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 조지욱 [외]지음.
내용보기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자료유형  
 단행본 국내서
ISBN  
9791160943412 44300(v.1) : \16,800
ISBN  
9791160943406 (전2권)
DDC  
300.712-22
청구기호  
300.712 ㅈ684ㅌ
서명/저자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 행복한 삶과 바람직한 사회 / 조지욱 [외]지음.
원서명  
[기타표제]통합적 관점으로 인간과 사회를 탐구하다
발행사항  
파주 : 사계절, 2018.
형태사항  
277 p. : 채색삽도, 지도, 도표 ; 24 cm.
주기사항  
공지은이: 조승연, 정명섭, 이효건, 송훈섭, 김승우, 강혜원, 강은경, 강봉균
주기사항  
그린이: 김혜령
서지주기  
권말에 참고문헌 수록
기타저자  
조지욱
기타저자  
조승연
기타저자  
정명섭
기타저자  
이효건
기타저자  
송훈섭
기타저자  
김승우
기타저자  
강혜원
기타저자  
강은경
기타저자  
강봉균
기타저자  
김혜령
책소개  
2015년 교육과정 개정으로 올해부터 고등학교에서는 〈통합사회〉가, 중학교에서는 탐구 활동형으로 꾸려진 〈사회〉 교과서가 적용되고 있다. 중고교 사회 교과가 학생 참여를 지향한다는 점은 공통된 방향이다. 고교 〈통합 사회〉 교과서는 계통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관행을 넘어서서 삶과 사회 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초 소양과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곧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 사회,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일상생활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삶을 통합적으로 성찰하고 설계하는 능력’(『2015 사회과 교육과정』) 등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8년부터 사용되는 새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인 일반 사회, 지리, 윤리 과목의 교육 내용이 통합되어 제시되고 있다. 새 교과서의 방향이 교육적으로 옳다는 것은 공통된 목소리이지만 교육 방법이 급작스럽게 바뀌는 것에 대해서 우려가 많았고, 통합적 형태의 주제를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들이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 역시 기초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탐구와 토론 등의 활동, 그리고 평가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고교 〈통합 사회〉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방대한 세 교과 범위의 지식이 필요하다. 교사들의 경우 지리 교사는 일반사회와 윤리가, 일반사회 교사는 지리, 윤리 지식이 필요해졌다. 기존처럼 각 분야 교사들이 단원을 쪼개서 가르치는 것도 통합주제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학생들의 경우도 각 단원 교육 목표에 해당하는 일반사회, 지리, 윤리 지식과 개념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가 없다.
이에 『통합 사회를 잡아라1,2』는 〈통합 사회〉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개념과 주제를 선정하고 풀어썼다. 교과 기초 역량과 통합적 사고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소재불명신고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 비도서대출신청
  • 야간 도서대출신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65945 300.712 ㅈ684ㅌ 1층 주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비도서대출신청 야간 도서대출신청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