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모태독성학 = Maternal-fetal toxicology : 의료인과 독성전공자를 위한 가이드
모태독성학 = Maternal-fetal toxicology  : 의료인과 독성전공자를 위한 가이드 / 대표저자: 한...
내용보기
모태독성학 = Maternal-fetal toxicology : 의료인과 독성전공자를 위한 가이드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59559259 93510 : \150000
DDC  
618.3-23
청구기호  
618.3 ㅎ361ㅁ3
서명/저자  
모태독성학 = Maternal-fetal toxicology : 의료인과 독성전공자를 위한 가이드 / 대표저자: 한정열 ; 일러스트: 김경열
판사항  
셋째판
발행사항  
파주 : 한국마더세이프, 2022
형태사항  
1221 p. : 천연색삽화, 도표 ;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기형학[畸形學]
일반주제명  
독물학[毒物學]
일반주제명  
임신부[姙娠婦]
기타저자  
한정열 , 1964- , 韓正烈
기타저자  
곽호석
기타저자  
김경아
기타저자  
김규봉 , 1969- , 金奎奉
기타저자  
김대희
기타저자  
김민형
기타저자  
김세정
기타저자  
김연희 , 1974- , 金硏希
기타저자  
김은경
기타저자  
김일동 , 1972- , 金佾東
기타저자  
김종춘
기타저자  
김진우
기타저자  
나성훈 , 1973- , 羅成焄
기타저자  
남상윤 , 1965- , 南相允
기타저자  
류현미 , 1964- , 柳賢美
기타저자  
박대의 , 1975-
기타저자  
박찬우
기타저자  
박찬욱 , 1972-
기타저자  
부혜연
기타저자  
신동렬
기타저자  
신찬영 , 1969- , 申燦榮
기타저자  
안기훈 , 1975- , 安基勳
기타저자  
안범수 , 1974- , 安範洙
기타저자  
안현경
기타저자  
양준영
기타저자  
오경준 , 1974- , 吳炅俊
기타저자  
유욱준
기타저자  
육지형
기타저자  
윤석남
기타저자  
이봄이
기타저자  
이수영
기타저자  
이승미 , 1977- , 李承美
기타저자  
이유경
기타저자  
이진수
기타저자  
이해국
기타저자  
이희철
기타저자  
임지혜
기타저자  
전이경
기타저자  
정고운
기타저자  
정문구
기타저자  
조금준 , 1975- , 趙金俊
기타저자  
조연경
기타저자  
차선화
기타저자  
최은정
기타저자  
최준식
기타저자  
최진호
기타저자  
한유정
기타저자  
한정열
기타저자  
현태선 , 1960- , 玄泰銑
기타저자  
홍달수
기타저자  
홍성연 , 1969- , 洪性然
기타저자  
홍순철 , 1971-
기타저자  
김경열
기타저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책소개  
2009년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임신부, 모유수유부, 그리고 예비임신부부들이 노출될 수 있는 약물, 알코올, 흡연 등의 유해물질에 관한 교과서라 할 수 있는 모태독성학(Maternal Fetal Toxicology) 초판이 발간되었다. 이어서 2016년에 2판을 출간하였고, 이번 2022년 3판을 출간하고 있다. 대략 5년 주기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데, 이번 개정판에서는 코로나 19 팬데믹에 관해 먼저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다. COVID-19통계에 의하면 2022년 8월 17일 오늘 전세계적으로 확진자는 5.9억명 사망자는 644만명, 국내 확진자는 2,170만명, 사망자는 25,752명이다. COVID-19가 우리의 평온한 일상뿐만 아니라 과학계, 의료계에도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모태독성학분야에서도 특히 호흡기 감염병에 취약한 임신부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다행히 COVID-19와 백신이 선천성기형을 증가시킨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음이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진다.
이번 3판에서는 당연히 COVID-19와 임신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임신부에서 약물관련하여서는 2판에서 미국 FDA의 임신부 약물등급 A, B, C, D. X의 폐기가 주 이슈였다면 이번 3판에서는 여드름약으로 가임기여성들의 처방빈도가 높고 기형유발성이 높은 이소트레티노인의 임신예방프로그램인 RMP가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해 국내 도입되었지만 Non-compliance로 여전히 많은 임신부들이 노출되고 있다는 것이 중요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국내 초저출산과 맞물려 임신부의 유해환경으로 음주, 흡연, 방사능물질 그리고 환경호르몬이 고전적이면서 다빈도 이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만혼에 따른 고령임신과 태아이상을 위한 염색체 및 유전자이상을 스크린하고 진단하기 위한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의 염색체 NIPT와 최근 임상에서 검사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검사(CMA)에 관한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다.
또한, 영국의 역학자 Barker의 이론인 FOAD (fetal origin of adult disease)에 근거한 예비임신부의 관리는 지역기반으로 2017년부터 서울시의 4개지자체에서 시범사업 후 2021년부터는 서울시 25개지자체로 확대하여 매년 임신을 준비하는 가임남녀 1만명이상에게 설문과 Lab. 검사를 통한 위험요인평가와 상담 그리고 전문기관연계를 진행하고 있다. 여성 참여자의 30%정도가 35세이상으로 고령임신 고위험군일 뿐만 아니라 난임 위험군에 속해 있는 상태여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임신부 및 모유수유부의 약물 등의 위험요인 노출에 관한 콜센터(☎1588-7309) 운영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3년째 수행하고 있다. 현재 중앙콜센터는 서울의 국립중앙의료원에 있으며 거점지역센터로 부산, 대전, 광주, 대구, 울산에 있어서 네트워크화 되어 온·오프라인 정보 제공을 하고 있다. 2021년에는 18,000건의 콜이 있었다. 2022년에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콜이 더욱 늘어 3만건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3판에는 콜 데이터와 관련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신부, 모유수유부의 약물, 한약 등의 evidence의 업데이트를 진행하였다. 이소트레티노인의 경우 매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이슈가 될 정도로 중요기형유발물질로 본 센터에서 모니터링을 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부터 임신부 이소트레티노인 상담 콜 건수가 거의 2천건 정도이다. 이들 중 50%이상이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심각한 지경이다.
또한, 국가기관에서 승인된 가습기살균제임에도 지난 10여년전 이를 사용했던 상당수의 임신부 및 영유아의 희생을 보면서 더 이상 이런 사건이 생기지 않도록 양호한 임신 및 육아환경을 조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센터에서는 2020년부터 특허청에서 TwoSafe® 상표 승인을 받아서 임산부들이 사용하는 영양제 및 화장품 등을 Peer review 평가를 통해 임산부 영유아 안전제품 제공을 위해 기업들에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번 3판에서 인체위해평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번 3판에서 다루지 못하고 향후 5년 후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남겨둘 수 밖에 없는 내용들로는 2019년 4월 낙태죄폐지로 촉발된 인공임신중절약 미프진의 안전 및 생식독성 이슈, 그리고 2021년 12월 국회에서 통과되고 2023. 1월부터 시행될 근로자들의 태아산재보상보험법에 관한 유산, 조산, 사산, 그리고 선천성기형에 대한 이슈를 남겨두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Barker의 이론인 FOAD에 대한 evidence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돕고, 잘못된 정보 misinformation으로 인한 잘못된 오해 misperception으로부터 보다 많은 태아가 세상의 밝은 빛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78053 618.3 ㅎ361ㅁ3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