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청각학 개론 = Introduction to audiology
청각학 개론 = Introduction to audiology / 한국청각학교수협의회 편저
내용보기
청각학 개론 = Introduction to audiology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99712364 93510 : \22000
DDC  
617.8-23
청구기호  
617.8 ㅎ259ㅊ2
단체저자  
한국청각학교수협의회
서명/저자  
청각학 개론 = Introduction to audiology / 한국청각학교수협의회 편저
판사항  
2판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7
형태사항  
428 p. : 삽화, 도표 ; 27 cm
주기사항  
공저자명 : 최철희, 이지영, 한우재, 이재희, 김진숙, 조수진, 이겨원, 이정학, 장현숙, 이호기, 방정화, 이효정, 김형종, 진인기, 김규상
서지주기  
참고문헌(각장 권말)과 찾아보기(p. 422-428) 수록
일반주제명  
청각학
키워드  
청각학 청각학개론
기타저자  
김형종 , 1957-
기타저자  
김규상 , 1961-
기타저자  
진인기 , 1982-
기타저자  
이효정
기타저자  
이호기 , 1961-
기타저자  
이정학
기타저자  
조수진
기타저자  
이재희
기타저자  
이지영
기타저자  
최철희
기타저자  
한우재
기타저자  
김진숙 , 1960-
기타저자  
이경원
기타저자  
장현숙
기타저자  
방정화
책소개  
국내외에서 신생아 청각선별검사의 대중화로 선천성 난청의 발견 연령이 낮아지고, 첨단산업화로 소음성 난청의 발현이 많아지며, 인구 형태가 고령화 중심으로 변하여 노인성 난청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난청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청각장애에 대한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청능사 자격검정원에서 시행한 자격시험 응시자는 총 3,000명이 넘고 그중 합격자는 2,000명 정도이다. 이러한 자격을 갖춘 청능사들은 각 분야에서 명실공히 청각장애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며 사회의 한 축을 이루는 전문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청각학 개론』은 청능사들의 입문서로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번 2판도 청각장애 관련 다른 분야 전문가, 청각장애인 및 기타 많은 사람이 청각장애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를 기대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65121 617.8 ㅎ259ㅊ2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