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 2016-2021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 2016-2021 / 옥성득 지음
내용보기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 2016-2021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1291994 03230 : \20,000
DDC  
275.1-23
청구기호  
275.1 ㅇ474ㅅ
저자명  
옥성득 , 1959-
서명/저자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 : 2016-2021 / 옥성득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새물결플러스, 2021
형태사항  
439 p. ; 23 cm
책소개  
드라마 “시그널”에서는 현재의 형사가 과거의 어느 형사와 무전기를 통해 대화하게 되면서 사건을 해결해간다. 두 형사가 서로의 상황에서 단서를 얻어, 부당한 일을 바로잡고 소중한 것을 지키려고 노력한 결과로 드라마 속 ‘과거’와 ‘현재’가 바뀐다. 『쇠퇴하는 한국교회와 한 역사가의 일기』의 저자 옥성득 교수는 지난 35년이 넘는 시간 동안 과거로부터 전달된 수많은 무전(사료)을 해독하며 지내온 한국교회사가다. 이 책에서는 역사가로서 과거와의 대화에 천착해온 그의 현재에 대한 직접적 독해를 엿볼 수 있다. 본서는 지난 5-6년간 사회적 신뢰를 잃고 쇠퇴하는 한국교회를 멀리서 바라보며 틈틈이 일기처럼 적어둔 저자의 단상을 모은 책이다. 기록 당시의 생생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잘못이나 문제점을 일관된 관점으로 비판하면서 나름의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때그때의 현안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이 일관되게 비판하는 문제를 크게 정리하자면 대형 교회 세습과 목회자 표절 문제, 기업형 교회 패러다임, 현실에서 유리된 서구중심적 신학, 국수주의와 혼합된 세대주의 종말론, 개신교 극우주의 등이다. 특히 대형 교회 세습 문제에 관해서는 교단의 재판 경과를 추적해가면서 신사 참배에 비견되는 죄악이라고 할 만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2017년 “세례 요한은 왜 세습하지 않았나?”, 2018년 “통합 총회 세습 재판일에 고함”, 2019년 “교회 세습은 성직 매매이자 적그리스도 행위” 외 다수의 글이 있다. 2018년 당시 SNS상에 공개되었던 저자의 통합 목사직 사직서 내용의 일부는 JTBC 뉴스룸 앵커브리핑에 인용되기도 했다.
2017년 “교회는 사업하는 회사가 아니다”를 비롯한 여러 글에서는 소수 대형 교회의 독점이 낳은 부작용을 언급하며 급진적인 개혁을 촉구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에 기업형 교회 패러다임이 빠르게 정착한 경위를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개혁의 구체적인 방향도 간단히 제시한다. 2020년 “신학과 신학 서적의 영미 종속”을 비롯한 몇몇 글에서는 번역서가 기독교 출판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한국 저자가 활약하지 못하며, 한국교회의 개혁에 기여할만한 고유의 신학이 발달하지 못하는 원인을 설명하고 변화를 촉구한다. 2018년 “한국인은 선민이 아니다”, 2020년 “윈 형제의 『백 투 예루살렘』 비평적 읽기” 등에서는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 전반에 깔려 있는 국수주의와 그에 혼합된 세대주의적 종말론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역사적 근거가 부족한 해석들도 지적한다. 2019년 “샤머니즘 탓인가?”에서는 한국교회의 기복 신앙적 측면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보는 관점을, “3·1 운동에 대한 내연과 외연의 문제”에서는 ‘대부흥 운동’이라는 내연이 ‘3·1 운동’으로 외연했다고 보는 관점을, 2021년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은 신화에 불과”에서는 1920년대의 평양을 성시로 보는 관점을 역사적 근거나 논리가 약한 주장으로 비판하면서, 근거에 기반한 명확한 해석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2019년 “한기총의 기독교 정권론”과 2020년 “전광훈은 역사 왜곡을 중단하라”에서는 이승만 정권을 기독교 정부로 보는 관점 역시 역사를 너무 단순하게 보는 것이라며 조목조목 비판했고, 2020년 “성 지향이 아니라 정치 지향이 한국교회를 망친다”, 2021년 “좌파냐 우파냐” 등에서는 개신교 극우주의와 좌우 대립 문제에 관해도 역사적 근거에 따른 저자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성경은 “그러므로 어디서 떨어졌는지를 생각하고 회개하여 처음 행위를 가지라…”(계 2:5)고 당부한다. 과거를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다면 현재의 실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문제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 회개하려면 정확히 “어디서 떨어졌는지”, “처음 행위”가 과연 무엇이었는지 성실하고 정직하게 돌아봐야 한다. 저자 옥성득 교수는 지금까지 『다시 쓰는 초대 한국교회사』나 『한국 기독교 형성사』 등에서 과거에 관한 치밀한 작업을 통하여 잘못 알려진 교회사를 바로잡고 보다 진실한 그림을 그려내기 위해 분투하였으며 뚜렷한 학문적 성과를 냈다. 그의 눈에 비친 오늘날의 현상에 대한 기록은 그 자체만으로도 중요한 사고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 깊이 있고 흥미로운 저자의 세계로 초대하는 초청장이 될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0280 275.1 ㅇ474ㅅ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