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근대문화사 읽기로서의) 조선 연극사
(근대문화사 읽기로서의) 조선 연극사 / 지음: 인나미 고이치  ; 옮김: 김일권 ; 이에나가유코
내용보기
(근대문화사 읽기로서의) 조선 연극사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28507979 94380 : \45000
ISBN  
9788928501397 (set) 9438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792.0951-23
청구기호  
792.0951 ㅇ963ㅈㄱ
서명/저자  
(근대문화사 읽기로서의) 조선 연극사 / 지음: 인나미 고이치 ; 옮김: 김일권 ; 이에나가유코
원서명  
[원표제]朝鮮の演劇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16
형태사항  
476 p. : 삽화 ; 24 cm
총서명  
한국근대 민속·인류학자료 번역총서 ; 10
총서명  
민속원 ; 1290
주기사항  
권말부록: 인형극·꼭두각시극 각본 ; 가면무용극 산대극각본·봉산탈 각본 ; 「악학궤범樂學軌範」·「진연의궤進宴儀軌」해제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52
기금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과제번호 AKS-2013-OLU-2250001 와세다 대학 한국학 연구 및 교육 진흥 5개년 계획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임
언어주기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일반주제명  
한국 연극[韓國演劇]
기타저자  
인나미 고이치 , 1903-2001
기타저자  
이에나가 유코
기타저자  
김일권
통일총서명  
한국근대 민속·인류학자료 번역총서 ; 10
통일총서명  
민속원 ; 1290
기타저자  
印南高一
기타저자  
인남고일 , 1903-2001
기타저자  
가영우자
책소개  
이 책을 지은 인나미 고이치印南高一(1903~2001)는 일본 나가노현長野縣 출신으로, 1931년에 외무성 만주철도의 요청으로 조선과 만주, 몽고, 중국에 수차례 연극사정을 조사하였는데, 이때의 조사경험 등을 바탕으로 쓴 것이 『조선의 연극』(北光書房, 1944.9)이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었다.「제1부 서설」은 조선 연극의 성격과 기원, 양상에 관련되는 고대 연극사를 개괄하였고, 「제2부 조선의 고전극」은 다시 세 장으로 갈라 제1장 ‘조선가면극’에는 검무, 처용무 등의 신라 가면극 및 나례, 산대도감, 산대잡극, 봉산탈 등에 관한 고려 가면극을 다루었고, 제2장은 ‘조선인 형극’으로 꼭두각시극과 만석승극을 주로 다루었으며, 제3장 ‘조선의 구극舊劇’은 창우와 광대의 약 전, 창극조의 장단과 조직 등을 다루었다.「제3부 조선의 신극新劇」은 당시의 상황과 조선국민연극의 활동 현황을 위주로 서술하였다. 부록으로 1.인형극·꼭두각시극 각본, 2.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65262 792.0951 ㅇ963ㅈㄱ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