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네팔의 비주류 집단들 : 정체성의 정치, 귀속의 정치
네팔의 비주류 집단들  : 정체성의 정치, 귀속의 정치 / 박정석 지음
내용보기
네팔의 비주류 집단들 : 정체성의 정치, 귀속의 정치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28514632 94380 : \25,000
ISBN  
9788928503599(세트)
DDC  
320.95496-22
청구기호  
320.95496 ㅂ474ㄴ
저자명  
박정석
서명/저자  
네팔의 비주류 집단들 : 정체성의 정치, 귀속의 정치 / 박정석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20
형태사항  
261 p. : 지도 ; 23 cm
총서명  
민속원 아르케북스 ; 168
주기사항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원도서』로 지원 받음.
책소개  
네팔, 포용의 정치와 포용의 시대를 거쳐 정체성의 정치, 귀속의 정치로 거듭나다. 1990년대 이후 산록지역 비주류 집단들은 네팔사회가 포용의 시대, 포용의 정치로 나아가자 이에 힘입어 정체성의 정치를 구사하였다. 기존의 문화적 부정의와 경제적 부정의를 탈피하는 것은 물론 사회정치적으로 보다 많은 기회와 혜택을 얻고자 저마다 자신들의 변별적 정체성을 강조하면서 지분경쟁에 돌입하였다. 네팔에서 정체성의 정치는 마오이스트 주도의 인민봉기 및 연방제 담론과 어우러지면서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네팔 민족주의를 주창하였던 힌두왕국에서 비-힌두이면서 비-네팔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인종적으로 몽골계통에 속하는 종족집단은 하층 카스트 혹은 주변부 집단으로 간주되었을 뿐 아니라 ‘힌두화’ 혹은 ‘네팔화’의 대상이었다.

귀속의 정치와 마데시. 네팔에서 귀속의 정치는 지배층 혹은 주류세력들이 비주류 집단들에게 붙여 놓았던 오명과 집단 정체성을 거부하고 네팔국민으로 의 귀속을 요구하는 정치적 운동으로 나타났다. 인도계 이주민이 대다수였던 테라이 주민들 즉, 마데시는 대대적인 봉기를 통해 자신들에게 덧붙여진 ‘인도인’이라는 표지와 편견을 거부하면서 네팔인으로의 귀속과 인정투쟁을 감행하였다. 상대적으로 산록지역 종족집단들은 종족 부흥운동을 통해 카스트 힌두와 구별되는 자신들만의 변별적 문화를 강조하면서 정체성의 정치를 도모하였다. 반면 테라이 주민들은 지배층과 중앙정부를 향해 자신들을 ‘진정한’ 네팔국민으로 인정해달라며 귀속의 정치로 나아가고 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0930 320.95496 ㅂ474ㄴ 비전센터 3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0170931 320.95496 ㅂ474ㄴ c.2 비전센터 3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