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동아시아 서원의 기원과 제의례의 완성
동아시아 서원의 기원과 제의례의 완성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내용보기
동아시아 서원의 기원과 제의례의 완성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97170553 93910 : \33,000
DDC  
370.95-23
청구기호  
370.95 ㅇ343ㄷ
단체저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명/저자  
동아시아 서원의 기원과 제의례의 완성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발행사항  
서울 : 온샘, 2021
형태사항  
x, 378 p. : 삽화, 초상 ; 24 cm
총서명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총서 ; 46
주기사항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교육 기관[敎育機關]
일반주제명  
서원(조선교육제도)[書院]
일반주제명  
의례(의식)[儀禮]
주제명-지명  
동아시아[東--]
기타저자  
김자운 , 1975- , 金紫雲
기타저자  
덩훙보 , 1961-
기타저자  
란자윈
기타저자  
류준형 , 1975- , 柳浚炯
기타저자  
이광우 , 1979- , 李光宇
기타저자  
이병훈 , 1977- , 李炳勳
기타저자  
이우진 , 1974- , 李愚辰
기타저자  
임근실 , 1985- , 林勤實
기타저자  
자오웨이
기타저자  
채광수 , 1978- , 蔡光洙
기타저자  
한재훈 , 1971- , 韓在壎
기타저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기타저자  
등홍파 , 1961- , 鄧洪波
기타저자  
란갑운 , 兰甲云
기타저자  
조위 , 趙偉
책소개  
서원이 가진 유교 문화의 함축성에 주목하여,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을 넘어 세계에서 한국의 서원이 가지는 특수성을 밝히고
그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 진행

서원은 한국과 중국ㆍ일본ㆍ베트남ㆍ대만 등지의 유교 문화권에서 발흥하였다. 한국의 서원은 2019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그 탁월한 보편적 가치와 진정성, 완전성을 널리 공인받았지만, 한국 서원의 구체적 운영 실상과 외부적 네트워크 체계를 규명하는 작업은 자료와 연구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답보 상태에 있다. 이 책은 국내외 서원을 조사 연구하고 동아시아의 서원과 서양의 대학에 관한 비교사적 연구를 통해 한국 서원이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고, 박제화된 서원 문화자원의 현대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1부 〈동아시아 서원 제도의 기원과 변화〉에서 한국과 중국 서원의 설립 배경을 재조명하면서 기존 연구의 오류를 수정하는 성과를 거두었고, 나아가 일본과 베트남 서원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했다. 제2부 〈서원 의례의 유형과 특징〉에서는 서원 설립의 한 요인이었던 제향 관련 의례와 함께 기타 서원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각종 의례에 관한 실제 사례를 확인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1994 370.95 ㅇ343ㄷ 진리동 1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0171995 370.95 ㅇ343ㄷ c.2 진리동 1서고 대출불가 대출불가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