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중국 문화콘텐츠에서 문사철(文史哲)을 읽다
중국 문화콘텐츠에서 문사철(文史哲)을 읽다 / 김진영 [외]지음
내용보기
중국 문화콘텐츠에서 문사철(文史哲)을 읽다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59968275 93000 : \13000
DDC  
306.40952-23
청구기호  
306.40952 ㄱ943ㅈ
서명/저자  
중국 문화콘텐츠에서 문사철(文史哲)을 읽다 / 김진영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경진출판, 2021
형태사항  
249 p. : 삽화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문화 콘텐츠[文化--]
일반주제명  
중국 문화[中國文化]
일반주제명  
중국 문학[中國文學]
기타저자  
김진영 , 1956- , 金進暎
기타저자  
최성경 , 1957- , 崔成卿
기타저자  
서재선 , 1965- , 徐再仙
기타저자  
공봉진 , 1967- , 孔鳳振
기타저자  
이강인 , 1969- , 李康仁
기타저자  
박미정
기타저자  
조윤경 , 1976- , 趙允卿
기타저자  
장지혜 , 1975- , 張智惠
책소개  
중국 문화콘텐트를 통해 문학, 역사, 철학을 읽다

이 책은 중국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알 수 있고, 드라마와 영화의 제재가 되는 문화원형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보다 보면 ‘문?사?철’ 3개 분야를 나눠 소개하고 있지만, 문학 속에 철학이 있고, 역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역사 속에 문학이 있고 철학이 있음을 알고, 철학 속에 역사가 있고 문학과 사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중국에서 제작되어지는 드라마나 상영되는 영화를 보면, 중국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문화정책과 일맥상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고지도자가 강조하는 사상과 철학이 담겨져 있기도 하다. 특히, 역사와 철학을 담고 있는 중국 문학 작품을 읽으면, 21세기의 중국을 아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중국의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되는 중국 문학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중국을 아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학 부분에서는 원대 잡극 〈조씨고아〉 소설 ≪수당연의≫, ≪열미초당필기≫ ≪평요전≫, ≪아큐정전≫, ≪임가포자≫, ≪홍까오량가족≫, ≪활착(살아간다는 것)≫, 진용을 비롯한 무협소설가들의 작품이 소개된다. 이들 극이나 소설들은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모옌의 작품 ≪홍까오량가족≫은 영화 〈붉은 수수밭〉의 원작이고, 위화의 소설 ≪활착≫은 영화 〈인생〉의 원작이다. 진용의 작품 중 〈사조영웅전〉〈신조협려〉〈의천도룡기〉는 드라마와 영화로 많이 제작되었고, 량위성, 구롱, 원루이안 등의 작품도 영화와 드라마로 많이 제작되었다. 다른 작품들에 비해 무협소설가의 작품은 영화와 드라마 및 게임으로도 제작되어 사람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역사부분에서는 드라마 〈대진제국〉시리즈, 드라마 〈치수의 신, 이빙전기〉, 드라마 〈염석전기〉, 드라마 〈주원장과 유백온〉, 영화 〈무훈전〉을 소개하고 있다. 〈대진제국〉시리즈를 시청하다 보면, 약소국이었던 진나라가 어떻게 하여 강대국이 되었고, 천하를 통일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오늘날 중국이 G2의 지위에 오른 것에 빗대어 볼 수 있다. 드라마 〈치수의 신, 이빙전기〉를 보면, 진나라의 역사를 알면서 촉(쓰촨) 지역의 자연환경, 민족 상황 등을 알 수 있다. 인간이 자연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을 엿볼 수 있다. 드라마 〈염석전기〉와 〈주원장과 유백온〉을 보다보면, 관료들의 청렴함을 일깨울 수 있다. 부정부패가 만연한 정치계에 경종을 주는 드라마이기도 한다. 〈염석전기〉는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주원장과 유백온〉은 명나라 건국초기를 배경으로 한다. 영화 〈무훈전〉은 청대의 무훈이라는 교육자를 주제로 하여 중국 건국초기에 제작되어 상영하였다가, 마오쩌둥을 중심으로 한 여러 지도자들의 비판으로 상영금지가 되었다. 이 영화를 통해 중국 건국 초기의 중국 정부가 지향하고 강조하였던 사상을 알 수 있다.
철학 부분에서는 〈공자〉〈노자〉〈손자〉〈묵자〉〈귀곡자〉 5명의 주제로 한 영화와 드라마를 소개하고 있다. 공자를 주제로 한 영화 〈공자: 춘추전국시대〉, 노자를 주제로 한 드라마 〈노자〉, 손자를 주제로 한 〈손자대전〉〈손자병법〉〈와신상담〉, 묵가 사상을 주제로 한 영화 〈묵공〉, 귀곡자를 주제로 한 〈귀곡자〉가 있다. 공자의 ≪논어≫, 노자의 ≪도덕경≫, 손자의 ≪손자병법≫, 묵자의 ≪묵가≫ 사상은 오늘날 리더십을 강연할 때 많이 활용되어 진다. 원문을 보면 다소 어려운 듯 하지만, 철학과 리더십을 결합시킨 책을 보면 오늘날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남을 배려하는 마음, 자신과 사회와 국가를 위하는 마음, 조직에서의 생활 등을 알 수 있다. 책에 소개되는 철학 서적을 보면, 오늘날 디지털 시대 속에 살아가면서 잊고 사는 ‘자아’에 대해 한 번 쯤 생각하게 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76915 306.40952 ㄱ943ㅈ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