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  클락 E. 코크란 ; 데릭 H. 데이비스 ; 코윈 E.스미트 ; 로날드 J...
내용보기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1290072 93230 : \19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DDC  
261.7-22
청구기호  
261.7 C663cㄱ
저자명  
Cochran, Clarke E.
서명/저자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 클락 E. 코크란 ; 데릭 H. 데이비스 ; 코윈 E.스미트 ; 로날드 J. 사이더 ; J. 필립 워거먼 [공]지음 ; 김희준 옮김
원서명  
[원표제]Church, state, and public justice : five views
발행사항  
서울 : 새물결플러스, 2017
형태사항  
404 p. ; 23 cm
총서명  
Spectrum시리즈 ; 6
주기사항  
색인수록
주기사항  
편집: P. C. 케메니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언어주기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일반주제명  
기독교 정치[基督敎政治]
기타저자  
Davis, Derek H.
기타저자  
Smidt, Corwin E.
기타저자  
Sider, Ronald J.
기타저자  
Wogaman, J. Philip
기타저자  
김희준
기타저자  
코크란, 클락 E.
기타저자  
데이비스, 데릭 H.
기타저자  
스미트, 코윈
기타저자  
사이더, 로날드 J.
기타저자  
워거먼, J. 필립
책소개  
스펙트럼 시리즈.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은 제목 그대로 교회와 국가의 건강한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성서적·신학적·역사적 맥락을 짚어가며 진중하고 날카롭게 토론하는 책이다. 교회와 국가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변천을 겪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초기 교회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까지 교회와 국가는 완전한 분리와 갈등의 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부터 근대 계몽주의 시대 전까지 교회와 국가는 지독한 밀월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교회와 국가의 밀월 관계가 지나쳤던 관계로 그로 인한 폐해가 너무 컸다는 반성에 기초하여 유럽 대륙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국가와 신앙, 종교와 정치가 너무 밀접하게 관계를 맺지 못하도록 헌법적 조치를 단행했다.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은 이 대목을 기점으로 하여 교회와 국가가 어떤 관계를 맺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놓고 가톨릭, 고전적 분리주의, 원리적 다원주의, 재세례파, 사회정의를 대표하는 다섯 학자가 나서 서로 불꽃 튀는 논쟁을 벌인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 책은 미국적 맥락에서 쓰인 책이지만, 미국 교회의 신학적 입장과 실천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그리고 미국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종속된 한국 기독교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큰 책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64430 261.7 C663cㄱ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