한 분과의 연구자들이 중국미학내용을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원문 번역은 최대한 의역(意譯)했으며 미학개념과 출처사항 등에 대해 풍부한 각주를 제공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중국미학의 내용은 역대(歷代)의 경전 및 학자들의 저술에 담겨있다.?중국미학의 본질과 정수는 이 책에서?100여 개의 전적(典籍)을 중심으로 소개된다.?

이 책은 이러한 미학적 담론을 선별하여 번역하고 필요한 주석을 덧붙임으로써 중국미학의 내용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체의 편제(編制)는 시대별 저작순으로 일괄 배열한 것이 아니라,?각 저작에서 추출한 각 분과별 미학내용을 주제별로 묶어 정비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의 내용을 아래 다섯 권으로 분류하여 엮었다.?

제1권 미학이론:?첫째 권은 중국미학에 관한 이론적 논설들만 뽑아내어 중국미학의 특성을 원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다.?

제2권 서예/회화:?둘째 권은 조형미학에 관한 내용을 한데 모았다.?

제3권 시(詩)/사(詞)/부(賦),?

제4권 문장/소설/희곡:?셋째와 넷째 권은 문예미학에 관한 내용을 묶었다.?

제5권 음악/무용/예악(禮樂)/산수(山水)/원림(園林)/조경/건축/화조(花鳥):?다섯째 권은 다양한 소규모 예술분과의 미학내용을 취합하였다.?

이 책의 목적은 다양한 분과의 연구자들이 중국미학내용을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원문 번역은 최대한 의역(意譯)했으며 미학개념과 출처사항 등에 대해 풍부한 각주를 제공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한대(漢代) 이전: 「좌전(左傳)」, 「국어(國語)」, 「서경(書經)」, 「역경(易經)」, 「노자(老子)」, 「논어(論語)」, 「묵자(墨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순자(荀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예기(禮記)」.
2. 한대(漢代): 「회남자(淮南子)」, 「사기(史記)」, 유향(劉向)의 「설원(說苑)」, 양웅(揚雄)의 「법언(法言)」,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3.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혜강(?康)의 「성무애악론(聲無哀樂論)」, 육기(陸機)의 「문부(文賦)」, 갈홍(葛洪)의 「포박자(抱朴子)」, 종병(宗炳)의 「화산수서(畵山水序)」, 유의경(劉義慶)의 「세설신어(世說新語)」, 사혁(謝赫)의 「고화품록(古畵品錄)」, 유협(劉?)의 「문심조룡(文心雕龍)」, 종영(鍾嶸)의 「시품(詩品)」.
4. 수당오대(隋唐五代): 손과정(孫過庭)의 「서보(書譜)」, 장회관(張懷瓘)의 「서단(書斷)」, 두몽(竇蒙)의 「어례자격(語例字格)」, 주경현(朱景玄)의 「당조명화록(唐朝名畵錄)」, 장언원(張彦遠)의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 사공도(司空圖)의 「시품이십사칙(詩品二十四則)」, 형호(荊浩)의 「필법기(筆法記)」.
5. 송(宋)?원(元)?명(明): 황휴복(黃休復)의 「익주명화록(益州名畵錄)」, 곽희(郭熙)의 「임천고치(林泉高致)」, 곽약허(郭若虛)의 「도화견문지(圖畵見聞志)」, 심괄(沈括)의 「몽계필담(夢溪筆談)」, 소식(蘇軾)의 「동파제발(東坡題跋)」, 동유(董?)의 「광천서발(廣川書跋)」?「광천화발(廣川畵跋)」, 정초(鄭樵)의 「통지(通志)」, 장계(張戒)의 「세한당시화(歲寒堂詩話)」, 강기(姜夔)의 「백석도인시설(白石道人詩說)」, 엄우(嚴羽)의 「창랑시화(滄浪詩話)」, 사진(謝榛)의 「사명시화(四溟詩話)」, 왕세정(王世貞)의 「예원치언(藝苑?言)」, 호응린(胡應麟)의 「시수(詩藪)」, 동기창(董其昌)의 「화선실수필(畵禪室隨筆)」, 원굉도(袁宏道)의 「원중랑집(袁中郞集)」, 왕기덕(王驥德)의 「곡률(曲律)」, 서상영(徐上瀛)의 「계산금황(溪山琴況)」, 계성(計成)의 「원야(園冶)」, 장대(張岱)의 「도암몽억(陶庵夢憶)」.
6. 청대(淸代): 금성탄(金聖嘆)의 「수호전」 평점(評點), 모종강(毛宗崗)의 「삼국연의(三國演義)」 평론, 이어(李漁)의 「한정우기(閑情偶寄)」, 주량공(周亮工)의 「척독신초(尺牘新?)」, 고염무(顧炎武)의 「일지록(日知錄)」, 왕부지(王夫之)의 「강재시화(薑齋詩話)」, 하이손(賀貽孫)의 「시벌(詩筏)」, 엽섭(葉燮)의 「원시(原詩)」, 석도(石濤)의 「화어록(畵語錄)」, 원매(袁枚)의 「수원시화(隨園詩話)」, 장학성(章學誠)의 「문사통의(文史通義)」, 황월(黃鉞)의 「이십사화품(二十四畵品)」, 유희재(劉熙載)의 「예개(藝槪)」, 량치차오(梁啓超)의 「음빙실문집(飮?室文集)」, 왕궈웨이(王國維)의 「인간사화(人間詞話)」.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