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미디어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 조선문학(1946~2019)의 문학 문화사 연구
(미디어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 조선문학(1946~2019)의 문학 문화사 연구 / 김성수 지음
내용보기
(미디어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 조선문학(1946~2019)의 문학 문화사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2445020 93810 : \55,000
DDC  
811.09-22
청구기호  
811.09 ㄱ776ㅂ
저자명  
김성수(金成洙) , 1959-
서명/저자  
(미디어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 : 조선문학(1946~2019)의 문학 문화사 연구 / 김성수 지음
원서명  
[기타표제]2020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0
형태사항  
633 p. : 삽도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301-311
기금정보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6A4A01018536)
일반주제명  
북한 문학[北韓文學]
일반주제명  
문학 평론[文學評論]
책소개  
북한문학을 대표하는 문예 기관지,
월간 『조선문학 』(1946~2019)에 대한 총체적 연구 보고서

본 저서는 지금까지 북한 학계에서 별반 주목받지 못했던 문예지의 미디어적 속성에 주목,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 내용을 새롭게 보게 할 것이라는 착상에서 출발한다. 미디어가 전달하는 내용도 그 자체로 가치 있지만 미디어 자체, 형식미가 수용자의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흔히 문학 독자들은 작품의 내용과 메시지에만 집중하고 작품이 실린 매체 양식에는 별로 관심을 두는 것 같지 않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문예지’ 자체보다는 책에 담긴 ‘시, 소설’ 같은 문학작품에 담긴 내용과 그를 통해 시인과 작가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메시지가 세상을 변화시킨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책이라는 미디어에 담긴 콘텐츠가 무엇이든 간에 ‘문예지’나 ‘시집, 소설집’ 같은 책 자체가 지식을 전파하고 감정에 호소해서 사람들의 생각과 삶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발상 전환도 가능하다. 미디어 형식 자체로도 사람과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69808 811.09 ㄱ776ㅂ 비전센터 3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0169809 811.09 ㄱ776ㅂ c.2 비전센터 3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