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호렵도 : 삶의 환희를 담은 사냥 그림
호렵도 : 삶의 환희를 담은 사냥 그림 / 이상국 지음
내용보기
호렵도 : 삶의 환희를 담은 사냥 그림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89706159 04600 : \20000
DDC  
759.111-23
청구기호  
759.111 ㅇ748ㅎ
저자명  
이상국
서명/저자  
호렵도 : 삶의 환희를 담은 사냥 그림 / 이상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다할미디어, 2020
형태사항  
264 p. : 천연색삽화 ; 21 cm
총서명  
한국의 채색화 모던하게 읽기 ; 2
주기사항  
다할미디어는 에스앤아이팩토리의 출판 브랜드임
일반주제명  
민화(그림)
키워드  
사냥 그림 호렵도 민화 채색화
통일총서명  
한국의 채색화 모던하게 읽기 ; 2
책소개  
호렵도만의 독특한 의미,
새로운 미술사적 위상을 찾아서

민화와 궁중회화 등 우리나라 전통 채색화를 새롭게 해석하는 미술사 시리즈 ‘한국의 채색화 모던하게 읽기’ 2권이 나왔다. 〈삶의 환희를 담은 사냥 그림 호렵도〉이다.
호렵도(胡獵圖)는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의 사냥 그림’을 가리킨다. 흔히 ‘몽고족’의 사냥 그림으로 알고 있거나 ‘호랑이 사냥 그림(虎獵圖)’으로 이해하는 것은 오류다. 이 책은 청나라 사냥 그림(수렵도)이 중국의 선진문물을 배우러 간 조선 사신(화원)들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해지고, 이것이 민중에까지 널리 보급, 민화로 안착한 궤적을 밝혔다.
특히 시리즈 1권 〈세계를 담은 조선의 정물화 책거리〉에서 풍속화가로 잘 알려진 김홍도가 “능숙한 서양화법으로 책거리를 그렸”음을 밝힌 바 있는데, 〈호렵도〉에서도 조선에서 처음 호렵도를 그린 화가로 김홍도를 지목한 점은 흥미로운 대목이다. 당시 부연사행(赴燕使行)에 참가한 김홍도가 청나라 수렵도를 접하고 〈음산대렵도〉를 그린 기록이 남아있다. 〈음산대렵도〉는 전해지지 않지만, 이후 조선에서 그려진 거의 모든 호렵도에 김홍도 화풍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를 조선 호렵도의 시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
민화의 화목 중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호렵도만의 독특한 미술사적 위상을 드러낸 것이 이 책의 남다른 미덕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74091 759.111 ㅇ748ㅎ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