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돌봄의 사회학 : 당사자 주권의 복지사회로
돌봄의 사회학 : 당사자 주권의 복지사회로 / 우에노 지즈코 지음 ; 조승미 ; 이혜진 ; 공영주 ...
내용보기
돌봄의 사회학 : 당사자 주권의 복지사회로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8731035 93300 : \48,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362.6-23
청구기호  
362.6 ㅅ192ㄷㅈ
저자명  
상야천학자
서명/저자  
돌봄의 사회학 : 당사자 주권의 복지사회로 / 우에노 지즈코 지음 ; 조승미 ; 이혜진 ; 공영주 옮김
원서명  
[원표제]ケアの社会学 : 当事者主権の福祉社会へ
발행사항  
파주 : 오월의봄, 2024
형태사항  
943 p : 삽화, 도표 ; cm
주기사항  
우에노 지즈코의 한자명은 '上野千鶴子'임
서지주기  
참고문헌(p. 914-939) 및 찾아보기(p. 940-943) 수록
언어주기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기타저자  
上野千鶴子
기타저자  
조승미
기타저자  
이혜진
기타저자  
공영주
기타저자  
우에노 지즈코
책소개  
“역시 우에노 지즈코다. 대단하다.”

고령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의 필수 과제
좋은 돌봄이란 무엇인가? 누가, 어떻게 돌봄을 실천할 것인가?

조사 기간 10년, 방대한 현장조사, 정교한 이론
우에노 지즈코 사회학의 집대성이자 새로운 지평!

우리 앞으로 다가온 핵심 문제, 돌봄의 사회학

우에노 지즈코 사회학의 집대성
“역시 우에노 지즈코다. 대단하다.”(김영옥,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공동대표)
“우리 앞으로 다가올 돌봄의 문제를 일찌감치 감지한 학자가 먼저 고민하고 실천한 방대하고 빼어난 기록. 《돌봄의 사회학》은 노인 천만 시대를 맞이한 우리 사회에서 고령자 돌봄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도와준다.”(양난주, 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은 2017년 고령사회(고령자 인구비가 전체 인구의 14% 이상인 사회)에 돌입했다. 빠르든 늦든 누구나 나이가 들고, 이는 아무도 통제할 수 없다. 즉 언젠가는 모두가 사회적 약자가 된다. 그런데 이에 대한 대비는 충분히 이뤄지고 있는가? 이 때문에 1994년 한국보다 먼저 고령사회를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사회학자이자 페미니스트인 우에노 지즈코의 주저 《돌봄의 사회학》은 한국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내에도 소개된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다》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 《독신의 오후》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저자는 일찍부터 ‘돌봄’ 문제, 즉 ‘돌봄의 사회학’을 고민해왔다. 저자는 이 책에서 ‘고령자 돌봄’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룬다.
이 책의 시작은 2000년 4월 일본에서 시행된 개호보험제도이다. 개호보험은 일본의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저자는 이를 ‘가족혁명’이라고 부른다. 이 제도가 고령자 복지를 “온정주의에서 계약으로”, 또 “시혜에서 권리”로 극적으로 바꾸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고령자를 돌볼 책임을 가족의 책임에서 공적 영역으로 이전시켰기 때문이다. 저자는 개호보험이 도입된 이후 10여 년 동안 일본 사회에 일어난 변화를 추적한다.
책은 크게 세 가지 질문을 다룬다. 1) 돌봄이란 무엇인가? 2) 좋은 고령자 돌봄이란 무엇인가? 3) 어떻게 좋은 고령자 돌봄을 실현할 것인가?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83329 362.6 ㅅ192ㄷㅈ 2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