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일하다 아픈 여자들 : 왜 여성의 산재는 잘 드러나지 않은가?
일하다 아픈 여자들 : 왜 여성의 산재는 잘 드러나지 않은가? / 이나래 [외] 지음.
내용보기
일하다 아픈 여자들 : 왜 여성의 산재는 잘 드러나지 않은가?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91383393 03330 : \19000
DDC  
331.4-23
청구기호  
331.4 ㅇ683ㅇ
서명/저자  
일하다 아픈 여자들 : 왜 여성의 산재는 잘 드러나지 않은가? / 이나래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빨간소금, 2023.
형태사항  
338 p. ; 22 cm.
주기사항  
부록: 노동안전보건의 관점으로 여성 노동운동 살펴보기
주기사항  
공저자: 조건희, 류한소, 송윤정, 이영희, 정지윤 ; 기획: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서지주기  
주: p. 321-338
기타저자  
이나래
기타저자  
조건희
기타저자  
류한소
기타저자  
송윤정
기타저자  
이영희
기타저자  
정지윤
기타저자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책소개  
소수자의 시선으로 산재를 생각한다
표준노동자=건장한 비장애 남성이라는 환상을 깨는 책

젠더 불평등이 실재하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산업재해가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리라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의 연구자와 활동가들은 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기로 결심하고 19명의 노동자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더불어 고용노동부 발행 자료와 근로복지공단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얻은 통계 자료를 분석했다. 이 책에는 그렇게 만난 여성 노동자, 장애여성 노동자, 성소수자 노동자, 산재 피해자 가족이 솔직하게 꺼내 놓은 이야기와 통계 자료 분석이 담겨 있다. 생생한 이야기와 통계 분석을 통해 글쓴이들이 확인한 산재에서의 젠더 불평등은 예상을 넘어선다. 객관적 수치가 드러내는 불평등은 물론이거니와, 여성 노동자의 산재는 아픈 몸이라는 자책과 쓸모없는 노동력이라는 사회의 낙인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는 신청-요양-복귀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산재 처리 과정에 더욱 섬세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산재 제도 접근 자체에 대한 어려움, 산재 요양 시의 어려움과 복귀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성별을 가리지 않는다. 책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에 여성의 산재가 더 많이 승인되어야 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글쓴이들이 여성의 산재를 이야기하는 목적은 일하다 다친 몸, 자본주의에서 쓸 만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몸이 어떻게 소외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다. 따라서 여성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한 대안은 여성의 몸만이 아니라, 표준이 아닌 모든 몸을 위한 제언이 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82351 331.4 ㅇ683ㅇ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