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온지음이 차리는 맛
온지음이 차리는 맛 / 기획 및 진행: 온지음 기획실 ; 강혜경
Содержание
온지음이 차리는 맛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64562215 13590 : \38000
DDC  
641.5951-22
청구기호  
641.5951 ㅇ475ㅇ
단체저자  
온지음 기획실
서명/저자  
온지음이 차리는 맛 / 기획 및 진행: 온지음 기획실 ; 강혜경
발행사항  
서울 : 월드컬처오픈 화동문화재단 부설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 2016
형태사항  
247 p. : 천연색삽화 ; 30 cm
주기사항  
요리: 온지음 맛공방, 조은희, 박성배, 강창기, 안태용, 심수정
주기사항  
자문: 정혜경, 호서대학교
기금정보  
이 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재단의 '2015 한식셰프 활동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비 중 일부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음
기타저자  
강혜경
기타저자  
조은희
기타저자  
박성배
기타저자  
강창기
기타저자  
안태용
기타저자  
심수정
기타저자  
정혜경
기타저자  
온지음 맛공방
기타저자  
호서대학교
책소개  
전통문화연구소 온지음이 현대화된 반가 일상식을 선보이다!

‘온지음’이 차려내는 사계절 반가 일상식 『온지음이 차리는 맛』. 서울의 도심 한복판, 조선의 대표 궁궐 경복궁이 고층 빌딩숲에 둘러싸여 있고, 인왕산을 병풍처럼 끼고 앉은 서촌 한옥들 사이를 현대식 건물들이 비집고 들어서 있는 곳. 전통과 현대가 아름답고도 묘한 조화로 공존하는 그곳에 바로 온지음이 자리하고 있다. 온지음에서는 우리 전통 한식의 원형을 가장 많이 간직한 음식이 무엇인지 고민하였고, 이를 조선 시대 오백년 도읍지였던 서울의 반가 음식(班家 飮食)으로 규정하였다. 책은 편안한 향토 음식이나 친숙한 길거리 음식도 지금의 한국의 맛에 의미가 있다 판단되면 반가 음식이 지난 맛과 멋의 체로 걸러내어 소개한다.

조선시대 양반가 음식인 반가 음식은 조선 시대 궁중 음식의 영향을 받은 양반가의 음식으로, 담백한 맛과 맵시, 영양의 균형, 검박하고 절제된 멋을 지닌 음식이다. 간이 짜거나 맵지 않고 재료 고유의 맛과 향이 살아 있다. 책에서는 허균이 ‘기분 좋은 달콤한 향내’라고 표현한 방풍으로 만든 방풍죽, 무와 미나리로 만들어 궁중에서 즐겨먹었다는 석류만두, 선인들이 들과 산으로 나가 만들어 먹던 진달래 화전, 토마토를 즙내어 얼린 다음 단새우를 넣은 단새우 물회, 민어 부레에 갖은 양념한 쇠고기와 두부를 넣어 찐 어교 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반가 요리를 계절별로 나누어 소개한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не существует
  • моя папка
  • Первый запрос зрения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материал
Reg No.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статус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0074568 641.5951 ㅇ475ㅇ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