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현대사회와) 유아사회교육
(현대사회와) 유아사회교육 / 김미애 ; 노진형 ; 권이정 [공]지음
내용보기
(현대사회와) 유아사회교육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81604899 93370 : \22000
DDC  
372.83-22
청구기호  
372.83 ㄱ735ㅇ
서명/저자  
(현대사회와) 유아사회교육 / 김미애 ; 노진형 ; 권이정 [공]지음
원서명  
[대등표제]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발행사항  
고양 : 파워북, 2022
형태사항  
326 p. : 천연색삽화, 도표 ; 24 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키워드  
유아교육 사회교육 유아사회교육
기타저자  
김미애
기타저자  
노진형
기타저자  
권이정
책소개  
사회교육은 초 · 중등 교육과정 내에서는 ‘사회과교육’으로 불리지만 전통적으로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유아사회교육’이라는 명칭으로 통용되어 왔으며, 유아의 사회화에 초점을 두고 사회 · 정서 발달을 주된 사회교육 내용으로 다루어 왔다. 또한 유아사회교육은 그동안 내용지식에 대한 탐색을 등한시하고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초점을 두고 유아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두어 왔다. 많은 학자들은 유아사회과 교육을 위해 유아의 사회 · 정서 발달이 교육 내용이 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내용에 근거를 둔 교수법을 적용하는 지식인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 교사 전문성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초·중등 교과에서 사회과교육은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 경제학 등의 사회과학 지식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내용을 다루어 왔으며 이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교육에도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사회과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사회 · 정서 발달을 지도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과 관련 교수내용지식을 다루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융합시킬 수 있는 적용 능력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교재는 유아교사의 사회과 관련 교수내용지식을 발전시키고 사회과 관련 내용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융합시키는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되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교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현대사회에서의 유아 사회교육의 기초」부분(1장~4장)으로 현대사회의 특징, 현대사회에서 유아사회과교육의 특징, 유아사회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유아사회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다룬다.
제2부는「유아사회교육의 영역」(5장~10장)으로 정체성, 다문화, 역사, 지리, 경제, 시민교육을 포함하여 유아기 사회과교육을 위해 다루어야 할 내용을 사회과학 지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제2부의 각 장에서는 각 사회과학 지식영역의 개념 및 필요성, 관련 이론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의 적용 실제를 다루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76536 372.83 ㄱ735ㅇ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