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이버 범죄학 = Cybercriminology
사이버 범죄학 = Cybercriminology / 최경식 [외] 지음
내용보기
사이버 범죄학 = Cybercriminology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30318608 93350 : \28000
DDC  
364.168-23
청구기호  
364.168 ㅊ324ㅅ
서명/저자  
사이버 범죄학 = Cybercriminology / 최경식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23
형태사항  
vii, 435 p. : 삽화 ; 25 cm
주기사항  
공지은이: 강욱, 백신철, 박인선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기타저자  
최경식
기타저자  
강욱 , 1971-
기타저자  
백신철
기타저자  
박인선
책소개  
1984년 윌리엄 깁슨(William Gibbson)의 소설 뉴로맨서(Neuromancer)에서 ‘사이버 공간(Cyber Spac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래 ‘사이버 공간’은 현실 세계와 다른 모습으로 우리 삶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생활과 실제 삶은 많은 영역에서 겹치고 있으며, 가상물리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현실세계와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사이버 공간과 물리 공간을 모두 위협하는 공격의 발생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사이버 공간의 출현은 우리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특별한 방안과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먼저 사이버 범죄에 대한 실질적인 정의와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범죄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이버 공간의 범죄자 및 피해자, 범죄학 이론, 현행 법률 및 정책 그리고 예방 전략 등을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본서 작성을 위해 여러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했으며 주요 저자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 보스턴 대학교의 최경식 교수는 ‘사이버 일상 활동 이론’을 제시하는 등 사이버 범죄의 본질적 이해에 기여하였다. 2008년에 이론이 발표된 이후,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사이버 범죄 분석의 틀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본서에도 중점적으로 반영되었다. 경찰대학교의 강욱 교수는 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 보안, 주요 정책 개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미국 스크랜턴 대학교의 백신철 교수 그리고 미국 애크론 대학교의 박인선 교수는 본서의 핵심 내용과 구성에 참여하여 깊은 통찰력과 전문성으로 본서의 완성도를 더욱 높였다.


본서는 기존 범죄학적 관점과 사이버 범죄 이론을 근간으로 급증하고 있는 사이버 범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범죄 수법과 양상을 파악하고 현행 법률 및 정책을 바탕으로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효율적인 대응책 및 지침서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사이버 범죄 대응 전략, 예방대책 그리고 국내외 협력의 중요성 및 구체적 방안 등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서를 통해 사이버 범죄와의 전쟁의 최일선에 서 있는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본서가 그 해결 과정의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82185 364.168 ㅊ324ㅅ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