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사심리학 : 범죄자 프로파일링과 범죄 행위 분석
수사심리학  : 범죄자 프로파일링과 범죄 행위 분석 / David Canter ; Donna Youngs 공저  ; 강...
내용보기
수사심리학 : 범죄자 프로파일링과 범죄 행위 분석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88999728655 93180 : \28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DDC  
364.3-23
청구기호  
364.3 C229iㄱ
저자명  
Canter, David V.
서명/저자  
수사심리학 : 범죄자 프로파일링과 범죄 행위 분석 / David Canter ; Donna Youngs 공저 ; 강선 ; 김시업 공역
원서명  
[원표제]Investigative psychology : offender profiling and the analysis of criminal action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23
형태사항  
572 p. : 삽도 ; 26 cm
주기사항  
찾아보기: p. 567-572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43-566
기타저자  
Youngs, Donna
기타저자  
강선
기타저자  
김시업
기타저자  
캔터, 데이비드 V.
기타저자  
영스, 도나
책소개  
이 책은 범죄를 추리하고 범죄자를 추적하는 수사관의 시각에서 범죄자들의 심리, 행동, 그리고 범죄 현장에서 어떠한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해 나가야 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출간된 범죄심리학 서적들과는 관점의 시작을 달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들은 심리학이라는 과학을 통해 범죄 수사, 특히 범죄가 범해지는 현장에서 나타나는 범죄자의 행동에 담겨 있는 패턴을 추적하고 있다. 과학은 논리적 입증을 통해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패턴이란 많은 자료를 통해서 다양성 속에 숨어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별해 내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범죄 수사를 단순히 직관과 경험의 결과라는 인식으로부터 자료와 정보의 수집과 분석, 행동 패턴의 유형화 등을 통해 범죄자 특성에 접근해 가는 과학적인 체계로 이끌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저자들의 노력은 높이 평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제1부(제1장에서 제4장)에서는 심리학과 범죄 수사가 접목되어 온 역사를 성서 속 유대인의 행동으로부터 유럽의 마녀사냥, 그리고 초기 프로파일링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면서, 수사심리학의 시작점에 있는 프로파일링이 결코 경험 많은 수사관의 직관에 의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다. 제2부(제5~10장)는 수사심리학의 기본 이론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 분화도(Radex)라 이름 붙인 모형을 통해 범죄의 유형화와 범주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제6장에서 범죄자의 행위에 대해 심리학적으로 접근하여, 범죄자가 범죄를 실행하게 되는 심리적 원인 유형을 네 가지 서사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 범죄자들이 스스로를 피해자로서, 전문가로서, 영웅적인 행위자로서, 보복의 주체로서 이해하는 범죄자의 내적 서사 유형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내적 서사가 범죄행위의 대상, 즉 피해자와의 관계를 규정하게 된다는 점을 함께 보여 준다.

제7장에서는 이러한 내적 서사에 내재된 범죄자들의 심리적 과정과 이로부터 표출되는 각 범죄자들의 현저한 행위적 특성을 탐색하여 행위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현저성은 범죄 유형에 따른 전형성과 특정 행동이 행해지는 빈도, 상황적 요인들 그리고 범죄자와 피해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수사관이 범죄 현장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찾아내고 범죄자의 특성을 추리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고 저자들은 이야기한다. 이러한 범죄자의 행위에 대한 특성 탐색에 이어서, 제8장에서는 지리적 범죄심리학, 제9장에서는 수사 정보의 취득과 분석, 제10장에서는 범죄자 또는 목격자 신문과 관련된 다양한 면담기법 및 거짓 탐지 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법과 체계적인 분류법을 소개하여 범죄별 및 각 범죄의 유형과 방식에 대한 특성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3부(제11장에서 제15장)에서는 제2부의 기본 원리에서 제시한 다양한 원리적 측면에서의 범죄 행위적 특성(현저성)과 범죄자의 심리 특성을 통해 재물범죄, 성범죄, 살인, 조직범죄 그리고 테러를 분석하고 추리과정에서 착안해야 할 요점들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16장에서는 수사심리학의 보다 폭넓은 기여 분야 및 가능성과 함께 양적 및 질적인 확장 방향을 제시해 준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2565 364.3 C229iㄱ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