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뮤지컬 가창과 실용보컬을 위한) 벨팅 테크닉 = Belting techniques for musical and contemporary singing
(뮤지컬 가창과 실용보컬을 위한) 벨팅 테크닉 = Belting techniques for musical and contempor...
내용보기
(뮤지컬 가창과 실용보컬을 위한) 벨팅 테크닉 = Belting techniques for musical and contemporary singing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5191313 93670 : \13000
DDC  
781.04-23
청구기호  
781.04 ㅁ482ㅂ
서명/저자  
(뮤지컬 가창과 실용보컬을 위한) 벨팅 테크닉 = Belting techniques for musical and contemporary singing / 명현진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2021
형태사항  
206 p. : 삽화, 도표 ; 23 cm
주기사항  
박영스토리는 박영사와 함께하는 브랜드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발성법[發聲法]
일반주제명  
가창법[歌唱法]
기타저자  
명현진
책소개  
벨팅이란 무엇인가?

벨트 보이스는 현대 뮤지컬 가창이나 실용음악 보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발성법의 하나로 ‘파워풀한’, ‘소리가 큰’, ‘열정적인’, ‘드라마틱한’과 같은 긍정적인 인지와 함께 ‘시끄러운’, ‘날카로운’, ‘위험한’, ‘불편한’처럼 부정적인 이미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음성적 표현 방식입니다. 이 두 가지의 상반된 인식은 벨트의 소리 강도가 타 보컬 스타일과 비교해 두드러지게 높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과거에는 벨트 보이스를 음성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음색으로 여기고 비주류의 가창 테크닉으로 간주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벨팅을 자연스럽고 클래식 발성보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음성의 색과 가깝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현재는 많은 뮤지컬과 팝이나 록과 같은 실용음악 보컬에서 필수적인 가창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실용보컬에서는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 머라이어 캐리Mariah Carey, 비욘세Beyonce, 셀린 디온Celine Dion, 제니퍼 허드슨Jennifer Hudson, 한국의 경우 이선희, 소향, 에일리, 하현우, 김범수 등의 팝 가수가 곡의 절정 부분에서 많이 사용하는 창법입니다. 대체로 성대의 닫힘close phase이 강하기 때문에 파워풀한 음색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고 있지만, 개인이 가진 성대 질량과 공명기관의 형태, 그리고 벨팅 구사 기술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청각적으로 성량, 소리의 두께, 공명감에 차이를 보입니다.
뮤지컬에서의 벨팅은 처음에 ‘재미있고’, ‘시끄러운’ 전형적인 일부 여자 캐릭터(에설 머먼Ethel Merman의 동영상 참고)에만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캐릭터의 기쁨과 분노, 절망과 같은 감정적 클라이맥스(뮤지컬 위키드Wicked의 ‘중력을 벗어나’Defying Gravity나 겨울왕국Frozen의 ‘렛 잇 고’Let it go 동영상 참고)를 표현하거나 특정 음악 장르의 뮤지컬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이러한 벨팅에 대한 대중적 요구와 더불어 벨트 음성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서야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세부적 연구가 필요한 가창 분야입니다. 음성을 다루는 사람들 간에도 벨트의 발성적 특징에 대한 컨센서스가 부족하며 특히 벨팅의 호흡법, 보컬 레지스터, 남성 벨트, 음역대에 대한 다른 견해를 보입니다. 하지만 성대나 성도의 물리적 모양 및 움직임에 대해서는 벨트 음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비교적 일치된 의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벨팅을 가르치는 보컬 코치나 교수들은 음성 건강을 해치지 않는 건강한 벨팅은 ‘쉽게 소리 나고’, ‘소리가 갇힘 없이 자유롭고 열린’, ‘음성기관 및 근육의 과도한 긴장이나 수축이 없는’ 음질이어야 하며 반대로 벨트 보이스 프로덕션에서 누르는 발성이나 성대를 너무 두껍게 또는 음역에 따른 변화 없이 유지하려 하고, 과도한 호흡(공기의 양)의 사용은 음성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호흡 근육과 발성 근육의 적극적 관여가 무엇보다 필요한 음성 형태인 만큼 음성기관의 손상에 대한 높은 리스크를 안고 있지만, 필요 근육 강화와 함께 유연한 활용 능력을 갖춘다면 잘못된 벨트 발성으로 인한 위험성에서 벗어나 드라마틱하고 비교 불가능한 음성의 세계를 맛보게 될 것입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73045 781.04 ㅁ482ㅂ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