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벽계만지 역주
벽계만지 역주 / 왕작 지음  ; 김현주 ; 이태형 역주
내용보기
벽계만지 역주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59056123 93820 : \23,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본문언어 - chi, 원저작언어 - chi
DDC  
812.109-25
청구기호  
812.109 ㅇ489ㅂㄱ
저자명  
왕작(王灼) , 1105-1175
서명/저자  
벽계만지 역주 / 왕작 지음 ; 김현주 ; 이태형 역주
원서명  
[원표제]碧鷄漫志
원서명  
[대등표제]Translation with annotation on Bijimanzhi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21.
형태사항  
303 p. ; 24 cm.
총서명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 287
주기사항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서지주기  
색인수록
언어주기  
漢韓대역본임
기타저자  
김현주(金賢珠)
기타저자  
이태형(李泰衡) , 1974-
책소개  
『벽계만지』는 사학연구에서 사의 기원, 사조, 풍격 등에 대해 처음으로 체계적 이론을 세운 중요한 이론서다.
사의 시대적 사명이라는 혁신적 시각을 갖고 사의 기원, 사의 내용과 풍격, 사와 음악의 관계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체계적인 관점으로 일관되게 이론화한 역작이다. 왕작은 당오대와 북송시기 문인들이 다투어 써냈던 여성적이고 완약한 풍격의 사보다는 이민족과의 전쟁으로 깊어진 우환의식을 격정적이고 호방한 풍의 사로 표현하려는 창작태도를 높이 평가하여, 소식과 신기질의 사를 높이고 화간과 유영 일파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또한, 사는 시와 마찬가지로 옛 노래가 변하여 나타났다는 기원설을 주장하며 작품의 음악성보다 내용을 따졌고, 통속적인 염사보다는 고상한 필치의 아사를 내세움으로써 사를 시와 대등한 장르로 인식하려고 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2218 812.109 ㅇ489ㅂㄱ 진리동 1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0172219 812.109 ㅇ489ㅂㄱ c.2 진리동 1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